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일부 언론의 종부세 폭탄 보도는 선동적 ‘가짜뉴스’" > 한국교계뉴스 Korean News | KCMUSA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일부 언론의 종부세 폭탄 보도는 선동적 ‘가짜뉴스’" > 한국교계뉴스 Korean News

본문 바로가기

한국교계뉴스 Korean News

홈 > 뉴스 > 한국교계뉴스 Korean News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일부 언론의 종부세 폭탄 보도는 선동적 ‘가짜뉴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작성일2020-12-09 | 조회조회수 : 2,925회

본문

산업재해 사망자 등 관련 보도는 철저히 외면

언론은 ‘물신’이 아닌 사람에게 눈을 돌려야



64ca6f218eb9753cbed0e8f45a4b4bb5_1607540345_4506.jpg
(사진: 중앙일보)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이하 NCCK, 총무: 이홍정) 언론위원회(위원장: 권혁률)는 지난 8일 “‘종부세 폭탄’과 ‘부유한 빈민’>”를 선정발표하고, 한국언론이 바른 언론으로서의 길로 나아갈 것을 촉구했다.


지난 11월말 2020년분 종부세 고지 이후 다수 언론의 ‘종부세 폭탄’ 보도가 쏟아졌다. NCCK는 "이들 중 상당 부분은 왜곡정보(mal-information)이거나, 잘못된 정보(mis-information)를 전달했거나, 심지어 허위정보(dis-information)이거나 등, 가짜뉴스의 3대 유형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게다가 비슷한 시기에 발표한 산업재해 현황과 사망자수 등에 대한 보도는 하찮게 취급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언론에 대한 대안적 비평을 수행하고자 하는 NCCK 언론위원회는 이와 같은 현상을 엄중하게 보고 <‘종부세 폭탄’과 ‘부유한 빈민’>이라는 제목으로 '11월의 시선'을 선정하고, 그 취지를 아래와 같이 설명했다.


‘부유한 빈민’과 ‘소외된 빈민’


2020년11월25일, 국세청은 2020년분 종합부동산세(종부세) 납부의무자 74만4,000명에게 4조2,687억 원을 고지했다. 2020년도에 새롭게 주택분 종부세를 내게 된 인원은 최소 14만7,000명이라고 밝혔다. ‘종부세’ 고지를 즈음하여 언론은 일제히 ‘종부세 폭탄론’을 들고 나왔다. 종부세 인상이 ‘징벌적 조세’로 거센 국민적 저항이 있을 것으로 ‘예견’했다. 심지어 일부 언론은 광화문에서 촛불이라도 들자고 선동하는 한 야당의원의 주장을 신속하게 전달하기도 했다. 그러나 언론이 주장하는 것처럼 ‘국민적 조세저항에 부딪친’ 종합부동산세를 내야 하는 사람은 전체 국민의 1.3%에 불과했다.


비슷한 시점에 고용노동부는 <2020년 9월말 산업재해 현황>을 발표했다. 이 발표에 따르면  2020년도 3/4분기까지 산업재해자수는 8만299명이었고, 사망자수는 1,571명으로 집계됐다.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적손실추정액은 2016년 21.4조원, 2017년 22.2조원, 2018년 25.2조원, 2019년 27.6조원으로 계속해서 증가해왔다. 산업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액은 연도별 산재보상금지급액(직접손실액)의 5배로 추정해 계산된다. 산업재해로 사망하는 대다수 노동자는 소외된 도시 빈민이다.


2020년도에 74만4천명의 종부세 납부의무자가 낼 세금은 4조2,687억 원이었다. 2019년도에 산업재해자 10만9천명의 산재보상금지급액은 약 5조5천억 원이었다. 언론은 이 두 사건에 대해 어떻게 공감하고 있는가? 언론재단의 빅카인즈에서 ‘종부세+폭탄’ 관련 기사를 검색하면 지난 6개월간 828건이었다. 반면 ‘산업재해+재해처벌법’과 관련된 관련 기사는 같은 기간에 겨우 26건에 불과했다. 종부세보다 산업재해로 죽어가는 노동자들의 목숨이 더 하찮은 것일까? 이 단순한 수치는 언론이 누구의 아픔에 더 공감하고 있는지 짐작할 수 있게 한다. 


누가 ‘종부세 폭탄’이라 말하는가?


종합부동산세(종부세) 납세의무자가 2020년에는 전년도와 비교하여 15만 명 가까이 늘어난 74만4천명이었다. 2020년 종부세 주택 분 납부 대상자와 세액이 많이 늘어난 데에는 시세 상승을 반영한 공시가격 상승과 공시가격 현실화율 상향조정, 종부세 과세표준을 산출하기 위해 공시가격에 곱해주는 공정시장가액 비율 상향조정(85→90%) 등이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국세청 발표에 대해 언론은 조세 부담이 급증하고, 폭탄 수준의 세금인상이라고 비판했다. ‘징벌적 조세’라는 것이다. 기사의 제목을 살펴보면 언론이 얼마나 선정적으로 보도했는지 알 수 있다.


- [사설]보유세 폭탄 퍼부으며 중저가 주택만 감면 생색내는 ‘세금 정치’(동아일보, 2020년11월3일)


- 공시가 90%까지 상향… 결국엔 '세금폭탄?'(세계일보, 2020년11월4일)


- 공시가격 현실화發 '세금폭탄'…세입자에 전가 우려(아시아경제, 2020년11월4일)


- 상속받아 2주택 됐다고?…우물쭈물하다 수천만원 '보유세 폭탄' 맞는다(한국경제, 2020년11월8일)


- 1주택자도 2배…'공포의 종부세 폭탄' 터진다(서울경제, 2020년11월18일자)


- 월세 100만원 꼴.강남 30평대 보유세 ’1000만원 시대’(조선일보, 2020년11월18일)


- '종부세 고지서' 폭탄 날아왔다…"집 두 채 가졌는데 7배 뛰어"(중앙일보, 2020년11월23일)


- 강남 아파트 종부세 급등…“기절하는 줄” “노후 파산” 한숨 (TV조선, 2020년11월23일)


- [핫이슈] 발등의 불 ‘종부세’ 폭탄 예외(매일경제, 2020년11월24일)/이하 생략


다수의 언론은 종부세가 세금이 아니라 벌금이자 폭탄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 근거를 제시하지는 않는다. 종부세 납부자는 전체 국민의 1.3%다. 그것도 대다수는 다주택 소유주로 그동안 임대소득을 비롯한 불로소득을 얻은 고액납부자들이다. 강남의 30억짜리 아파트에 부과되는 종부세는 아파트 크기와 위치에 따라서 100-250만원 수준이다. 만일 연봉 1억을 받는 월급생활자에게 종부세가 1,000만원 부과되었다면, 그는 강남에 아파트를 서너 채는 가지고 있거나, 한남동 더힐에 거주하는 고액소득자일 것이다(KBS김원장 기자의 페이스북). 일부 기사에서는 3년이나 5년 후에 내야 할 세금을 합산하여 올해 부과된 종부세가 세금 폭탄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렇듯 사실을 전달하지만, 의도적으로 정황이나 근거를 불확실하게 제시함으로써 사실관계를 의도적으로 왜곡하는 경우를 의도된 왜곡정보(mal-information)라고 부른다. 흔히 ‘가짜뉴스(fake news)’의 세 가지 주요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만일 국세청이 발표한 과세기준을 제대로 읽지 않고 누군가에게 들은 이야기를 바탕으로 잘못된 정보(mis-information)을 전달했다고 하더라도 ‘가짜뉴스’이다. 심지어 1.3%에게 부과된 종부세를 98.7%가 나눠 내야 한다는 주장은 허위정보(dis-information)에 해당하는 ‘가짜뉴스’이다. 이러한 정확하지 않은 의도된 왜곡은 곳곳에서 나타난다.


언론은 사람에게 시선을 돌려야 한다


아파트는 사람이 사는 주거공간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오랫동안 자산증식을 위한 수단으로 투기에 악용됐었다. 아파트가 주거를 위한 공간이 아니라 투기 대상이 되면서, 상품이 가진 본원적 가치는 외면되었다. 아파트 가격은 분양원가나 지리적 편리성, 심미적 요소, 공간구획, 인테리어같이 사용가치에 미치는 요인보다는 해당 아파트가 위치한 지역에 있는 다른 아파트의 가격이 더 중요하게 반영되었다. 한마디로 해당 아파트가 갖는 사용가치보다는 ‘시세’라는 물신성에 기반(基盤)한 교환가치가 가격을 결정짓는다.


물론 정부정책을 보면 시장에서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과도기적 조치가 적절히 수행되지 못한 미숙한 부분도 있다. 그러나 주거지가 더는 무형의 물신성에 기반 하여 투기의 대상이 되지 않도록 만들겠다는 의지만큼은 올바른 방향성이다. 언론이 비판해야 할 곳은 그 방향성이 올바른 수단과 방법으로 이행되는지, 그리고 공동체와 국민을 위한 정책인지를 감시하는 역할이다. 이제 언론도 ‘시세’라는 물신에 매달려 부동산투기와 불로소득을 부추기는 왜곡된 정보를 양산하기를 그쳐야 한다.


2020년에도 산업재해로 수천 명이 목숨을 잃었다. 그들은 대부분 대도시와 그 주변부에서 세입자로 살아간다. 서울에만도 시민의 절반이 무주택자로 주거한다. 그들은 ‘강남’이라는 불패신화 속에서 투기꾼들의 문간방 그 어딘가에 세 들어 ‘오늘도 무사히’를 외며 살고 있다. 이제 언론인들의 시선이 ‘강남’이 아닌 ‘문간방’에 머물러야 할 시간이다.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하지 아니한 것이 곧 내게 하지 아니한 것이니라(마 25:45)”. 언론이 ‘지극히 작은’ 이용자들에게 공감 받지 못하는 순간, 그들의 ‘지불의사’는 사라지고, 언론이 세 들어 살던 문간방은 곧 비워질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언론위원회의 ‘(주목하는) 시선’에는 김당 UPI뉴스 대기자, 김덕재 전 KBS PD, 김주언 열린미디어연구소 상임이사, 심영섭 경희사이버대 겸임교수, 장해랑 세명대 저널리즘스쿨대학원 교수, 정길화 아주대 겸임교수,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 등이 참여하고 있다(가나다순). 이번 달의 필자는 심영섭 교수이다.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598건 207 페이지
  • “결혼하지 않고 아이도 낳지 않는다. 교회는 뭘 해야 할까?”
    고신뉴스 KNC | 2020-12-10
    2019년 신혼부부통계, 최근 5년 신혼부부 126만 쌍…40% 무자녀▲ 자료 출처: 통계청혼인 5년 이내 신혼부부가 4년 연속 줄어들면서 126만 쌍으로 내려앉았다. 초혼 신혼부부 10쌍 중 4쌍은 자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통계청이 2020년 12월 10일 발표한…
  • 기독교환경운동연대, "기후위기 선제적 대응해야"
    CBS노컷뉴스 | 2020-12-10
    [앵커]내년부터 파리기후협약이 발효됩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들이 지구 기온 상승 억제를 위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감축하는 노력을 해야 하는데요.기독교환경운동연대가 최근 기후위기를 고민하는 책을 펴내고 교회의 선제적 대응을 호소하고 나섰습니다. …
  • 예장 합동, “교회 철저한 자율방역 힘써달라”...주요 교단 2.5단계 교회 대응 지침
    CBS노컷뉴스 | 2020-12-10
    예장합동을 비롯한 주요 교단들이 사회적거리두기 2.5단계 상향에 따라 자율방역에 최선을 다해달라며 전국 교회에 안내문을 발송했다.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총회(총회장 소강석 목사, 이하 예장합동)가 수도권 거리두기 2.5단계 격상에 따른 교회 대응지침을 발표했다.예장합동 위…
  • 예장합동·통합 임원들, “한국교회 연합 위해 힘 모으자”
    CBS노컷뉴스 | 2020-12-10
    예장합동(소강석 총회장)과 통합총회(신정호 총회장) 임원들이 최근 연석회의를 갖고, 한국교회 연합을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사진제공 = 기독신문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총회와 통합총회 임원들이 최근 교단 교류 모임을 갖고, 한국교회 연합과 회복을 위해 두 교단이 협력하기…
  • 한때 동거 이만희·김남희..법정에서 원색적 비난
    CBS노컷뉴스 | 2020-12-10
    신천지 이만희 교주가 재판 출석을 위해 경기도 수원지방법원으로 들어서고 있다. 이한형기자한때 신천지 1인자와 2인자로 동거까지 했던 이만희 교주와 김남희 씨가 피고와 증인신분으로 선 법정에서 상대를 원색적으로 비난했습니다.감염병예방법 위반과 횡령 등의 혐의로 재판을 …
  • 3개 종단 노동인권연대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하라"
    CBS노컷뉴스 | 2020-12-10
     개신교와 천주교, 불교 3개 종단 노동인권연대가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일하다 산업재해로 숨진 고 김용균 씨 2주기를 맞아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을 촉구하는 공동성명서를 발표했습니다.이들은 성명에서 청년 비정규직 노동자 김용균 씨가 사망한 이후 산업안전보건법이 제정됐지만 …
  • 접경지역 종교인들 "대북 전단살포 금지법 환영"
    CBS노컷뉴스 | 2020-12-10
     접경지역 마을에서 남북 평화를 위해 기도해 온 종교인들이 '대북 전단살포 금지법' 제정을 지지하고 환영한다는 입장을 국회의장과 통일부장관 등에게 전달하고 법 제정을 촉구했습니다.월요평화기도회 목사모임과 천주교 의정부교구 민조화해 사제모임 등은 '대북 전단살포 금지법'…
  • 코로나 늪에 빠진 기독 문화계… 다시 일어설 수 있나
    CBS노컷뉴스 | 2020-12-10
    코로나19 사태에 기독 문화계 직격탄 맞아 문선연 백광훈 원장 "디지털 소통 역량 강화해야" 지난 봄 극장 재개봉을 앞두고 있던 영화 '교회 오빠'는 코로나 19 유행에 영화관 상영을 포기했고, 뮤지컬 '지저스'는 지난 2월 말 공연을 전면 중단했다.뮤지컬 전용극…
  • 만능 부교역자 요구하지만 처우는?
    데일리굿뉴스 | 2020-12-09
     부교역자에게 거는 기대가 갈수록 커지고 있는데요. 최근 한 전임전도사 청빙공고에는 운전면허와 컴퓨터 활용능력이 지원 조건으로 올라왔다고 합니다. 한국교회의 치유와 회복을 위한 GOODTV 연중특별기획 ‘주여, 이 땅을 치유하소서’ 열두번째 편에선 부교역자들의 현실에…
  • 제주서 평화통일 소망 기도 시작됐다
    기독신문 | 2020-12-09
    통준위 6일 평화통일기도회 ... 기도운동 확산 의지와 포부 밝혀총회통일준비위원회 위원장 김기성 목사가 평화통일기도회에서 설교하고 있다.다시 제주에서 한반도 평화통일을 소망하는 기도의 닻이 올랐다.총회통일준비위원회(위원장:김기성 목사·이하 통준위)는 105회기 제1차 …
  • 밀알복지재단, 팬기부 챌린지 론칭
    뉴스파워 | 2020-12-09
    좋아하는 연예인 이름으로 기부하는 ‘팬기부 챌린지’ 캠페인 론칭 밀알복지재단이 좋아하는 연예인 이름으로 기부하는 ‘팬기부 챌린지’를 실시한다.  밀알복지재단(이사장 홍정길)은 8일 신규 온라인 기부 캠페인 ‘착한 덕질 시리즈 – 팬기부 챌린지’ 캠페인을 시작한다고 밝혔…
  • 64ca6f218eb9753cbed0e8f45a4b4bb5_1607540805_9383.png
    월드비전 합창단 60주년 기념展 ‘When I Sing’ 개최
    뉴스파워 | 2020-12-09
    60년의 기록과 감동을 다양한 콘텐츠로 마주하는 신개념 갤러리 음악 전시회   국제구호개발 NGO 월드비전(회장 양호승)이 합창단 창단 60주년을 맞아 언택트 시대에 처음으로 시도하는 신개념 갤러리 음악 전시회 ‘When I Sing(내가 노래를 부르면)’을 오는 9일…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일부 언론의 종부세 폭탄 보도는 선동적 ‘가짜뉴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 2020-12-09
    산업재해 사망자 등 관련 보도는 철저히 외면언론은 ‘물신’이 아닌 사람에게 눈을 돌려야(사진: 중앙일보)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이하 NCCK, 총무: 이홍정) 언론위원회(위원장: 권혁률)는 지난 8일 “‘종부세 폭탄’과 ‘부유한 빈민’>”를 선정발표하고, 한국언론이 …
  • 기독교인 4074명, "윤석열 검찰총장 해임해야"
    뉴스파워 | 2020-12-09
    검찰개혁 촉구 기자회견 열어 “적폐 중에 최고봉은 단연 검찰조직” 규탄 기독교인 4074명은 검찰개혁과 윤석열 검찰총장 해임을 촉구했다.▲ 기독교인 4074명은 검찰개혁과 윤석열 검찰총장 해임을 촉구했다.취지를 설명하고 있는 방인성 목사(우측에서 세번째)     © 뉴…
  • 예장통합, 사회적거리두기 지침 위반 논란?
    CBS노컷뉴스 | 2020-12-09
    지난 8일 포항서 열린 정책세미나에 2백 명 참석해 논란행사 당일 거리두기 2단계 시행 중 ... 100명 이상 모임 금지 [앵커]코로나19 확진자가 6백명을 넘어서면서 교계에서 감염확산을 막기 위해 일정을 취소하거나 연기하고 있습니다.이런 가운데 예장통합 총회가 경…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