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새벽기도 목사님, 간은 안녕하십니까 > 한국교계뉴스 Korean News | KCMUSA

매일 새벽기도 목사님, 간은 안녕하십니까 > 한국교계뉴스 Korean News

본문 바로가기

  • 한국교계뉴스 Korean News

    홈 > 뉴스 > 한국교계뉴스 Korean News

    매일 새벽기도 목사님, 간은 안녕하십니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국민일보| 작성일2020-07-02 | 조회조회수 : 3,170회

    본문

    49% “2년에 한 번 정기검진” 목회자 건강인식 설문조사

    b01cf8eb36c9aa7fe8f523900a00ced5_1593641230_584.png
    픽사베이

    #서울 송파구의 한 교회에서 사역하는 A부목사(47)는 새벽기도 후 청년부실로 향한다. 동료 부목사들과 함께 간이침대와 돗자리를 펴고 교역자 회의 전까지 잠을 잔다. A부목사는 “새벽기도 후 다시 잠을 자면 간 건강이 나빠진다는데 이렇게 잠깐이라도 잠을 자지 않으면 체력적으로 부담이 된다”고 말했다.

    #경기도 고양의 교회에서 사역하는 B부목사(43)는 최근 지방간 진단을 받았다. 그는 “사역 스트레스와 새벽기도 후 운동을 하지 않고 다시 잠을 잔 것이 원인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술·담배를 전혀 하지 않는 목회자들인데 왜 간이 안 좋은 걸까. 목회자들의 인식처럼 ‘새벽기도 후 다시 자는 잠’이 원인일까.

    국민일보는 지난달 22일부터 28일까지 ‘목회자 건강 인식’에 관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목회데이터연구소(대표 지용근)의 질문지 검증을 거쳐 무작위 표집 방법으로 구글 설문 조사 플랫폼을 이용했다. 설문 응답자는 총 111명이었다. 30대(11.2%) 40대(38.3%) 50대(38.3%) 60대(12.1%)가 참여했다.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4.91% 포인트다.

    202006051841_23110924141296_2.jpg

    설문에서 목회자들은 ‘새벽기도 후 잠을 자면 간 건강이 나빠진다’는 말을 들어본 적 있다(89.1%)고 응답했다. 목회자들은 ‘새벽기도 후 출근 전까지 다시 잠을 잔다’(38.9%)고 응답했다. ‘운동을 한다’(14.8%)거나, ‘성경을 본다’(11.1%)는 답변은 소수였다.

    지난 2일 경기도 성남 분당차병원에서 간내과 전문의 황성규 교수를 만났다. 그는 “새벽에 다시 잠을 잔다고 해서 간 건강이 나빠지는 것은 아니다. 우리 몸이 새벽에 기상해서 활동하는 상태로 만들어졌는데 또다시 수면하게 되면 생체리듬이 깨져서 건강을 해치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황 교수는 이어 “피곤하면 5~10분 정도의 쪽잠을 자되 생체리듬을 위해선 새벽예배 후 의미 있는 활동을 하는 것이 더 좋다”고 말했다.

    하루 24시간을 주기로 하는 생체리듬은 ‘시계 유전자(Clock Genes)’에 의해 형성된다. 시계 유전자는 반복적인 생활방식이나 수면 체온 신진대사 등에 영향을 미친다. 생체리듬과 어긋나게 불규칙한 생활을 지속하게 되면 건강에 적신호가 켜진다.

    목회자들은 설문을 통해 ‘현재 앓고 있는 고질병이 있다’(47.7%)고 응답했다. ‘평소 건강관리는 하지 못한다’(57.8%)고 했고 ‘사역하느라 시간이 부족’(41.3%)하고 ‘결단력이나 의지가 부족’(24%)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목회자들은 스트레스(53.2%)를 꼽았다. 목회자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5~6시간’(42.7%), ‘4~5시간’(19.1%)으로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시민 평균 수면 시간은 8시간 22분이며 OECD 최하위인 우리나라 국민은 평균 7시간 49분이다. 목회자들의 수면 시간은 여기에 현저히 못 미치는 셈이다.

    황 교수는 “스트레스와 수면 부족은 면역력을 저하시키고 신체에 여러 가지 질병을 초래한다. 이틀 연속 수면이 부족했다면 하루 정도는 휴식을 취한 뒤 몸이 회복됐다고 느껴질 때 다시 사역을 시작하는 생활 리듬을 갖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202006051841_23110924141296_3.jpg

    지방간 진단을 받는 목회자도 늘고 있다. 식습관이 주된 이유라고 의료진은 말한다. 필요 이상의 영양소를 섭취하면 여분의 에너지가 간에 축적돼 간세포를 파괴하고 심할 경우 간경변으로 발전한다.

    황 교수는 “목회자들의 건강을 위해선 성도들이 먼저 ‘목사님 떡 하나 적게 주기’ 운동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간은 ‘침묵의 장기’로 불린다. 다른 장기와 달리 특별한 자각 증상을 느끼기 어려워 알아채기 어렵다. 몸에 이상을 느꼈다면 이미 간 손상이 진행된 경우가 허다하다. 예방법은 규칙적인 생활 리듬을 유지하고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받는 것이다.

    목회자들은 ‘2년에 한 번 정기검진을 받는다’(49.1%)고 응답했다. ‘3년에 한 번’(10%) ‘전혀 받지 않는다’(11.8%)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건강검진을 받지 않는다고 응답한 목회자들은 이유로 ‘경제적 부담’(41.5%)을 꼽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년 주기로 무료 국가건강검진을 실시하고 있다. 목회자들에게 할인 혜택을 주는 건강검진센터를 찾아 정기적으로 검진받는 것도 필요하다. 국가 암 검진을 통해서 암을 확진 받으면 건강보험 가입자는 1년에 최대 200만원까지 3년간 의료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목회자들은 ‘하루 휴가가 주어진다면’ 여행(52.3%)을 하거나 수면(19.8%)을 취하겠다고 답했다.

    202006051841_23110924141296_4.jpg
    분당차병원 황성규 교수.

    황 교수는 “한국교회 목회자들이 건강을 잃어간다. 성도들은 목회자들에게 맛있는 음식으로 섬기지만 정작 운동할 시간과 쉼을 주지 않는다”면서 “새벽기도 후에 성도와 목회자들이 함께 운동하는 문화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국민일보 글·사진=박효진 기자 imhere@kmib.co.kr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550건 297 페이지
    • '코로나로 인해 호모집쿠스의 시대가 열렸다'
      뉴스M | 2020-07-02
      지난 9일 홈족과 호모집쿠스에 관한 주제로 [포럼M] 개최박경만 팀장이 [포럼M]의 취지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사진=황재혁 기자)한국사회의 마이크로 트렌드를 분석해서 알려주는 [포럼M]이 지난 9일 오후 2시 30분에 한강진의 블루스퀘어에서 정기 강연을 열었다. …
    • 국민문화재단, 이영훈 목사 공동이사장으로 추대
      아이굿뉴스 | 2020-07-02
      지난 4일 취임식…“복음 실은 메시지 전파 위해 돕겠다” 국민문화재단은 지난 4일 여의도순복음교회 이영훈 목사를 공동이사장으로 추대했다.국민일보를 운영하고 있는 (재)국민문화재단이 여의도순복음교회 이영훈 담임목사를 새로운 공동이사장으로 추대했다.국민문화재단은 지난 4…
    • 코로나 시대 예배, '헛되다면 성전 문을 닫고 받지도 아니하리라'
      아이굿뉴스 | 2020-07-02
      ■ 기획//교회를 교회되게, 예배를 예배되게 (3)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인지 근본부터 되돌아봐야”“온라인 예배는 수단” 현장 예배를 교육해야 한다“가정에서 예배를 가르쳐야”, 교회의 지원 필요해 “만군의 여호와가 이르노라 너희가 내 단 위에 헛되이 불사르지 못하게 …
    • b01cf8eb36c9aa7fe8f523900a00ced5_1593640718_1631.png
      [한국의 전도왕] ⑩ 언행일치 삶으로 40일-105명 결실
      국민일보 | 2020-07-02
      코스모스전도왕 - 최재순 권사 <평택중심교회> 평택중심교회에서 바람바람 성령바람 전도축제(진돗개전도왕 박병선장로)를 2년동안 다섯 번 집회를 열었다. 최재순권사는 전도왕들의 간증을 통하여 전도에 대한 확신과 도전을 크게 받는 시간이었다. 반드시 전도왕이 되…
    • [한국의 전도왕] ⑨ 거리에 쏟는 열정 3630세대 복음화
      국민일보 | 2020-07-02
      노방전도왕 - 김명숙 권사 <여의도순복음교회> 2006년 하나님을 믿기 시작한 김명숙 권사는 세상에서 살 때는 하나님을 외면한 채 오직 돈버는 것 밖에는 관심이 없었다. 그리고 절에도 자주 다니고 점 보러 다니는 것을 좋아했다. 그리고 건강을 제일 소중하게…
    • [한국의 전도왕] ⑧ 호떡에 담는 사랑 늘 장사진 이뤄
      국민일보 | 2020-07-02
      호떡전도왕 - 김재옥 목사 <소망교회> ‘호떡 전도왕’ 김재옥 목사는 대학에서 지휘를 전공하고 음악목사로 오케스트라 지휘자로 오랫동안 사역을 했다. 그러던 중 건강에 문제가 생겨 더 이상 사역을 감당할 수가 없어 결국 목회를 포기하고 오랫동안 부산 기도원에…
    • [한국의 전도왕] ⑦ 매일 붕어빵 구워 사랑의 대화 나눠
      국민일보 | 2020-07-02
      붕어빵 전도왕 - 박복남 장로 <목포복음교회> 붕어빵 전도법의 최초 개발자이자 ‘쉽고 행복한’ 관계전도를 실천하며 가르치고 있는 박복남장로는 순회전도자다.복음전파의 열정과 야성을 잃어버린 한국 교회를 안타까워하며 “예수님과 사도 바울처럼만 하면 누구나 잃어…
    • [한국의 전도왕] ⑥ 22년 동안 8000여 간증집회
      국민일보 | 2020-07-02
      국악찬양전도왕 - 구순연 집사 <목양교회> 구순연 집사(목양교회)는 오직 복음의 열정으로 지난 22년 동안 전국 8000여 교회의 간증집회를 인도했다. 목회자도 부흥사도 아닌 평신도 사역자로서 전국 교회를 순회하면서 초청하는 교회마다 달려가 복음을 …
    • [한국의 전도왕] ⑤ 자나깨나 전도… 1주에 86명 열매
      국민일보 | 2020-07-02
      풍산개전도왕 - 윤재섭 협동목사 <광주신일교회> 3대째 믿음의 가정에서 태어난 윤재섭 목사는 어렸을 때부터 습관적으로 교회를 다녔다. 그런 어느 날 부끄러운 마음이 들어 하나님 앞에 “육적인 실업자가 되는 것은 좋은데 영적인 실업자만 되지 않게 …
    • [한국의 전도왕] ④ 나이 60세에 전도가 본업 되다
      국민일보 | 2020-07-02
      미용실전도왕 - 김복희 목사 <히늘동산교회> ‘미용실 전도왕’ 김복희 목사는 2005년 둘째 딸 혜미와 미용실을 운영하던 중 우연히 CTS 기독교 방송을 통해 박병선 장로의 전도 간증을 듣고 큰 은혜와 도전을 받은 뒤부터 ‘교회 나가면 커트는 공짜’라는 타…
    • [한국의 전도왕] ③ 삼 세번 전도축제, 40일-216명 성과
      국민일보 | 2020-07-02
      [한국의 전도왕] ③ 삼 세번 전도축제, 40일-216명 성과  사모전도왕 마옥순 사모는 4대가 살고 있는 집안의 손주며느리이고 순복음축복교회 오영대 목사의 사모이다. 기관사역을 맡아서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일정 가운데 바람바람성령바람 전도축제를 통해 성도들이 은혜…
    • [한국의 전도왕] ② 한 명 전도하다 8명을 교회로 인도
      국민일보 | 2020-07-02
      내조의 여왕 - 강윤희 사모 <청운교회>   ‘사모 전도왕’ 강윤희 사모는 개척 초기부터 교회의 본질, 교회의 존재목적이 영혼구원 전도라는 비전과 가치관을 가지고 달려오면서 하나님께서 교회의 부흥과 좋은 성도들을 만나해 해주셨다.그렇게 행복한 목회를 하던…
    • [한국의 전도왕] ① '한 번 물면 놓치지 않는다'
      국민일보 | 2020-07-02
      진돗개전도왕 - 박병선 장로 <순천순동교회> ‘진돗개 전도왕’ 박병선 장로는 한국교회 목회자와 성도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한 전도강사다.16대 대종갓집 대종손의 8남매 장남인 박 장로에게는 20년 동안 아내 정은숙 권사의 불퇴전의 기도와 성화가…
    • '사람들을 주님께 가까이'… 선율에 담은 ‘전도 4중주’
      국민일보 | 2020-07-02
      현악 4중주단 ‘로벤콰르텟’ 로벤콰르텟은 하나님을 찬양하는 현악 4중주단이다. 첼로 김다혜, 제2바이올린 박상열, 제1바이올린 진찬주, 비올라 김성경씨(왼쪽부터)가 단원이다. 안산=신석현 인턴기자활이 현을 타며 소리가 흘러나온다. 악기마다 나오는 음률의 고저는 제각각…
    • '기독교 정신으로 자유와 인간애 넘치는 나라를'
      국민일보 | 2020-07-02
      백세 철학자와 탈북 국회의원 ‘광복 75주년과 6·25’를 말하다 김형석 연세대 철학과 명예교수가 9일 서울 종로구 총회창립100주년기념관에서 본인과 대한민국의 100년 역사를 회고하고 있다. 강민석 선임기자1920년생인 100세 철학자는 100분간 또렷한 말투로 우…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