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 교인이 되려면 어떤 기준? 목회자보다는 신자들이 보는 기준이 더 엄격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정규 교인이 되려면 어떤 기준? 목회자보다는 신자들이 보는 기준이 더 엄격

    페이지 정보

    작성자 KCMUSA| 작성일2023-02-23 | 조회조회수 : 334회

    본문

    강단 뒤와 신도석에 있는 사람들에게 지역 교회의 정규 교인로 인정받고 싶다면 적어도 한 달에 두 번은 직접 출석해야 한다.


    라이프웨이 리서치(Lifeway Research)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 개신교 목회자와 교인의 대다수는 한 달에 두 번 이상 교회에 출석하는 사람을 정규 교인으로 간주한다. 대부분은 또한 다른 교회 활동이 아니라 '예배'에 얼마나 자주 참석하는지에 따라 정규 교인이 결정된다고 말한다.


    라이프웨이 리서치(Lifeway Research)의 책임자인 스콧 맥코넬(Scott McConnell)은 “누군가를 정규 교인으로 인정하는 기준에 대해 만장일치가 있었던 적은 없을 것”이라며, “그러나 최근에 교회 지도자들이 예배에 덜 참석하는 사람들도 정규 교인으로 인정하는 것을 보고, 정기적으로 참석하는 사람들에 대한 사고 방식이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이 우리의 관심을 끌었다”라고 말했다.


    여러 조사기관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에서 교회 출석률이 감소했다. 이러한 추세는 COVID-19 대유행 이전에 이미 하향세를 보이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의 교회 출석 감소가 가속화되었다. 지난 가을, 라이프웨이 리서치(Lifeway Research)는 평균적인 교회 출석률이 팬데믹 이전 수준의 85%에 이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대부분의 미국 개신교 교회가 한동안 대면 예배를 중단했던 시기에서 벗어나, 목회자와 교인들은 이제 정규 교인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고려하고 있다.


    목회자들의 관점


    미국 개신교 목회자들이 교인 중 누군가를 정기적으로 교회에 다니는 사람으로 간주하는 경우, 5명 중 3명은 적어도 한 달에 두 번 출석할 것으로 예상하고 10명 중 1명은 한 달에 한 번 미만 출석하는 사람을 포함한다.


    정기출석을 월 1회 미만으로 정의하는 목회자는 1년에 1회 이상(2%), 1년에 2~3회(2%), 1년에 4~5회(2%), 6~10회 이상(4%) 출석하는 교인을 정규 교인이라고 본다. 약 4분의 1(24%)은 정기적으로 한 달에 한 번 참석하는 사람들을 정규 교인으로 보았고, 다수(30%)는 한 달에 두 번 참석하는 사람을 정규 교인으로 보았다.


    미국 개신교 목회자들이 교인 중 누군가를 정기적으로 교회에 다니는 사람으로 간주하는 경우, 5명 중 3명은 적어도 한 달에 두 번 출석할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정규 교인에 대해 더 높은 기준을 가지고 있다. 약 7명 중 1명(15%)은 한 달에 세 번, 13%는 매주라고 말한다. 목회자의 3%는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출석하는 사람만이 교회에 정기적으로 참석할 자격이 있다. 나머지 3%는 확실하지 않다.


    맥코넬은 “누군가가 얼마나 자주 교회에 참석하는 것은 교인들과의 교제와 봉사활동 등과 관련된 실제적인 의미가 있다. 일년에 몇 번 참석하는 사람들보다는 매주 참석하는 사람들이 사람들과 더 깊은 관계를 가질 가능성이 높으며, 교회에서 더 많이 봉사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예배에 적게 참석하는 사람들은 자발적인 봉사할동에 덜 참여한다”고 분석했다.


    65세 이상의 목회자의 22%는 정기적으로 교회에 출석하는 사람이란 매주 1회 이상 출석하는 사람으로 본다는 점에서 나이가 많은 목회자일 수록 정규 교인의 조건에 대해서 가장 높은 문턱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 아프리카계 미국인(36%)과 히스패닉 목회자(25%)는 백인 목회자(14%)보다 적어도 매주 1회 출석하는 것을 정규 교회 출석자의 기준이라고 말할 가능성이 높다.


    남부(20%)의 목회자들은 북동부(12%)나 중서부(11%)의 목회자들보다 매주 또는 그 이상 출석하는 사람들만 정규 교회 신자라고 답할 가능성이 더 높다.


    b75bfd59f5745cdaebdf6371bb51815a_1677195131_1397.jpg

    교단적으로는 오순절(26%), 회복주의 운동(26%), 침례교 목회자(23%)가 감리교(11%), 루터교(4%), 장로교/개혁파 목회자(4%)보다 매주 또는 그 이상 참석자를 정규 겨인으로 생각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에 주류 교단 목회자(30%)는 복음주의 목회자(20%)보다 한 달에 한 번 정기적으로 출석하는 교인을 정규 교인에 포함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작고 규모 교회의 목회자들은 월 출석이 누군가를 정규 교인으로 만든다고 믿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람들 중 하나이다. 50인 미만 교회(27%)와 50~99인 교회(27%)의 약 4분의 1은 한 달에 한 번 출석하는 사람이 정기적으로 교회에 다니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참석자로 간주되기 위해 누군가 정확히 '어디에 참석을 해야 하는지' 생각할 때 대부분의 목회자는 다른 활동보다는 '교회 예배'를 말한다. 미국 개신교 목회자 10명 중 6명(61%)은 정기적으로 교회에 다니는 사람에 대한 생각을 누군가가 교회 예배에 얼마나 자주 참석하는지에 근거한다고 말했다. 목회자 5명 중 2명(37%) 미만이 대면 출석을 엄격하게 고려하는 반면, 약 4명 중 1명(24%)은 온라인 출석도 고려했다. 세 번째(33%)는 교회 활동에 얼마나 자주 참석하는지를 살펴보는데, 9%는 직접 참석하고, 24%는 대면 또는 온라인 참여를 기반으로 한다. 확실하지 않다고 말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6%).


    18-44세의 젊은 목회자들은 정규 교인의 정의를 교회 예배에 직접 참석하는 것으로 정의할 가능성이 가장 높고(42%) 온라인 예배 참석을 포함할 가능성이 가장 낮았다(17%). 복음주의 목회자(45%)는 또한 주류 교단 목회자(25%)보다 물리적으로 교회 예배에 참석한다고 지적할 가능성이 더 높다.


    회중들의 관점


    교회에 다니는 사람들은 정기적인 교회 출석의 기준을 예배 출석의 빈도에 두는 경향이 있다. 한 달에 한 번 이상 교회에 참석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86%가 정기적으로 교회에 다니는 사람을 한 달에 한 번 이상 참석하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응답자의 60%는 매주 이상 출석하고, 매주 이상 출석하는 응답자의 68%는 정기적으로 출석하는 사람을 정규 교회 신자로 간주한다.


    교인이 예배에 더 자주 참석할수록 정규 교인으로 간주되기 위한 더 높은 문턱을 둘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러나 주 1회 미만 참석자라도 주 1회 이상을 정회원의 기준으로 여기는 비율이 많다. 한 달에 한 번(47%), 한 달에 두 번(41%), 한 달에 세 번(48%) 참석하는 사람들 중 5명 중 2명 이상이 주 1회 이상을 기준으로 꼽았다.


    맥코넬은 “교회에 다니는 사람들에 대한 연구는 매달 참석하는 사람들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뿐이지만, 정기적으로 교회에 다니는 사람들이 회중 생활에 더 자주 참여해야 한다는 데 그 그룹 사이에 합의가 있는 것 같다”며,  “정규 교인에 대한 목회자의 인식은 더 넓게 보이는 반면, 교인들은 주간 기준에 더 가까워 보다 엄격해 보인다"고 말했다.


    b75bfd59f5745cdaebdf6371bb51815a_1677195112_3484.jpg

    히스패닉(21%)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교회 신자(20%)는 백인 교회 신자(11%)보다 약 2배 더 많은 비율로 정규 교회 신자가 되기 위해서는 일주일에 한 번 이상 교회에 참석해야 한다고 답했다. 복음주의 신앙을 가진 교인(55%)은 복음주의 신앙을 가지지 않은 교인(38%)보다 주당 출석이 기준이라고 답할 가능성이 더 높다.


    목회자와 유사하게, 교인들은 다른 활동보다는 교회 예배에 참석하는 것과 정규 교인이 되는 것을 연결시킬 가능성이 더 크다. 대부분(57%)은 교회 예배를 기반으로 보는데, 그중 29%는 대면 출석에만 집중하고 28%는 온라인 예배 참석을 포함시킨다. 약 3분의 1(34%)은 모든 유형의 교회 활동에 초점을 맞추며, 14%는 대면 출석만을, 20%는 온라인 출석을 포함한다. 10명 중 1명(9%)은 확실하지 않다.


    복음주의 신앙을 가진 교인(33%)은 그렇지 않은 교인(26%)보다는 직접적인 대면 예배에 얼마나 자주 참석하는지를 기준으로 정규 교인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더 높다.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3,776건 4 페이지
    • 716e894a0b765a5c9fa6fd9518edcecc_1683947046_1538.jpg
      고 박희민 목사 천국환송예배와 하관예배를 끝으로 우리 곁 떠나
      KCMUSA | 2023-05-12
      아들 추모사에서 "아버지 고 박희민 목사는 훌륭하고 충만하며 풍요로운 삶을 살았다는 사실에 너무나 행복했고, 자신의 모든 꿈과 그가 상상하지 못했던 꿈까지도 이룰 수 있었다"고 전해고 박희민 목사의 천국환송예배가 오늘(12일 금요일) 낮 12시에 가주장의사에서 교단장으…
    • 8eabf351c9a9ceeb5de94776c0122acf_1683735014_0597.jpg
      민종기 목사 KCMUSA 신임 이사장 취임..."목회자와 교회, 성도 섬기며 선교적 사명 감당할 것"
      기독일보 | 2023-05-12
      KCMUSA 신임 이사장 취임식에서 답사를 전하는 민종기 목사 ©기독일보민종기 목사(충현선교교회 원로)가 지난 8일, 재미한인기독선교재단(KCMUSA) 신임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LA 코리아타운 소재 옥스포드팔레스 호텔에서 열린 KCMUSA 신임 이사장 취임식에서 민종…
    • "인생이 계획대로 흘러가던가" 고 박희민 목사가 남긴 이야기 [1]
      중앙일보 | 2023-05-11
      에티오피아 첫 한인 선교사로당시 젖먹이 아이들 풍토병도뉴욕서 형님 목회 도우며 준비토론토한인장로교회에서 청빙교인들의 상처 보듬으려 노력"그땐 정말 재미있게 목회했다"지난 2003년 2월 박희민 목사의 모습이다. 당시 나성영락교회 사무실에서 그를 만났다. 사진 기자로 중…
    • [삶과 추억] 1세대 한인 교계에 ‘큰 족적’…박희민 목사 별세, 향년 86세
      중앙일보 | 2023-05-11
      16년간 나성영락교회서 목회장학 사역 등 사회봉사 주도박희민 목사미주 한인사회를 대표하는 1세대 종교인 박희민 목사(사진)가 별세했다. 향년 86세. 재미한인기독교선교재단은 “박희민 목사가 전립선암 재발로 투병 생활을 하던 중 26일 오전 3시 자택에서 하나님의 품에…
    • ea31a27784a8bd294d29b2e852e9d8a1_1683848434_9425.jpg
      고 박희민 목사 장례예배 나성영락교회서 교회장으로 드려
      KCMUSA | 2023-05-11
       유가족들이 예배 후 참배객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아래 사진 맨 오른쪽이 박영자 사모. 조문을 간 KCMUSA의 신임 이사장 민종기 목사에게 인사하고 있다. 그 옆이 아들 박동기 장로와 며느리 헬렌, 딸 조이와 사위 석원과 손주들이다.지난 4월 26일 오전 3시 하…
    • 39c2924dc6361a8c9a533ea605d81ba0_1683847974_749.jpg
      [CA] ‘미주한인교회사’ 출판감사예배 성황리에 열려
      KCMUSA | 2023-05-11
      ‘미주한인교회사’ 출판감사예배 참석자들 재미한인기독선교재단(이하 KCMUSA 이사장 민종기 목사)이 5월 9일(화) 오전 11시 옥스포드팔레스호텔에서 미주한인이민 120주년과 KCMUSA 창립 20주년 기념 "미주한인교회사" 출판감사예배를 드렸다. 이날 예배는 "미주한…
    • d558e093ad5aaea27d839253e106ed64_1683753725_6116.jpg
      120년 미주한인교회 역사를 한눈에...'미주한인교회사' 발간
      기독일보 | 2023-05-10
      KCMUSA, 남가주 교계 목회자들과 출판 감사예배 드려  미주한인이민 120주년 및 KCMUSA 창립 20주년 기념 '미주한인교회사' 출판감사예배 주요 참석자 기념촬영 ©기독일보최근 '미주한인교회사'를 발간한 재미한인기독교선교재단(KCMUSA•이사장 민종기 목사)이…
    • 4af3453f5c697472798bd0a0a022f789_1683242846_4071.jpg
      [CA] KCMUSA 이사장 취임식 및 미주한인교회사 출판감사예배 오는 8일과 9일
      KCMUSA | 2023-05-04
      재미한인기독선교재단(KCMUSA) 이사장 취임식 및 미주한인교회사 출판감사예배가 8일(월)과 9일(화) 옥스퍼드팔레스호텔에서 열린다. KCMUSA 신임 이사장에 민종기 목사가 취임하며 이사회는 8일(월) 오후 5시, 취임식은 6시에 열린다. 취임식은 김준식 목사(남가주…
    • 39c2924dc6361a8c9a533ea605d81ba0_1683224060_5735.jpg
      [NJ] UMC 한교총 비대위와 GMC 한인연회 준비위 조직
      크리스천위클리 | 2023-05-04
      변화를 넘어서 새길을 향하는 UMC 한인교회 UMC한교총 이철구 회장이 총사퇴하는 임원들을 소개하고 있다. 한교총은 비대위 체제로 전환되었다 연합감리교회(이하 UMC) 교단내 성서적 결혼의 정의와 동성애자(성소수자) 목사안수 허용 문제로 교단탈퇴/분리 과정중에 있는 U…
    • 프랭클린 그레이엄 타이드워터 지역에서 'God Loves You Tour' 시작했다
      KCMUSA | 2023-05-02
      복음전도자 프랭클린 그레이엄이 북대서양 평야지대인 타이드워터(Tidewater)를 돌면서 복음을 전하고 있다 (사진: BGEA)복음전도자 프랭클린 그레이엄이 미 동부 6개 도시에서 수천 명의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과 용서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God Loves …
    • a09f1241f6b080f4b411fc48a166d78e_1683069412_7772.jpg
      터커 칼슨의 퇴출 뒤에 머독의 전 약혼자가....루퍼트 머독 "방송에서 신에 대해 이야기하지 말라"
      KCMUSA | 2023-05-02
      폭스뉴스 대변인 논평 거부하고, 출연할 종교인사들 라인업 소개 "폭스뉴스의 입"이라 불리던 터커 칼슨... 퇴출 이유에 대해 침묵 (사진: BBC News)언론인이자 전 폭스뉴스 진행자 글렌 벡(Glenn Beck)은 폭스의 대표인 루퍼트 머독(Rupert Murdo…
    • 사람들이 지역 교회를 떠나는 12가지 이유
      KCMUSA | 2023-05-02
      사우스이스턴신학대학원의 복음전도와 선교학 교수이자, 대학원 학장인 척 로리스(Chuck Lawless)는 지난 수년 동안 이사를 가지 않으면서도 교회를 떠난 많은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었다고 한다. 다음은 로리스가 그들의 교회를 떠난 이유 들 중 정리한 일부이다. 1.…
    • 20세기의 바울, OM 창립자 조지 버워 "그는 예수님이 걸으신 대로 걸었다"
      KCMUSA | 2023-05-02
      조지 버워 (사진: Operation Mobilization) Operation Mobilization(이하 OM)을 설립한 조지 버워의 죽음 이후, 선교 지도자들은 복음 전파에 대한 그의 "철저한" 헌신과 글로벌 복음주의 선교에 대한 그의 지속적인 영향을 재조명하고 …
    • PCUSA 2022년에 100개 이상의 교회와 53,000명의 교인 잃어
      KCMUSA | 2023-05-02
      켄터키 주 루이빌에 위치한 미국 장로교(Presbyterian Church, USA) 소속 건물인 장로교 센터(Presbyterian Center) (사진: PCUSA)미국 장로교(Presbyterian Church, USA)는 2022년에 100개 이상의 교회와 53…
    • 김장환 목사, 워싱턴에서 '나라사랑축제' 연다
      중앙일보 | 2023-05-02
      내년 8월 케네디 센터 (왼쪽부터) 한기붕 극동방송 사장, 김장환 이사장, 홍희경 미 동부운영위원장개신교계 원로 김장환 목사(극동방송 이사장)가 내년 8월 미국에 대한 감사의 일환으로 워싱턴에서 ‘나라사랑축제’를 개최한다. 8박 9일 일정으로 워싱턴을 방문한 김 목사…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