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컷체크] 들끓는 미국…흑인만 상점 약탈한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노컷체크] 들끓는 미국…흑인만 상점 약탈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CBS노컷뉴스| 작성일2020-06-30 | 조회조회수 : 2,190회

    본문

    인종차별 규탄하는 시위에서 폭동으로 무고한 피해자 발생
    시위대 주축인 흑인들 향한 눈초리…트럼프 대통령은 '강경 대응' 주문
    유명인들은 SNS로 "흑인만 폭동? 백인들, 프레임 조장말라" 항의
    평화 시위 위한 노력도 계속…시위 현장 청소하고, 경찰 보호까지




    미국 백인 경찰의 폭력적인 체포로 숨진 흑인 조지 플로이드 사건으로 시위가 미국 전역에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

    그 가운데 일부 시위 참가자들이 상점 등을 약탈하는 '폭동'을 일으켜 논란을 빚고 있다. 인종차별을 규탄하는 시위에서 또 한번 무고한 피해자가 발생하면서 미국 사회는 혼돈에 휩싸였다.

    지난달 31일 SNS에는 텍사스주 달라스에서 상점을 운영 중인 백인 부부 중 아내가 얼굴을 가린 흑인들에게 포위돼 몽둥이, 주먹 등으로 무차별 폭행을 당하는 영상이 게시됐다.

    2일 현재까지 해당 영상은 조회수 530만회를 넘어섰다. 분노한 흑인들이 곳곳에서 이 같은 '폭동'을 벌였다는 의혹은 기정사실처럼 퍼지고 있다. 인종 간 갈등이 또 한 번 새롭게 촉발된 시점이다.

    이에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흑인들이 주축이 된 시위대를 '인간쓰레기'로 칭하면서 강경 대응을 주문했다. 폭력 시위를 '테러 행위'로 간주하고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연방 자산과 민간인, 군대를 동원하겠다고 밝혔다.

    20200602154225743141_6_710_473.jpg
    미국 백인 경찰의 가혹 행위에 의한 흑인 남성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에 항의하는 시위대 중 한명이 1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근처에서 경찰이 쏜 최루탄을 다시 집어 경찰에 던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그렇다면 정말 흑인 시위대 참가자들이 약탈 등 폭동을 주도하고 있는 것일까. CBS노컷뉴스가 현장을 전한 SNS 게시물과 외신보도를 중심으로 확인해봤다.

    시위가 확산된 지난 주말 사이 SNS에는 상점을 부수는 백인들의 행태를 고발하는 글들이 동시 다발적으로 게시됐다. 일부 백인들은 현장에 흑인들이 저지른 폭동처럼 보이기 위한 문구를 남기기도 했다.

    작가 낸시 프렌치는 지난달 31일 자신의 SNS에 짧은 영상을 올렸다. 영상을 보면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벌어진 시위 현장에서 한 흑인이 백인과 말다툼을 벌이고 있다.

    낸시 프렌치는 "내슈빌은 지금 파괴되고 있다. (거리에서) 벽돌을 던진 사람들은 한 명도 예외 없이 백인들이었다. 한 흑인 남자는 말 배설물을 경찰차에 끼얹고, 창문을 깨버린 백인 남자에게 '그들이 우리(흑인)를 비난할 것'이라고 말했다"라고 전했다.

    흑인 래퍼 킹로스는 2일 다수의 백인들이 건물에 'Blacks lives matter'(흑인의 생명도 소중하다)라는 문구를 쓰고 있는 영상들을 공유했다.

    킹로스는 "많은 백인들이 '흑인의 생명도 소중하다'는 문구를 건물에 도배하면서 흑인들이 (건물이나 상점을) 파괴한다는 프레임을 조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가수 미켈 졸렛은 30일 SNS를 통해 평화로운 흑인 시위대에 피해를 미치는 일부 백인 참가자들을 향해 경고했다. 그가 올린 영상 속에는 한 무리의 백인들이 상점을 파괴하자 이를 다급하게 말리는 흑인 시위 참가자의 모습이 담겨 있다.

    미켈 졸렛은 "백인 참가자라면 특권을 이용해 흑인 시위대를 경찰로부터 보호하고, 흑인들의 목소리에 힘을 보태라"면서 "그러나 건물을 파괴하지 말아라. 언론과 정부는 언제나 평화로운 흑인 시위 참가자들을 비난할 것이다. 한 무리의 백인들이 흑인 시위대가 멈춰달라고 했음에도 건물을 파괴하고 있다"라고 꼬집었다.

    20200602154525612048_0_590_733.jpg
    (사진=영국 메트로 홈페이지 캡처)

    실제로 평화 시위를 위한 시위대의 노력은 현재진행형이다.

    종합격투기 선수인 비 응우옌은 지난달 31일 SNS에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서 열린 시위 현장 영상을 올렸다. 다수의 흑인과 백인, 동양인 등을 비롯한 다양한 인종의 시위 참가자들은 주먹을 치켜들고 구호를 외치면서 평화 시위를 보여줬다.

    미국 네티즌들은 시위 이후 거리를 청소하는 참가자들의 사진을 '#LookForTheHelpers'(조력자를 찾다)라는 해시태그와 함께 게시하기도 했다.

    사진을 올린 한 네티즌은 "뉴스에서 볼 수 없는 것"이라며 "난장판을 만들기보다 치우는 사람이 훨씬 많다. 그것이 이 시위 전체를 말해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행동하는 사람들보다 돕고, 영감을 주고, 조직하는 사람들이 더 많다"라고 시위대에게 박수를 보냈다.

    그런가하면 켄터키주 루이빌에서는 시위대가 부대에서 홀로 떨어진 경찰을 폭력 사태에 대비해 보호하기도 했다. 이 장면은 지역 신문을 비롯해 영미권 유력 언론들에 보도됐다.

    건장한 체격의 흑인 시위대 참가자들은 구석에 몰린 경찰과 다수의 시위대 사이 인간 바리케이드를 쳤다.

    경찰을 보호했던 한 흑인 참가자는 "처음에 경찰관은 수적으로 매우 열세한 상황이었다. 시위대들이 그가 반응하도록 잡아당기거나 했다"면서 "우리는 팔짱을 끼고 스크럽을 짜서 경찰의 주위를 둘러쌌다"라고 증언했다.


    CBS노컷뉴스 유원정 기자 ywj2014@cbs.co.kr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3,657건 232 페이지
    • [취재수첩] 깃털만큼 가벼운 변명들
      미주중앙일보 | 2020-06-30
      거주지를 옮긴 지 한 달이 채 안됐다.개인 소셜네트워크(SNS)에 설정된 거주지는 아직 이전 동네(세리토스)로 돼있다. 그 탓에 여전히 그 동네 소식을 SNS로 접한다.지난 일요일(5월31일) 오후 8시12분. 한 여성이 “세리토스 쇼핑몰에 약탈이 시작됐다. 사이렌 소…
    • 시위대 LA 한인타운 관통, 평화적 행진
      미주중앙일보 | 2020-06-30
      다음주 플로이드 고향 휴스턴에서 추모-장례식 예정 통행 금지령이 사라진 4일 LA곳곳에서는 수백명씩 무리를 지은 시위대가 평화적 시위를 이어갔다.이들은 LA시청이 자리잡은 다운타운과 에릭 가세티 시장 관저가 위치한 행콕 파크 주변에 모여 행진했다.소셜 미디어를…
    • 마클 왕자비 “10대 시절 LA폭동 기억 생생…흑인 생명 소중”
      연합뉴스 | 2020-06-30
      ▶ LA 모교 졸업식 축하 연설 통해 인종 차별 행위 중단 촉구 영국 해리 왕자의 부인 메건 마클 왕자비[AP=연합뉴스]영국 해리 왕자의 부인 메건 마클 왕자비가 흑인 사망 사건으로 촉발된 미국 전역의 항의 시위에 지지 의사를 밝히며 인종 차별 행위 중단을 촉구했다.…
    • ‘흑인차별 상징’ 美남부군 사령관 로버트 리 동상 철거된다
      연합뉴스 | 2020-06-30
      3일 버지니아주 리치몬드의 로버트 E. 리 장군 기마상 주변에 모인 시위대. [AP=연합뉴스]버지니아주가 남북전쟁 때 노예제를 찬성하는 쪽인 남부연합의 군을 이끈 로버트 E. 리 장군의 동상을 철거하기로 했다.AP통신은 랠프 노덤 버지니아 주지사가 4일 주도 리치몬…
    • 9일째 미 시위, 폭력 진정… ‘어메이징그레이스’ 합창·평화행진
      연합뉴스 | 2020-06-30
      ▶ 워싱턴DC·뉴욕·LA 등서 평화적 집회…통금 어긴 시위대 체포했지만 충돌없어▶ “대체로 평화롭고 충돌 잦아들어”… “일부 도시는 통행금지 해제키로”오바마·카터·부시, 평화 시위 지지하며 제도 개혁 촉구 [AP=연합뉴스]흑인 사망 사건에 항의하는 미국의 시위가 …
    • ‘흑인사망’ 연루 경찰관 3명, 법의 심판대에…첫 법정출두
      연합뉴스 | 2020-06-30
      ▶ 오렌지색 미결수복 입고 침묵…3명에 100만불 보석금 책정 미네소타주 검찰총장이 3일 기소한 흑인 조지 플로이드 사망에 연루된 전직 경찰관 4명. 왼쪽부터 데릭 쇼빈, 알렉산더 킹, 토머스 레인, 투 타오. [AP=연합뉴스]흑인 남성 조지 플로이드를 과잉 제압…
    • 시위 10일째, 플로이드 첫 추모식…8분 46초 ‘침묵의 애도’
      연합뉴스 | 2020-06-30
      ▶ “우리의 목에서 네 무릎을 떼라”…400년 흑인 인종차별 규탄 조사▶ 플로이드 발자취 따라 9일까지 추도 행사…폭력 사태는 진정세 ‘침묵의 순간’ 행사를 통해 플로이드를 추모하는 시위대 [AP=연합뉴스]흑인 남성 조지 플로이드의 사망 사건으로 촉발된 미국의 인…
    • 미국NBC, 여의도순복음교회 현장 예배 뉴스 보도
      아이굿뉴스 | 2020-06-30
      마스크 착용 등 방역지침 지키는 모습 상세하게 보도이영훈 목사, “정부의 방역지침 잘 지키면 안전하다”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선제적 방역활동을 도입해온 여의도순복음교회(담임:이영훈 목사)가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방송사로 알려진 미국 NBC의 뉴스 프로그램 ‘투데이’…
    • “우리집 앞에 선 택배기사가 기도를 하네요”
      국민일보 | 2020-06-30
      유튜브 영상 캡처배달에 열중하던 택배기사가 한 가정집 문 앞에 섰습니다. 물건을 내려놓고 발길을 돌리려는데 현관문에 붙은 메모 하나가 시선을 끕니다. 근무 중에는 1분 1초가 아깝지만 한동안 그 글을 읽던 그는 갑자기 두 손을 모르고 눈을 감습니다.미국에서 화제를 …
    • 트럼프, 국제 종교 자유 촉진 위한 행정명령
      국민일보 | 2020-06-30
      도널드 트럼프(얼굴) 미국 대통령이 국제 종교 자유를 촉진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2일(현지시간) 백악관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 서명과 함께 “미국의 첫 번째 자유인 종교의 자유는 도덕적으로 긴요하고 국가 안보에 필수적”이라며 “전 세계 모든 사람의 종교…
    • 현지인 목회자 양육 훈련 통해 ‘선교적 목회’로 인도
      국민일보 | 2020-06-30
      호성기 목사의 선교의 ‘제4 물결’을 타라 <16> 호성기 필라안디옥교회 목사(두 번째 줄 왼쪽 아홉 번째)와 세계전문인선교회(PGM) 소속 목회자들이 2008년 인도네시아 칩다 워처나대에서 열린 PGM 목회자 수련회 후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이곳은 함춘…
    • 코로나19 퍼지자 마스크·응원 카드 제작, 뉴저지에 사랑과 위로 전해
      국민일보 | 2020-06-30
      [양춘길 목사 미셔널 처치를 꿈꾸라] <2> 코로나19와 선교적 삶 미국 뉴저지주 패터슨시에 위치한 세인트 조셉대학병원 관계자들이 지난 4월 미국 필그림선교교회가 지원한 ‘사랑의 마스크’에 감사하며 한국어로 감사의 뜻을 표했다.선교적 삶은 선교적 마음가짐…
    • ‘뚝심 목회자’ 내적 설교에 성도들 마음 움직여
      국민일보 | 2020-06-30
      [건강한 미주 한인교회를 가다] <14> 뉴욕센트럴교회 김재열 미국 뉴욕센트럴교회 목사가 19년 만에 8만4983㎡ 부지에 예배당을 완공하게 된 목회 스토리를 소개하고 있다.김재열 미국 뉴욕센트럴교회 목사는 ‘뚝심 있는 목회자’로 미주 한인 교계에 널리 …
    • 교인 52% “설교시간 20~40분” 선호
      국민일보 | 2020-06-30
      미국 라이프웨이리서치 목회자·교인 대상 설문 예배 중 설교시간에 대한 미국교회 목회자와 교인 간 생각의 간극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목사의 85%가 ‘평균 설교시간 40분 미만’이라고 응답한 반면 같은 대답을 한 교인은 67%에 그쳤다. 교인들은 목사가 생각하는 것…
    • 조명환의 쓴소리 단소리 - 설상가상
      크리스천 위클리 | 2020-06-30
      ‘설상가상’이란 우리가 살고 있는 오늘의 아메리카 합중국의 현실을 잘 표현해주는 적합한 말이다.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말이다. 눈도 고통스러운데 서리까지 겹쳤으니 난처하고 비참한 경우를 이르는 말이다. 지금 미국은 코로나 바이러스를 헤쳐 나가는 일도 버겁고 불행하다…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