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혹' 불거져도 논란 덮기에만 급급한 교회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의혹' 불거져도 논란 덮기에만 급급한 교회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의혹' 불거져도 논란 덮기에만 급급한 교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LA중앙일보| 작성일2021-09-01 | 조회조회수 : 2,891회

본문

목회자 성추행 논란 (2ㆍ끝)



b7b0d11230785b5b495f56c8a1012793_1630510067_1683.jpg
한인교계 내에서는 목회자들의 성추문 의혹이 불거졌을 때 독립적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해결책은 없이 계속 문제만 반복되고 있는 셈이다. [중앙포토]


한인 교계 유명 목회자인 정민용 목사가 과거 교인 성추행 혐의로 조사를 받은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해당 사건은 지난 2001년 발생했다. 20년 전 발생한 사건이 이제서야 수면으로 떠오른 것은 교계내 성문제가 그만큼 은폐 또는 축소되기 쉽다는 것을 방증한다. <본지 8월24일자 A-16면>


목회자의 성문제는 그동안 교계에서 끊이지 않고 계속돼왔다. 그럼에도 논란은 끊이지 않는다. 목사와 교인들은 숨기기에 급급하다보니 문제는 더 커진다. 교계의 목회자 성추문 대처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


외부에 문제 알려지는 것 꺼려

의혹 해결보다는 '쉬쉬' 급급


교계 독립적 조사 제대로 안돼

해결책 없이 지속적으로 반복


언론 등 통해 전말 드러나기도

SBC는 외부기관에 조사 의뢰


정민용 목사의 성추문 논란은 소셜미디어(인스타그램.letters_from_rahab)를 통해 본격적으로 알려졌다.


피해자를 비롯한 커버넌트펠로우십교회(CFC) 내부 고발자들이 해당 사건의 전말을 알리면서 불거졌다.


피해자들은 왜 SNS를 통한 폭로를 선택했을까.


정 목사가 소속된 교단(PCA.미국장로교)이 해당 사건을 계속 무마하려고 한데서 비롯됐다. PCA 한인중부노회(KCP)가 "충분히 회개했다"는 이유로 정 목사의 사역 복귀를 허용했기 때문이다.


피해자로서는 피해 사실을 알렸지만 교단이 이를 무마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불가피한 선택을 한 셈이다.


성추문 같은 의혹이 발생했을때 대체로 교회들은 논란을 덮기에 급급하다.


종교기관은 성역처럼 여겨진다. 성문제는 비밀스럽다. 목회자는 '신(神)'의 일을 대리하는 사람으로 인식된다. 게다가 교인들의 종교심이 결합하면 교회내 문제는 무마되기 십상이고 '진실'은 묻힐 수 있다.


기독교 여론 조사 기관인 라이프웨이리서치가 목회자의 성문제를 다루는 교인들의 시각과 입장 등을 조사한 적이 있다.


'목사의 부적절한 행동을 알게 됐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교인 10명 중 7명(73%)이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철저히 비밀을 유지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문제가 외부에 알려지는 것을 극도로 꺼리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실제로 교계내 성추문 관련 논란은 시간이 한참 흘러서야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


한 예로 지난 2018년 윌로크릭교회 빌 하이벨스 목사가 과거 성추행 의혹이 불거져 사임한 적이 있다.


미국 내 10대 대형교회 중 하나로 꼽히는 윌로우크릭교회를 이끌었던 하이벨스 목사의 경우 교인을 상대로 한 성추행 문제가 본격적으로 불거지기까지 무려 30여 년이 걸렸다. 피해자들이 도중에 문제를 제기해 교회에서 조용히 내부 조사를 진행하기도 했지만 당회는 문제를 덮으려는데 치중했다.


결국 하이벨스 목사에 대한 논란은 언론(시카고트리뷴)이 성추문 의혹을 폭로하면서 전말이 드러날 수 있었다. 그만큼 문제 발생시 교회 내부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이 미비하고 독립적 조사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다.


이번 정 목사의 성폭행 논란 역시 피해자들이 SNS를 통해 사건을 폭로하고 로이스 리프트를 비롯한 WBEZ시카고 크리스채너티데일리 미니스트리와치 등 주요 기독교 언론들이 이 사건을 보도하면서 공론화됐다. 내부적으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자 외부 기관이 개입해 사건 해결을 요구한 것과 마찬가지다.


비단 정 목사만의 문제는 아니다. 한인 교계에서도 그동안 목회자들의 성추문 논란은 계속돼왔다. 해결책 없이 문제만 반복되고 있는 셈이다.


지난 팬데믹 기간 SNS에는 뉴욕한인교회협의회 회장까지 지낸 목회자가 여신도 성폭행 혐의로 재판에 회부되는 일이 있었다. 당시 사건도 피해자가 SNS를 통해 피해 사실을 밝히면서 공론화됐다. <본지 2019년 11월26일자 A-22면>


지난 2016년에는 LA한인타운 한 교회의 담임목사가 여자 전도사에게 음란사진을 보낸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됐다. 본지 2016년 5월18일자 A-1면> 피해자는 체류 신분 및 일자리(교회)를 잃을까 두려워 수개월간 아무 말도 못하고 고통을 받아야만 했다.


지난 2013년에는 패서디나 지역 유명 한인교회는 소문만 무성했던 담임목사의 불륜 문제가 결국 불거졌다. 담임목사는 논란이 커지기 전에 급히 사임을 발표했고 당회는 교회 이미지 실추를 우려해 조용히 문제를 덮었다.


LA지역 노범영 카운슬러는 "한인 교계의 경우 목회자에 대한 성문제와 관련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전문 상담가나 대응 시스템이 거의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며 "특히 체면을 중시하는 한인 문화에 성직자라는 부담감 때문에 문제가 있어도 꺼내놓지 못하고 교회와 교단 차원에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제도적 시스템도 없어 문제가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결국은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은 종교심에도 어긋난다는 인식을 갖는게 중요하다.


실제 미국 최대 교단인 남침례교단(SBC)의 경우 수십 년 전 교단 내에서 발생했던 목회자의 미성년자 성폭행 사건이 드러나 논란이 된 바 있다. 이때 SBC에서 차세대 리더로 떠오르고 있는 데이비드 플랫(42) 목사는 이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처음으로 법집행기관 및 외부 기관에 이번 사건을 의뢰했었다. 그만큼 공정하고 투명하게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셈이다.


한인교계 한 관계자는 "잘못을 하지 않는 것보다 중요한 건 잘못을 인정할 수 있는 용기인데 오늘날 교회들은 이미지 실추만 신경쓴다"며 "교회가 숨긴다고 해서 세상이 그 치부를 못 보는게 아니다. 문제를 철저히 조사하고 결과를 교인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한 뒤 재발 방지 정책까지 세워야 또 다른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장열 기자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61건 99 페이지
  • 아메리카 갓 탤런트 ‘코리안 소울’ 복음전파의 플랫폼
    크리스천 헤럴드 | 2021-09-02
    한국서 온 4명의 청년들2018년, 주목받기 시작주류 기독교 매체 호평지난 6월 NBC TV의 아메리카 갓 탤런트에 출연해 큰 인기를 끈 ‘코리안 소울’이 차세대 선교에 큰 매계체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아메리카 갓 탤런트 유튜브 캡쳐.최근 미국 유명 오디…
  • 주류 기독교인 “오직 예수 구원”에 물음표 60%
    크리스천 헤럴드 | 2021-09-02
    자칭 거듭난 기독교인들 중18세~39세층 다원주의 시각10년 전 비해 비성경적으로신앙 기본교리 계속교육 절실예수 그리스도만으로 구원을 얻을 수 있다는 복음의 기본적인 가치를 믿는 신앙관이 10년 전에 비해 급격히 줄었다.스스로 거듭난 기독교인이라고 답한 주류 기독교인의…
  • ac85b1bc4b15964c0e9b5c24070ae2b7_1630593890_1146.png
    [CA] ‘코로나 방역' vs ‘종교의 자유', 교회가 승리하나
    뉴스M | 2021-09-02
    당국, 존 맥아더 목사의 교회에 합의금 지불 약속 코로나 방역을 두고 정부와 교회가 대립해왔던 소송에서 방역을 책임지던 당국이 한발 물러나게 됐다. 캘리포니아 LA 카운티는 최근 코로나 방역과 관련해 제기된 그레이스 커뮤니티 교회와의 소송에서 4십만불의 합의금을 지불하…
  • '의혹' 불거져도 논란 덮기에만 급급한 교회
    LA중앙일보 | 2021-09-01
    목회자 성추행 논란 (2ㆍ끝)한인교계 내에서는 목회자들의 성추문 의혹이 불거졌을 때 독립적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해결책은 없이 계속 문제만 반복되고 있는 셈이다. [중앙포토]한인 교계 유명 목회자인 정민용 목사가 과거 교인 성추행 혐의로…
  • 케냐에 흉부외과 전문센터 설립, ‘가슴 뛰는 사역’ 펼친다
    국민일보 | 2021-08-30
    국제구호단체 사마리안퍼스 비전 발표프랭클린 그레이엄 목사가 지난 27일 진행된 웨비나에서 사역의 의의를 소개하며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마리안퍼스코리아 제공사마리안퍼스가 2022년 가동을 목표로 케냐 텐웩병원 내에 설립할 흉부외과 전문센터 조감도. 사마리안퍼스코리아 제…
  • 1401b36a9e9e38a74792519f0c9551a4_1630075485_232.jpg
    새생명선교회 100명 대학생에 총 15만불 장학금 수여
    KCMUSA | 2021-08-27
     코로나 팬데믹을 겪고 있는 한인 커뮤니티를 위한 재정지원에 나선 새생명선교회(회장 박희민 목사, 이사장 박경우 장로)가 한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21년 장학생을 선발, 총 15만 불의 장학금을 수여한다.이번 행사에는 미 전역에서 총 365명의 한인 대학생들이 지원…
  • 은혜교회 대형 뮤지컬 ‘킹 데이빗’ 공연 앞두고 배우 및 스탭 모집
    크리스천 위클리 | 2021-08-27
    ‘영원한 생명’ 이후 4년 만에 제작. . 내년 6월 공연 예정, 배우 총 210명 참여문화사역국이 지난 7월 31일 시무식을 마치고 한기홍 담임목사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들은 내년 뮤지컬 ‘킹 데이빗’을 무대에 올린다 은혜 한인교회 (담임: 한기홍 목사) 문화사…
  • 워싱턴 이슬람사원 ‘우후죽순’
    워싱턴 중앙일보 | 2021-08-25
    20년 만에 200% 증가전국적으로 갈등 빚어개신교 교회는 감소세이슬람 사원. [pixabay] 워싱턴 등 전국적으로 이슬람 사원이 급증하면서 이를 경계하는 미국 커뮤니티와의 심각한 갈등을 빚고 있다.비영리 종교단체 하포트 인스티튜트와 미국 내 이슬람 통계단체 살라토믹…
  • 목회자 성추문…'진실' 드러나기 쉽지 않은 교회
    LA중앙일보 | 2021-08-25
    목회자 성추행 논란 (1)교계의 목회자 성추문 의혹이 계속되고 있다. 문제 발생시 교계의 미흡한 대처가 상황을 악화시키고 논란을 키운다는 지적이다. [중앙포토] 커버넌트펠로우십 조슈아 정피해 여성 SNS 통해 폭로해"충분히 회개했다" 복귀 허용소속 교단은 사건 무마 논…
  • [CA] “과테말라 어린이들에게 믿음과 희망을…”
    크리스천 위클리 | 2021-08-25
    SG선교회(Serve & Give 미션) 설립감사예배 드려SG미션 설립감사예배를 마치고 한자리에 모인 참가자들 대표 박성민 목사 “과테말라 어린이들 섬기며 믿음의 지도자로 키울 것”SG선교회(Serve and Give 미션, 대표 박성민 목사)가 설립됐다. ‘세…
  • 교회성장 멈춘 시대, 오순절교회 독주 주목
    미주크리스천신문 | 2021-08-24
    CT, 미 AG 최근 성장 원인에 대한 라이언 P. 버지 교수 연구 소개 요즈음 대부분의 교단 총회/연회에서 지도자들은 계속되는 회원 감소의 도전을 인식하고 그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주 올랜도에서 열린 총회에 18,000명의 등록 참석자를 모은 미국 …
  • 30대 대형교회 목사 性문제로 무너져
    NEWS M | 2021-08-24
    4명의 여성과의 관계로 고소....성적 관계는 부인 방송과 출판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주목을 받던 30대 대형교회 목사가 3명 이상의 여성들과 성적 관계 및 추행 등으로 조사를 받고 있다. 오레곤의  대형교회인 애플게잇 크리스천 펠로우십의 담임인 벤 커슨 목사(33)…
  • 제시 잭슨 목사 코로나19 감염
    뉴욕 중앙일보 | 2021-08-23
    부인도 돌파감염 당해 입원 미국의 대표적 흑인 인권운동가인 제시 잭슨(79) 목사와 부인 재클린(77)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병원에 입원했다고 AP 통신이 22일 보도했다.잭슨 목사가 이끄는 비영리 기구인 ‘레인보우/푸시 연합’(Rainbow/P…
  • [시사] 아시안 증오범죄 “용납할 수 없어”
    뉴욕 중앙일보 | 2021-08-20
    AAF 주최 대응 촉구 기자회견슈머 의원 등 지역정치인 동참7월 뉴욕시 전년 대비 363%↑19일 로어맨해튼에 위치한 뉴욕시 행정서비스국(DCAS) 앞 1센터스트리트에서 열린 아시안 증오범죄 대응 촉구 기자회견에서 지난 10일 증오범죄 폭행을 당한 필리핀계 피해자 포트…
  • "존경했던 어른 잃었다" 비통한 한인사회
    LA중앙일보 | 2021-08-20
    '홍명기 이사장 타계' 각계 반응한인단체장들 모여 장례 준비교회장 결정, 장례일 추후 발표지난 18일 타계한 홍명기 M&L홍재단 이사장을 추모하는 헌화장소가 설치된 리버사이드 인랜드한인회관. 헌화는 오는 21일(토) 오전 11시~오후 4시까지 가능하다. [인랜드…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