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 나성영락교회, 전격 교단탈퇴 결의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CA] 나성영락교회, 전격 교단탈퇴 결의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CA] 나성영락교회, 전격 교단탈퇴 결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NEWS M| 작성일2021-10-13 | 조회조회수 : 3,057회

본문

공동의회에서 교인 87% 교단탈퇴 지지

2년여전 장학금 사태로 인한 고발로부터 시작



담임목사 총회 고발건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나성영락교회가 해외한인장로회총회(KPCA) 탈퇴를 결의했다. 


77d36a23605e7f55d9240f1689d11ecd_1634139607_2126.jpg
나성영락교회 전경


나성영락교회는 지난 10일 열린 공동의회를 통해 소속 교단인 해외한인장로회총회(KPCA) 탈퇴안이 87% 찬성으로 통과됐다고 밝혔다. 


교회 본당에서 열린 공동의회에서 교단 탈퇴의 건과 교단 탈퇴와 대책위원회 구성안을 행정 장정에 포함하는 안건에 대한 표결이 진행됐으며, 총 894명의 투표자 중 찬성 780표, 반대 114표, 기권(무효 포함) 11표로 교단 탈퇴 등을 통과시켰다. 


이번 공동의회 결의는 2년여전 발생한 장학기금 문제와 허위 사실 유포 등으로 당회원인 P장로 외 5인이 담임인 박은성 목사를 노회에 고발하면서 시작됐다. 


지난 4일 나성영락교회 당회 명의로 발행한 ‘당회결의문'에 따르면 일부 교인들이 장학금 이슈를 빌미로 시무 장로들과 담임목사를 노회에 고발하면서 촉발되었다고 밝혔다. 


당회는 “(나성영락교회가 속한) 서노회 재판국은 헌법과 법적 절차를 따르지 않고 재판을 진행했다. 당회와 대응위원회는 헌법과 법적 절차에 따라 해결하고자 노력했으나 노회와 총회는 이런 요구를 수용하지 않았다"며 공동의회 개최와 교단탈퇴 결정에 대한 배경을 설명했다. 


이들은 고발과 기소 과정의 문제점과 향후 진행될 사안에 대한 우려도 표명했다. 


당회는 “박은성 목사가 고발을 당했을 때 교회는 여러차례 고발장을 보내줄 것을 요청했으나, 노회는 이를 거절하고 출석 통지만 보내왔다. 총회는 이를 만류하거나 중재하지 않고 침묵함으로 오히려 진행을 돕고 있는 듯하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또한, “10월 7일(목) 신문 취조에 담임 목사 출석을 명령하는 등 이대로 기소가 진행되면 담임목사는 당회장 직을 수행할 수 없게 되고 노회는 임시당회장을 교회에 파송하면 교인들의 의사와 상관없이 운영되어 (교회는) 큰 어려움에 빠지게 될 것이다"고 주장했다. 


총회와 교회 대응위 입장 첨예


이에 대해 교단은 총회장 행정지시와 수숩전권위원회 파송을 담은 공문을 발송해 나성영락교회 공동의회의 불법성을 강조했다. 


지난 10월 4일과 6일 총회장 이재광 목사와 서기 김도완 목사 명의로 발송된 공문을 통해 '공동의회 소집 중지', '박은성 목사와 장로들의 교회 분열 행위 중지', '수습전권위원회 파송' 등을 담은 행정지시를 내렸다. 


교단은 “(박은성) 당회장이 피고소인으로서 노회 기소위원회의 조사를 앞두고 있는 이 시점에서 당회가 이같이 결의했다는 것은 당회장이 재판 받는 것을 피하려는 불순한 동기로 밖에는 이해할 수가 없다"며 “수습전권위원회(위원:이기성 목사, 박상근 목사, 안상복 목사, 윤희주 장로, 이화영 장로)를 파송하니 최선을 다해 협조하기 바란다"고 전했다. 


당회를 중심으로한 교회 대응위원회는 이러한 교단의 조치에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은 ‘나성영락교회 대응위 안내문'이란 공문을 통해 총회와 노회가 교회일에 지나친 내정간섭과 월권행위를 저지르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응위는 “(노회와 총회가) 극소수의 교회를 어지럽히는 자들을 지지하고 그들을 앞세워 (박은성) 목사를 고발하게 하고, 장로들을 고발하게 하여 당회를 무력화 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은퇴자들과 현직자들의 갈등 등도 언급했다. 


대응위는 “전직자들이 현조직에 관하여 명령할 수 없다. 은퇴자들은 은퇴자들이다. 상급기관이라고 해서 모든 일에 관해 명령할 수 없다. 내정간섭까지 하면서 권위를 내세우면 그 권위는 불법이다"고 주장했다. 


2016년 김경진 목사 사태 데자뷰(?)


이번 나성영락교회 사태는 지난 2016년 김경진 목사 사태와 비슷한 과정을 그리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지난 2016년 교인수 감소와 재정 악화를 겪고 있던 나성영락교회는 담임목사를 불신임한 당회와 당회 결의없이 공동의회를 진행한 김경진 목사 측의 쌍방 고소가 진행되었다. 


당시 김경진 목사는 교단탈퇴를 위한 공동의회 개최 등을 주장했으며, 총회는 김경진 목사 면직이라는 최고 수위의 징계를 내리면서 갈등이 심화돼 결국 교회 분열이라는 최악의 결과로 이어졌다. 


김경진 목사는 총회의 결정에 반발해 350여명의 교인들과 함께 ‘기쁜우리교회'를 개척했으며, 나성영락교회는 후임자를 물색하다 한국 명성교회 부목사로 사역하던 박은성 목사를 새로운 담임으로 임명했다. 


남가주 교계의 한 관계자는 이번 나성영락교회 사태에 대해 “향후 진행상황을 지켜봐야 하겠지만, 남가주를 대표해왔던 나성영락교회가 계속해서 이러한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한인교계의 비극이라 할 수 있겠다"고 평했다. 


양재영 기자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77건 94 페이지
  • 존 파이퍼 '백신 접종' 촉구...“두려움에서 벗어나라. 당신은 자유롭다”
    KCMUSA | 2021-10-20
    (사진: WNG.org) 목사이자 작가인 존 파이퍼(John Piper)가 “하나님만이 우리를 지키고 계신다”며, 기독교인들에게 COVID-19 백신을 접종하고, 백신에 반대하는 정치 집단 “동료들의 압력”에 저항할 것을 촉구했다.그는 자신의 웹사이트에 올린 칼럼에서 …
  • '실천적이며, 성경 가까이하는 기독인' 주류 개신 교단보다 복음주의 교회에 많아
    KCMUSA | 2021-10-20
    미국성서공회(ABS) 새로운 조사에서 밝혀 Z세대 청소년 중 "성경 읽는 사람은 10% 미만" (사진: Oladimeji Ajegbile)미국성서공회(이하 ABS)의 새로운 조사에 따르면 복음주의 교회는 다른 주요 교단보다 "실천하는" 기독교인을 더 많이 보유하고 있다…
  • [시사] 페이스북, '메타버스' 구축 위해 1만명 고용한다... 메타버스 독점하나 우려도
    KCMUSA | 2021-10-20
    캘리포니아 멘로 파크에 있는 페이스북 본부 간판에 엄지손가락 "좋아요" 로고가 표시되어 있다. (사진: Jeff Chiu/AP)페이스북은 앞으로 5년 동안 유럽에서 구축할 새로운 컴퓨팅 플랫폼 '메타버스'에서 일할 1만 명의 직원을 고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회사는 지…
  • 6e8a348d434d6094580a7a34a74e9de0_1634753952_4608.jpg
    PCUSA 목사 거의 절반 피로에 시달리지만 안식년 갖는 사람 많지 않다
    KCMUSA | 2021-10-20
    목회자들은 완벽한 감정적 폭풍우 속에 놓여 있어미 목회자의 70% 소명과 열정에도 불구하고 다른 직업 찾아(사진: Christian News)미국 장로교의 조사 대상 성직자의 거의 절반이 정기적으로 피로를 경험한다고 응답했지만, 안식년을 보낸 사람은 거의 없는 것으로 …
  • 오럴 로버츠 대학 전 총장 새 책 발간 “왕과 예언자: 세속적 권위와 영적 권세의 역할 이해”
    KCMUSA | 2021-10-20
    “선지자가 하나님의 뜻에 반한 왕들과 싸운 방법”오럴 로버츠 대학의 제3대 총장인 마크 러틀랜드 박사 (사진: Oral Roberts Oral Roberts University)오럴 로버츠 대학(Oral Roberts University)의 목사이자 전 총장이 이스라엘…
  • '美 선교단 납치' 혼돈의 아이티 상황은?
    데일리굿뉴스 | 2021-10-20
    17명 몸값 200억원 요구수도 40% 갱단이 장악시민들 "치안 불안해 못살겠다" ▲"피랍 미국인들 석방하라" 아이티 시위.(사진제공=연합뉴스)지난 16일(현지시간) 카리브해 아이티에서 미국과 캐나다 선교단 17명이 갱단에 납치되는 일이 발생했다. 아이티에선 올해 들어…
  • "문자 메시지"(Texting)가 교회의 차세대 화두인 이유
    KCMUSA | 2021-10-19
    (사진: Carey Nieuwhof)(사진: getthryve.com)이번 주에 얼마나 많은 문자(Texting)를 보냈나? 얼마나 읽었나? 아마도 친구와 점심 식사를 계획했거나 배우자에게 빠르게 업데이트할 계획을 세웠을 것이다. 교인들로부터 기도 요청을 받았거나 교직…
  • 아들 잃은 허망함에 등졌던 신앙 회복한 질 바이든 여사 뒤에는… 잭슨 사모의 ‘헌신적 기도’ 있었다
    국민일보 | 2021-10-19
    상심해있던 바이든 여사 기도 동반자 돼문자로 복음적 메시지 보내며 영적 교제바이든 여사, 고마움에 교회 ‘깜짝 방문’질 바이든(왼쪽) 여사가 17일(현지시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브루클랜드침례교회를 방문해 로빈 잭슨 사모와 반갑게 인사하고 있다. 인스타그램 캡처조 …
  • 아이티 갱단 '미 선교단 납치'…몸값 1700만달러 요구
    중앙일보 | 2021-10-19
    8개월 영아 등 어린이 5명 포함(사진: MSN)미국과 캐나다 선교단 17명을 납치한 아이티 갱단이 몸값으로 총 1700만 달러를 요구했다고 CNN 방송이 19일 보도했다.  납치된 선교단은 아이티 수도 포르토프랭스 북동쪽 교외지역인 '쿼와 드 부케'에 있는 한 보육원…
  • 미국 기독교 선교사 17명 누가 납치했나
    KCMUSA | 2021-10-18
    재난발생시 구호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기독교 단체들이 종종 아이티에 파견되고 있다. (사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DG ECHO/Flickr/CC) 최근의 한 보도에 따르면 아이티에서 어린이를 포함해 17명의 미국인 선교사들이 지난 토요일에 폭력 조직에 의해 납치되었다. …
  • [시사] 美 성소수자 장관 부티지지 '육아휴가'…"모유 안 먹이는데"VS"권리"
    미주중앙일보 | 2021-10-18
    성 소수자인 미국의 교통장관 피트 부티지지(39)가 몇 주간 유급 육아휴가를 낸 일이 미국 정치권에서 뜨거운 논쟁이 되고 있다. 16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 폴리티코 등에 따르면 부티지지 장관이 지난 8월 중순부터 약 6주간 육아휴가를 보낸 사실이 뒤늦게 알…
  • 미국인 선교단 17명 납치…아이티서, 갱단 소행인 듯
    중앙일보 | 2021-10-18
    (사진: Today)납치 등 폭력이 끊이지 않는 카리브해 빈국 아이티에서 이번에는 어린이가 포함된 미국인 선교단 17명이 납치됐다. 뉴욕타임스는 현지 치안 당국 관계자를 인용해 16일 아이티 수도 포르토프랭스에서 선교사들과 그들의 가족 등 17명이 납치됐다고 보도했다.…
  • 100~250명 중형교회 출석률 가장 크게 감소
    KCMUSA | 2021-10-15
    미국 전역 15,278개 교회에 대한 새로운 설문 조사 나와(사진: RNS/Nolan Kent/Unsplash/Creative Commons)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미국 중소규모 교회의 경우 한 교회에 두 사람 정도 감소하고 있다.미국 전역의 15,278개 교회에 대한…
  • 530163115c3c54137524252188963f57_1634319673_6334.jpg
    대부분의 미국 교인 "이젠 대면 예배 안전하다"
    KCMUSA | 2021-10-15
    정기적인 참석자들은 다른 무엇보다 목사의 백신 조언 더 신뢰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이 발생한 지 1년 반이 지난 지금, 대부분의 교인은 마침내 다시 예배당으로 돌아가는 것이 안전하다고 생각하고 있다.퓨리서치센터(Pew Research Center)가 최근 발표한 설문조사에…
  • “예수 재림, 헌금 부족해서 늦어지는 거야!”
    뉴스M | 2021-10-15
    방송 전도자 제시 튜플란티스 발언 파문[뉴스M=마이클 오 기자] 유명 방송 전도자가 예수 재림이 늦어지는 이유가 사람들의 인색한 헌금 때문이라는 발언을 해 논란이 일고 있다.제시 튜플란티스 (RightWing Watch 트위터)루이지애나 출신 방송 전도자 제시 듀플란티…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