[KCMUSA] [민종기 목사의 물맷돌] 바울의 공동체
페이지 정보
본문
[민종기 목사의 물맷돌] 바울의 공동체
I. 공동체와 조직
1. 교회는 어떠한 존재인가? 1] 개인. 2] 모임. 3] 조직. 4] 공동체.
2. 가족공동체, 신앙공동체, 국가공동체.
1] 구성원의 출입이 자유롭지 않다. 2] 공동체나 개별 참여자가 수단이 되지 않는다.
3] 자연발생적인 경우가 많다. 4] 목표를 위한 자발적인 헌신이 있다.
II. 바울의 공동체의 특성[1]: 인격의 소중함. Personalism
1. 공동체에 대한 강조가 로마서 전체를 흐르고 있다.
1] 복음과 교회 공동체(롬 1-8장). 2] 유태인 공동체(9-11장).
3] 공동체 윤리(12-15장). 4] 공동체의 구성원(16장).
2. 16장에 등장하는 사람의 이름. 1] 34명의 사람 중, 27명 이름. 2] 겐그레아 항구의 뵈뵈.
3] 브리스가와 아굴라에게 문안하라. 4] 루포와 그의 어머니, 내 어머니이다.
3. 우리는 서로 이름으로 아는 사이이다.
1] 바울의 동역자들. 2] 바울-더디오-뵈뵈. 3] 주님은 우리를 이름으로 기억하신다.
III. 바울의 공동체의 특성[2]: 연합의 관계. Unity/Solidarity
1. 브리스길라 아굴라. 목숨을 내 놓은 동역자(3-4).
1] 사도 바울의 동역자. 이들은 장막지기. 글리우디오 황제 때에 로마에서 고린도로.
2] 사도 바울과 함께 사역하다가 에베소로 옮김. 3] 에베소에서 로마로 옮김.
2. 차별을 넘어서 서로 수고하는 인정하는 연합의 관계.
1] 함께 수감 생활함. 안드로니고와 유니아(7).
2] 많이 수고한 사람들을 인정함. 여성도 마리아, 드루배나, 드루보사. 버시(6, 12).
3. 차별과 계급이 해소됨. 1] 남자와 여자의 불평등 해소됨.
2] 유대인과 로마인/이방인의 차별 없어짐. 3] 노예나 자유자의 차별 없음.
IV. 바울의 공동체의 특성[3]: 주님이 중심인 관계. Lord-centrism
1. 예수 그리스도 중심이다.
1] 진정한 연합, 진정한 인격주의는 그리스도 안에서. 2] 주안의 진정한 친밀함.
2. 예수를 믿는 사람은 서로 지체이다.
1] 같은 세례. 2] 같은 성찬에 참여. 3] 같은 성령에 참여함. 4] 같은 사명.
5] 공동체는 그리스도를 머리로 한다. 6] 그리스도, 예수, 주 안에서.
V. 우리의 할 일
1. 현대 사회의 과제는 공동체 세우기. community is in peril.
2. 공동체를 세우려던 사람. Emmanuel Mounier, Espirit. 사상적 대안
3. 주님 안에서 사랑하라. Pull: Personalism, Unity, Lordship, Love
- 이전글[민종기 목사의 물맷돌] 그리스도 안의 삶 25.01.06
- 다음글❛나와 같은 아픔을 겪었구나❜ 나바호 원주민들과 황성기 선교사의 만남 | 미션로그: 끝나지 않은 선교 이야기 24.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