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73% "이주민과 통합 필요"…교회가 먼저 손 내밀어야
페이지 정보
본문
이주민 수용성도 9년 만에 상승
"공동체 구성원으로 적응하게 도와야"
▲수해 복구작업 하는 외국인근로자.(사진출처=연합뉴스)
[데일리굿뉴스] 이새은 기자 = 국민 10명 중 7명은 이주민과의 통합을 우리 사회의 미래를 위한 '필요한 투자'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전히 이들을 단순한 대체 인력이나 경제적 자원으로만 바라보는 시각도 공존해, 인식 전환과 제도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교회가 이들을 '이웃'으로 받아들이고, 사회 적응을 도와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여성가족부가 최근 발표한 '2024년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에 따르면, 성인 응답자의 73.5%, 청소년의 73.8%가 "이주민과의 통합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주민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성인의 65.6%, 청소년의 68.6%는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평가했다. 인력난 해소(78.3%)와 인구감소 완화(67.3%), 혁신과 아이디어 유입(45.9%) 등이 주요 이유로 꼽혔다.
이 같은 인식 변화는 '다문화 수용성 지수'에도 반영됐다. 성인의 경우 9년 만에 지수가 상승하며 100점 만점에 53.38점을 기록, 2021년보다 1.11점 높아졌다. 이는 2012년 첫 조사 이래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이재웅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과장은 "코로나19 이후 이주민과의 접촉이 늘면서 수용성이 회복세를 보인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처럼 긍정적 흐름이 이어지고 있지만, 이주민을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은 여전히 경제 중심적이라는 비판도 적지 않다. 조선업, 건설업 등 주요 산업 현장과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만성적인 인력난을 해소하고자 외국인 노동자 유입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러나 이들을 '필요한 만큼 받아들이고, 필요 없으면 내보내는' 방식의 접근은 오히려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장창원 오산이주노동자센터 목사는 "정부의 선택적 이주 정책은 인간을 도구화하고 생명을 효율의 논리로 환산하는 구조를 강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이주노동자들이 현장에서 겪는 차별적 처우와 인권 침해 사례는 이러한 시각이 여전히 현실임을 방증한다.
▲한 지자체 결혼이주여성협의회 여성들이 노동권 개선을 요구하는 피켓을 들고 있다.(사진출처=연합뉴스)
이러한 가운데 돌봄 사역에 잎장서온 한국교회가 이주민을 '노동력'이 아닌 '이웃'으로 받아들이고, 이주민 통합을 위한 인격적 돌봄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주민에 대한 제도적 배제와 구조적 차별을 해소하며 이들이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교회 공동체가 앞장서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이주민대책기구 대표 손병찬 목사는 한국이주민대책기구 대표 손병찬 목사는 "교회는 단기적인 노동력 수급 논리를 넘어서, 이주민을 이웃으로 받아드려야 한다"며 "이제 해외에 직접 가는 선교보다, 국내에 거주하는 이주민이 잘 적응하도록 돕고 복음을 전하는 쪽으로 방향을 전환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특히 은퇴한 선교사들이 주체가 돼 국내 이주민들을 돌보는 사역에 참여할 수 있도록 협력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며 "공존을 위해 실질적이고 창의적인 방법들을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링크
-
데일리굿뉴스 제공
[원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