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모 주교 "미래 살아남을 종교 뭘까…‘목마른 사슴’의 힌트" > 한국교계뉴스 Korean News | KCMUSA

윤종모 주교 "미래 살아남을 종교 뭘까…‘목마른 사슴’의 힌트" > 한국교계뉴스 Korean News

본문 바로가기

  • 한국교계뉴스 Korean News

    홈 > 뉴스 > 한국교계뉴스 Korean News

    윤종모 주교 "미래 살아남을 종교 뭘까…‘목마른 사슴’의 힌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중앙일보| 작성일2021-02-26 | 조회조회수 : 3,464회

    본문

    [백성호의 우문현답] 



    23일 서울 양천구 목동에서 성공회 윤종모(71) 주교를 만났습니다. 윤 주교는 기독교 영성과 명상에 방점을 찍는 수도자이기도 합니다. 궁금했습니다. 그가 바라보는 ‘종교의 미래’는 어떤 것일까. 지난 인터뷰에 이은 2편입니다.  

     

     d746ebbd207700e0ef36102abccebfe4_1614390446_2275.jpg
     

    요즘 대부분 종교가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갈수록 성직자 수가 줄어들고, 신자 수도 급감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젊은 세대는 종교에 그다지 관심이 없습니다. 종교적 제도와 격식도 좋아하지 않습니다. 한 세대만 바뀌어도 종교의 지형도는 굉장히 달라질 것 같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입니다. 가까운 미래에 종교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요. 무엇이 사라지고, 무엇이 남아있게 될까요. 그런 질문을 그에게 던졌습니다. 윤종모 주교는 종교의 본질에 대한 남다른 안목이 있기 때문입니다.    

     

    Q 종교도 진화를 합니까.

     

    A “유일신을 믿는 기독교는 처음에 배타성을 띄었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이성이 발달함에 따라 기독교도 변해왔습니다.”

     

    Q 어떻게 변해왔습니까.  

     

    A “배타성에서 포용성으로, 포용성에서 다원 종교로, 이제는 다원 종교에서영성적 차원의 종교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영성적 차원에서는 교리라든가, 율법이라든가, 종교적 제도가 그다지 중요하지 않습니다. 단지 종교의 문화유산 정도로 여겨지게 될 거라 봅니다.”

     

     d746ebbd207700e0ef36102abccebfe4_1614390507_0012.jpg 

     

    Q 미래 종교는 ‘영성적 차원의 종교’라고 할 수 있겠네요. 기독교가 영성적 차원을 회복하려면 어찌해야 합니까.

     

    A “순수하고 단순하게 예수의 영성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기독교의 역사와 전통을 들여다보면 구체적인 방법론이 있습니다. 가령 영성 수련이나 관상기도 등 기독교식의 명상이 이에 해당합니다. 사실 미래에 대비해 영성적 차원을 회복해야 하는 건 비단 기독교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불교 등 다른 종교도 마찬가지입니다.”

     

    Q 불교를 예로 들어 보죠. 가령 불교가 영성적 차원을 회복하려면 어떡해야 합니까.  

     

    A “기복 종교나 신화ㆍ설화 중심의 대중적 신앙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그리고 붓다와 고승들의 순수한 가르침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여기에도 구체적인 방법론이 있습니다. 불교식 명상과 참선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d746ebbd207700e0ef36102abccebfe4_1614390552_246.jpg 


    Q 가톨릭에는 영성수련과 관상기도 등 풍성한 명상 전통이 있습니다. 반면 개신교는 ‘명상’이라는 단어에 대해 상당한 거부감을 느낍니다. 왜 그렇습니까.

     

    A “중세 때 그리스도교는 상당히 타락했습니다. 당시 ‘예수로 돌아가자, 성경으로 돌아가자’는 종교개혁을 통해 개신교가 생겨났습니다. 당시 개신교는 가톨릭에 전해져 내려오는 숱한 전통을 거부했습니다. 그때 가톨릭의 수도와 명상의 전통도 덩달아 거부한 겁니다. 그래서 지금 개신교는 가톨릭에 비해 ‘기독교식 명상법’이 너무나 빈약합니다. 그나마 남아 있는 게 묵상과 큐티(Quiet Timeㆍ성경 읽기와 짧은 묵상) 정도입니다.”

     

    Q 가톨릭에 남아 있는 명상법은 가톨릭만의 전유물인가요.

     

    A “그렇지 않습니다. 그러한 명상법은 그리스도교 전체의 유산입니다. 실은 개신교도 그걸 받아들이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따지고 보면 남의 유산이 아니라 자신의 유산이니까요.”

     

     d746ebbd207700e0ef36102abccebfe4_1614390594_1426.jpg 


    윤종모 주교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성공회의 그레이스 대성당 이야기를 꺼냈습니다. “그레이스 대성당은 교회 내부의 바닥에 미로가 그려져 있는 교회로 유명합니다. 거기서는 500~600명의 사람이 모여 미로를 걸으며 명상도 하고, 요가도 하고, 음악 감상도 합니다. 그런 과정에서 사제는 예수의 가르침에 대한 영성적 메시지를 선포하기도 합니다. 제게는 미래의 교회 모습에 대한 한 면을 보여주는 것 같았습니다.”  

     

    Q ‘영성’이란 한 마디로 무엇입니까.

     

    A “예수님과 부처님의 깨달음과 가르침의 본질을 찾아가는 그 자체입니다. 성경 시편에 보면 ‘목 마른 사슴이 시냇물을 갈구하듯이, 내 영혼이 주님을 찾아 목이 마르다’는 구절이 있습니다. 저는 이게 ‘영성적 욕구’를 표현한 것이라 봅니다.”

     

    Q 다른 종교에서는 영성적 욕구를 어떤 식으로 표현합니까.  

     

    A “불교에서는 ‘심우도(尋牛圖)’라고 소를 찾아가는 10개의 그림을 통해 표현합니다. 소는 본래의 순수한 마음을 의미합니다. 이건 불교적 영성입니다. 심리학자들은 영성을 ‘자아초월의 욕구’라고 표현합니다. 또 생활 속에서 영성을 좇는 사람은 ‘고도로 세련된 인간의 정신’이라 말하기도 합니다. 표현은 조금씩 달라도 여기에는 공통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d746ebbd207700e0ef36102abccebfe4_1614390639_0247.jpg
     

    Q 종교에 왜 명상이 필요합니까.  

     

    A “전통적인 신앙을 하는 사람들이 영성 회복을 원할 때, 가장 좋은 도구가 명상이라고 봅니다. 미래 사회에서도 살아남는 종교가 되려면 명상을 보편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야 영성이 살아 숨 쉬는 종교가 될 수 있으니까요. 개신교에서는 명상에 대한 오해가 많습니다.”

     

    Q 어떤 오해입니까.  

     

    A ‘명상’이라고 하면 불교의 명상, 인도의 명상을 떠올리기 때문입니다. 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하느님께 드리는 기도도 명상이고, 성경을 읽고 난 뒤의 묵상도 명상입니다. 예수님도 명상을 하셨습니다. 기독교의 영성 수련이 바로 기독교의 명상입니다.”

     

    Q 미래의 종교는 영성의 종교가 될 거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영성은 전문 수도자나 일부 영성가들만의 몫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꽤 있습니다. 평범한 사람에게 영성은 멀리 있는 것입니까.

     

    A “수년 전 중국 호텔에 갔을 때 재미난 문구를 봤습니다. ‘우리 호텔의 목적은 고객들이 여기서 묵고 가는 것이 아닙니다. 고객들이 여기서 즐거움과 평화를 얻는 것이 목적입니다.’ 그렇게 적혀 있었어요. 그게 뭘까요. 그 호텔의 영성입니다. 만일 어떤 기업가가 물건을 팔면서 돈만 벌기 위한 게 아니라, 사람들이 더 편리하고 행복해졌으면 좋겠다는 목적으로 일하면 어떻습니까. 그게 그 기업의 영성이 됩니다. 가령 중국집 셰프가 자장면을 수타하면서 ‘한 그릇 팔면 1000원, 두 그릇 팔면 2000원’ 식으로 생각하지 않고, 이 음식을 먹고 누군가 더 건강하고 행복해지면 좋겠다며 일하면 어떨까요. 그건 요리사의 영성이 됩니다. 마음을 열어서 보세요. 영성은 멀리 있지 않습니다.”

     

     d746ebbd207700e0ef36102abccebfe4_1614390692_5136.jpg 


    호텔의 영성, 기업의 영성, 요리사의 영성. 이 모두에는 공통분모가 있습니다. 본질적 의미와 가치를 찾아간다는 겁니다. 종교도 마찬가지입니다. 그 종교가 처음 생겨난 존재 이유, 그걸 찾아가는 게 영성이겠지요. 예수가 갈릴리 호숫가에서 메시지를 들려준 이유, 붓다가 사람들을 향해 꽃을 들어올린 이유. 사람을 평화롭고, 행복하고, 자유롭게 하는 일입니다. 잠시 잠깐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말입니다. 그래서 미래에 살아남는 종교가 ‘영성의 종교’가 될 거라는 예측은 듣기만 해도 참 흐뭇했습니다.   

     

    글=백성호 종교전문기자 vangogh@joongang.co.kr, 사진=김상선 기자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550건 172 페이지
    • 예장합동, 다음세대 신앙교육에 사활 걸었다
      CBS노컷뉴스 | 2021-03-09
      4차산업혁명 시대 대비 ‘총회교육개발원’ 출범소강석 총회장, "코로나 어두운 터널 지나도 사람 키워야"송태근 초대 이사장, "플랫폼과 콘텐츠 싸움"국내 최대 개신교단인 예장 합동총회(소강석 총회장)가 다음 세대 신앙 교육 강화에 나섰다. 총회교육개발원 초대 이사장 송태…
    • 교계, 코로나19 장기화 '상생' 나눔 문화 확산 기여
      CBS노컷뉴스 | 2021-03-09
      [앵커]코로나 취약계층 지원에 나섰던 주요 교단들이 코로나19 장기화로 존립의 기로에 서 있는 미자립교회 지원에 나서고 있습니다.코로나19 장기화가 역설적으로 교계 상생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송주열 기자의 보돕니다.[기자]사진은 새에덴교회 '선한소통 상품권'…
    • 감리교, 다음세대 교육 위해 '미래교육콘텐츠개발원' 창립
      CBS노컷뉴스 | 2021-03-09
      기독교대한감리회는 지난 4일 서울 마포구 열림교회에서 '미래교육 콘텐츠개발원' 창립총회를 열고 교회학교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앵커]코로나19로 인해 교회 내 각종 대면모임이 어려워지면서 다음세대 교육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특히 규모가 작은 교회들은 교육 콘텐츠…
    • [갓플렉스 시즌2] “투자의 목적은 부를 일궈 선한 영향력 끼치는 것”
      국민일보 | 2021-03-08
      <3> 존 리 메리츠자산운용 대표가 말하는 ‘신앙인의 투자’ 존 리 메리츠자산운용 대표가 최근 서울 종로구 사무실에서 인터뷰를 갖고 기독교인들이 건전한 부를 추구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말하고 있다. 강민석 선임기자 ‘존봉준’은 존 리(63…
    • ‘전두환 차남’ 전재용씨, 성남 우리들교회 전도사로
      국민일보 | 2021-03-08
      전씨 “교도소서 찬송가 듣고 눈물, 내가 목사 된다니 아버지 기뻐해” 전두환 전 대통령의 차남 전재용(57·사진)씨가 7일 경기도 성남 우리들교회(김양재 목사) 전도사로 부임했다.우리들교회 관계자는 “담당 사역이 정해지진 않았다. 일종의 인턴십 기간을 지내며 교육받을 …
    •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민주주의 지켜내겠다”
      뉴스M | 2021-03-08
      재한 미얀마인 군부 쿠데타 규탄 집회, 개신교계·시민사회도 속속 연대 재한미얀마청년연대는 7일 오후 대전역 광장에서 '미얀마 민주화를 위한 집회'를 열었다. 이날 집회엔 충청지역을 비롯해 전국에 거주하는 재한 미얀마인 약 80여 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군부 쿠데타에 저…
    • 전두환 차남 전재용, 목회자의 길로
      국민일보 | 2021-03-06
      전두환 전 대통령의 차남 전재용(57)씨가 목회자가 되기 위해 신학대학원에서 공부하고 있다고 밝혔다.전씨와 탤런트 박상아씨 부부는 5일 극동방송의 ‘만나고 싶은 사람 듣고 싶은 이야기’에 출연해 신학 공부를 하게 된 사연을 털어놓았다.전재용씨(오른쪽)와 탤런트 박상아씨…
    • '미나리'로 세대 통합…美 어른을 위한 영화 선정
      데일리굿뉴스 | 2021-03-05
      ▲골든글로브 외국어영화상에 이어 미국 어른을 위한 영화로 선정된 영화 '미나리'의 출연진.(사진제공=연합뉴스)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최우수외국어영화상을 받은 영화 '미나리'가 미국 어른들을 위한 영화로 도 선정됐다. 4일(현지시간)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의 비영…
    • 파이오니아21-KCFF, 단편영화 시나리오 공모전 개최
      데일리굿뉴스 | 2021-03-05
      ▲지난해 9월 19일 열린 제5회 한국기독교영화제에서 권오중 위원장과 파이오니아21 연구소장 김상철 감독(오른쪽부터), 이성혜 부위원장(맨 왼쪽)이 수상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데일리굿뉴스20년 가까이 기독교 영화의 질적·양적 성장을 위해 힘써온 파이오니아21 연…
    • 담임목사, 매년 교회 분쟁의 중심에 있다
      고신뉴스 KNC | 2021-03-05
      교회문제상담소, ‘2020년 상담통계 및 분석 보고’ 발표교회 분쟁에서 가장 많이 상담한 핵심 분쟁 유형이 재정 전횡(14개 교회, 21%)으로 나타났다. 그다음이 교회운영문의(정관 및 교단 헌법) 유형(9개 교회, 14%)이다.이 같은 결과는 교회개혁실천연대(공동대표…
    • 이웃과 자연 향한 회심… “7일은 사회봉사주일”
      국민일보 | 2021-03-05
      예장통합 사회선교 돌아보는 주일 준비… 전국 노회와 교회에 공동기도문 등 전달예장통합은 오는 7일을 이웃 사랑과 생태적 회심을 강조하는 사회봉사주일로 지킨다. 사진은 2008년 충남 태안 기름유출 현장에서 봉사하는 한국교회 어린이 성도들. 국민일보DB 코로나19가 휩쓴…
    • 월드비전, "코로나19 속 더욱 취약한 아동·청소년 돌봐야"
      CBS노컷뉴스 | 2021-03-05
      아동·청소년 41%, "가정 경제 악화"· 61%, "교육의 질 하락"· 20%, "의료·보건서비스 악화" "성인 중심의 코로나19 대응책, 아동·청소년 포괄하지 못해..목소리 직접 담아야" "난민·장애 아동·위기 청소년 등 불평등 심화..사각지대 아동 지원해야" …
    • '대면예배 강행' 안디옥교회 목사, 첫 재판서 혐의 부인
      뉴시스 | 2021-03-04
      전도사와 함께 감염병 관련 법률 위반 재판 넘겨져"온라인 예배 송출 주관, 행정명령 위반 대상 아냐" [광주=뉴시스] 신대희 기자 =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행정명령을 어기고 집합·대면 예배를 강행한 광주 안디옥교회 목사와 전도사가 첫 재판에서 혐의를 부인했다.광…
    • 위기 청소년 사회 정착 돕는 상상드림 카페
      데일리굿뉴스 | 2021-03-04
      잘못된 선택으로 소년원을 다녀온 청소년 중에는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다시 범죄의 길로 빠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위기 청소년들이 사회에 정착하고 새로운 꿈에 도전하도록 돕는 공간이 있다. ▲경기도 화성 상상드림카페“전문 직업 갖고 사회 정착하도록 도와”경기도 화성의…
    • '200억 손실 투자' 예장통합연금재단 또 특감
      CBS노컷뉴스 | 2021-03-04
       [앵커]5천6백억 원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는 예장통합 총회연금재단이 또다시 특별감사 요구를 받고 있습니다. 3년 전 투자한 200억원을 날릴 상황이 되면서, 연금 가입자들이 특별감사를 요구한 겁니다.연금재단은 오는 18일 이사회를 열어 특감 수용 여부를 최종 …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