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리서치센터 최근 발표 5 -.한국 기독교인들은 종교를 긍정적으로 본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퓨리서치센터 최근 발표 5 -.한국 기독교인들은 종교를 긍정적으로 본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퓨리서치센터 최근 발표 5 -.한국 기독교인들은 종교를 긍정적으로 본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KCMUSA| 작성일2024-06-26 | 조회조회수 : 53회

본문

동아시아에서 불교인이었던 사람과 평생 불교인으로 살아가는 사람의 차이 


살펴본 바와 같이, 동아시아에는 무교인 사람들이 많습니다. 홍콩 성인의 37%, 한국의 35%, 대만의 22%, 일본의 21%는 어린 시절 불교, 기독교, 도교 등의 종교 환경에서 자랐지만 현재는 더 이상 어떤 종교적 정체성도 없다고 말합니다. (비교가 되는 베트남 성인의 4%만이 종교를 이탈했습니다.)


이와 동시에, ‘무교’라고 말하면서도 일부 종교적 신념을 내바치고 일부 전통적인 영적 행위에 참여한다고 말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이는 아시아에서 종교적 소속은 얼마나 의미가 있을까? 종교적인 꼬리표가 중요하기나 할까?와 같은 의문을 제기합니다.


간단히 답변하면 “그렇다”입니다. 사람들이 자신을 설명하는 방식에는 의미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범주의 동아시아인을 생각해 보십시오.


▪ 평생 불교인으로 살아가는 사람(불교인으로 자랐으며 아직도 자신을 불교인라고 생각하는 사람)


▪ 이전에 불교인이었으며 현재는 무교인 사람(불교인으로 자랐지만 더 이상 어떤 종교적

정체성도 없는 사람)


▪ 평생 무교로 살아가는 사람(무교 환경에서 자랐으며 여전히 자신을 무교라고 생각하는 사람)


설문조사를 실시한 4개 동아시아 사회(홍콩, 일본, 한국, 대만)에는 세 범주 모두에 충분한 사람들이 있어 각 그룹을 자세히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 모든 지역에서 평생 불교인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은 불교인이었던 사람들보다 훨씬 더 높은 비율로 종교 활동에 참여하고 종교적 신념을 유지하고 있다고 일관적으로 말합니다. 그러나 평생 무교로 살아가는 사람보다 평균적으로 신앙심이 더 깊은 불교인이었던 사람들에게는 어릴적 불교인으로 살았던 시절의 잔여 영향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만에서 평생 불교인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은 불교인이었던 사람들보다 일반적으로 사원이나 탑에 간다고 답할 확률이 30% 더 높습니다(91% 대 61%). 또한, 불교인이었던 사람들은 평생 무교로 살아가는 대만인들보다 사원이나 탑을 방문할 가능성이 16포인트 더 높습니다(61% 대 45%).


조상 숭배에 관한 설문조사 질문에서도 비슷한 패턴이 나타납니다. 세 범주 모두에 속한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난 12개월 동안 조상을 기리거나 돌보기 위해 향을 피웠다고 말하지만, 이 활동은 평생 불교인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서 가장 흔히 보입니다. 홍콩에서는 지난 1년 동안 평생 불교인으로 살아가는 사람 중 84%가 조상에게 향을 피운 반면, 불교인이었던 사람 중 65%와 평생 무교로 살아가는 사람 중 59%가 그렇게 했다고 말합니다.


또한, 불교인의 개념을 생각해 볼 때 이들은 일반적으로 평생 불교인으로 살아가는사람이라기보다는 평생 무교로 살아가는 사람에 더 가깝습니다. 일본의 평생 불교인으로 살아가는 사람의 다수(57%)는 불교를 “행동을 인도하는 일련의 윤리적 가르침이다”로 보는 반면 보다 적은 비율의 불교인이었던 사람(43%) 및 평생 무교로 살아가는 사람(44%)들이 동일하게 말합니다.


간단히 줄이자면, 사람들이 현재의 종교적 소속 및 어린 시절의 종교적 소속을 설명하는 방식은 본인의 종교적 신념 및 실천 수준과 일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b38a0dcf781a0f19b9c12a43cb1a680a_1719427378_4579.jpg
 

그 외이 보고서의 중요한 결과


▪ 설문조사 대상인 동아시아 4개 사회 각각의 성인 중 최소 5분의 1과 인근 베트남 성인의 79%가 조상의 영혼이 삶의 어느 시점에서 도움이 되었다고 느낀다고 말합니다. (5장에는 조상과의 교감에 대한 더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 지역 전반에 걸쳐 설문조사에 참여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현재 종교적 정체성과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더라도 적어도 하나의 종교적 신념이나 철학에 따른 “삶의 방식”과 개인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 기독교인의 34%는 불교인의 삶의 방식에 개인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한다고 하고, 한국 불교인의 26%는 기독교인의 삶의 방식에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합니다. (2장에서는 삶의 방식으로서의 종교와 여러 전통에 대한 사람들의 친밀감에 대해서 논합니다.)


▪ 모든 종교 집단에 속한 성인들 대다수는 불교를 “행동을 인도하는 일련의 윤리적 가르침” “우리가 속한 문화” 및 “따르기로 선택하는 종교”라고 말합니다.(2장에서는 불교인들이 “진정한” 불교인이 되는 데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몇 가지 믿음과 의식 외에도, 설문 응답자들이 불교를 정의하는 방식에 관한 자세한 내용을 다룹니다.)


▪ 모든 지역 전반에 걸쳐 사람들, 특히 기독교인들은 일반적으로 종교를 사회의 긍정적인 힘으로 여깁니다. (6장에서는 종교와 사회의 교차점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 결과 요약본은 원본 영어 버전에서 번역되었습니다.


작성: 조나단 에반스(Jonathan Evans), 앨런 쿠퍼맨(Alan Cooperman), 켈시 조 스타(Kelsey Jo Starr), 마놀로 코리치(Manolo Corichi), 윌리엄 마이너(William Miner), 커스틴 르세이지(Kirsten Lesage)

선임연구원 조나단 에반스(Jonathan Evans)

커뮤니케이션 매니저 악사 칼라한(Achsah Callahan)


조사 방법


본 보고서 작성하기 위해 당사는 동아시아 및 인근 베트남 지역의 성인 10,3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현지의 조사자가 7개 언어로 2023년 6월부터 9월까지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홍콩, 일본, 한국, 대만의 4개 지역에서는 전화 인터뷰를 실시했으며, 베트남에서는 대면 인터뷰를 실시했습니다.


본 설문조사는 The Pew Charitable Trusts 및 John Templeton Foundation에서 Pew Research Center가 종교의 변화 및 그러한 변화가 전세계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폭넓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Pew-Templeton Global Religious Futures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후원했습니다.


Center에서는 과거 종교에 초점을 맞춘 설문조사를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중동-북아프리카 지역 및 대규모 이슬람교도 집단이 속한 다양한 사회, 라틴 아메리카, 이스라엘, 중부 유럽 및 동유럽, 서유럽, 인도,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및 미국을 대상으로 실시했습니다.


본 설문조사를 설계할 때는 여러 단계를 거쳐 질문이 문화적으로 적절할 것인지 및 응답자가 질문이 의도한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인지를 확인했으며, 아시아 지역의 종교에 관한 학술 전문가인 자문단과 상의했습니다. 일본과 대만에서는 인지적 인터뷰를 수행했습니다. (인지적 인터뷰에서 응답자는 질문을 소리내어 읽고 질문에 답하며, 본인의 생각을 이야기할 것을 요청받습니다.) 전체 설문조사의 설문지도 실시하기 전에 다섯 개 지역 모두에서 사전 테스트를 거쳤습니다.


본 설문지는 영어로 작성되어 6개 언어 즉, 광둥어, 민남어, 일본어, 한국어, 표준 중국어 및 베트남어로 번역되었고, 원어민 수준의 언어 전문가들이 번역을 독립적으로 확인했습니다. “신”을 믿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번역가는 각 언어에서 신을 지칭하는 데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단어를 선택하고 특정 종교의 신이나 여신을 독점적으로 지칭하는 용어는 피하도록 지침을 받았습니다.


응답자는 확률 기반 표본 설계를 사용해 선정되었습니다. 데이터는 다양한 선정 확률을 설명하고 성인 모집단을 대상으로 인구통계적 기준에 맞게 가중치가 부여되었습니다. 이렇게 하여 본 설문조사가 나이, 성별, 교육의 측면에서 더 넓은 의미의 대중을 대표하도록 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보고서의 방법론 섹션(영어) 및 전체 설문조사 설문지(영어)를 참조하십시오.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95건 1 페이지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