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증오가 페이스북 키웠다, 그들도 알았다”…최대위기에 빠진 페북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시사] “증오가 페이스북 키웠다, 그들도 알았다”…최대위기에 빠진 페북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시사] “증오가 페이스북 키웠다, 그들도 알았다”…최대위기에 빠진 페북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미주중앙일보| 작성일2021-10-27 | 조회조회수 : 2,283회

본문

‘마약 콘텐트’로 사용자를 갈라치기 하는 빅테크의 상술인가, 전 지구적 소셜미디어 시대의 기술적 난제인가.


내부고발로 촉발된 ‘페이스북 페이퍼 사태’가 페이스북의 창사 이래 가장 심각하고 광범위한 위기를 부르고 있다고 25일(현지시간) 미 CNN 등이 전했다. 페이스북 페이퍼란 내부고발자인 프랜시스 호건 전(前) 수석 프로덕트 매니저가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와 하원에 제공한 수백건의 내부 문건으로, 호건은 이 문건들이 페이스북의 ‘악덕 면모’를 드러낸다고 주장해왔다.


6f38bcd40d21dec11e31d6861416accc_1635350872_7914.jpg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 [AFP=연합뉴스]


'휘슬블로어' 호건, 英 하원서도 비난 이어가


페이스북은 이날 3분기에 매출액 290억1천만 달러(약 33조9천억 원), 주당 순이익 3.22달러(약 3800원)의 실적을 거뒀다고 발표했다. 작년 동기와 견주면 매출액은 35%, 순이익은 17% 성장한 것이지만, 35%의 매출 증가율은 작년 4분기 이후 가장 낮은 것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적했다.


주춤한 매출 증가세만큼이나 이날 페이스북을 아프게 한 것은 호건의 영국 청문회 발언이다.


그는 이날 온라인 콘텐트 단속 법안을 검토하는 영국 하원 청문회에 출석해 “분노와 증오는 페이스북이 존재감을 키우는 가장 쉬운 방법이었다”며 “이 상습범들은 알고리즘을 갖고 노는 법과 그것을 이익으로 최적화하는 법을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또 호건은 “회사 내부에 안전이 비용(cost centre)이라는 견해가 있었다. (앞으로도) 알고리즘은 중도 좌파는 극좌파로, 중도 우파는 극우파로 만들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난 5일 미국 상원 상무위원회 산하 소비자보호소위원회 청문회에서 했던 발언과 비슷하다. 당시에도 호건은 이 같은 주장과 함께 페이스북에 대한 규제 도입 필요성을 강조했다. 


세계 17개 언론사 '페이스북 페이퍼' 잇단 폭로


이날 AP통신과 CNN 등 17개 언론사들은 호건 측이 제공한 ‘페이스북 페이퍼’를 토대로 최대 소셜미디어 기업의 어두운 이면을 잇따라 폭로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언어 중요도에 차등을 두고 알고리즘을 맹신하면서 문제를 키웠다. FT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잘못된 정보를 탐지하기 위한 예산의 대부분인 87%를 미국 내로 할당했다. 페이스북의 자체 조사에서도 취약한 정치 지형과 잦은 혐오 발언으로 ‘위험이 높다’는 평가가 나왔음에도 나머지 국가에는 13%의 예산만 책정됐다. 이는 인구의 4분의 1 이상이 페이스북 플랫폼을 사용하는 인도(인구 약 14억 명)에서 무슬림을 겨냥한 가짜뉴스들이 나오는 계기가 됐고, 사용자 수가 5백만 명이 넘는 아프가니스탄에선 혐오 표현 신고 페이지가 잘못 번역되어 있기도 했다.


또 페이스북은 자사의 알고리즘이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 이해하지 못하며 인종‧성 차별적인 콘텐트를 제공해왔지만,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인간의 개입은 점차 줄여나갔다. 이에 FT는 “특히 혐오 발언을 따로 신고하거나, 신고된 내용에 대해 해명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며 “페이스북은 현재 혐오 발언의 3~5%, 폭력적인 콘텐트의 0.6%에만 개입하고 있다. 이 같은 정책은 지난 1월 6일 미국의 국회의사당 점령 사태 당시 혐오 발언 등에 대한 대처가 지연되게 만들었다”고 전했다. 


이 외에도 워싱턴포스트(WP)는 “대외적으론 언론 자유를 옹호했던 페이스북이 베트남 당 대회를 앞두고 페이스북은 반국가 게시물에 대한 검열을 크게 강화했고, 정부가 플랫폼에 대한 거의 완전한 통제권을 갖게 됐다”고 지적했다. 뉴욕타임스(NYT)는 “페이스북이 ‘좋아요’(Like) 버튼의 부작용에 대해 2019년에 자체 연구를 통해 인지하고 있었지만 이를 삭제하진 않았다”고 보도했다. ‘좋아요’ 버튼을 숨길 경우 게시물과 광고를 덜 보고, 사진 공유도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다. CNN은 중동지역에서 인신매매 활동에 페이스북이 사용됐다는 것을 2018년부터 사측이 알았다고 폭로했다. “페이스북 페이퍼는 거대 소셜미디어 기업이 이용자들에게 마약 같은 콘텐트를 제공하며 이익을 얻어왔다는 ‘휘슬블로어’의 주장을 뒷받침한다”(CNN)는 비판이 따랐다.


저커버그 “페이스북만의 문제 아니다”


이에 대해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실적 발표에 앞서 강한 유감을 드러냈다. ‘페이스북이 해결할 수 없는 문제’에 모두가 비난만 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저커버그는 “선의의 비판은 우리 발전에 도움이 되지만, 현재 보도들은 유출된 문건을 선별적으로 사용해 페이스북에 거짓 이미지를 씌우려는 언론사들의 공동 노력”이라며 “(유출된 문건에서 드러난) 문제들은 소셜미디어에만 해당하는 게 아니다. 페이스북이 무엇을 하든 우리 힘만으로는 그런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제기된 문제들이 “서로 다르고 어려운 사회적 가치의 균형에 관한 것이라는 게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각 나라의 가치와 이념이 상이한 상황에서 페이스북이 일방적으로 콘텐트 검열을 하는 게 바람직한 것인가 하는 반박으로 풀이된다.


현재 페이스북 월간 사용자는 전 세계적으로 27억 명, 왓츠앱은 20억 명, 인스타그램 10억 명이다. 단순 계산으로 57억 명에 이르는 사용자의 모든 콘텐트를 페이스북이 추적할 수 없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은 이미 진행 중이라는 입장이다. 


페이스북 페이퍼 사태는 지난 9월 호건의 제보에 따른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로 시작됐다. WSJ의 연쇄 보도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지난 3년간 여러 차례 조사를 통해 자회사인 인스타그램 앱 사용이 전체 이용자의 40%에 달하는 22세 이하 청소년들의 정신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어린이용 인스타그램까지 개발을 추진했다. 아담 모세리 인스타그램 CEO는 지난 5월 기자들과 만나 “인스타그램이 10대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적다”고 관련 의혹을 일축하기도 했다.


한편 저커버그 CEO는 이번 폭로 외에도 소비자 보호법 위반 혐의로 피고인 신분으로 법정에 설 수도 있다. WSJ에 따르면 지난 20일 워싱턴DC 검찰은 저커버그를 지난 2016년 발생한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 사건의 피고인으로 추가해달라고 법원에 요청했다. 당시 미 대선 정국에서 영국의 정치 컨설팅 업체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는 정치 광고를 위해 페이스북 이용자 8700만 명의 데이터를 수집한 뒤 부적절하게 이용해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다.


김홍범(kim.hongbum@joongang.co.kr)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95건 93 페이지
  • 존 맥아더 "설교 표절한 목회자는 목회 사기꾼"
    KCMUSA | 2021-11-03
    회중들에게 설교하는 존 맥아더 목사 (사진: Facebook) 존 맥아더(John MacArthur) 목사가 최근 다른 목회자의 설교를 표절하는 목회자는 "주님의 참된 메신저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2021년 마스터스 신학교의 날"(Master's Seminary D…
  • [시사] “미국은 인종·민족 차별 심각한 나라” 퓨리서치, 미국 등 17개국 조사
    미주중앙일보 | 2021-11-03
    미국 제외 89% "인종차별 심각"미국인 74%, 한국인 93% "심각"지난 5월 31일 미국 메사추세츠 주 보스턴에서 열린 항의 시위에서 '정의가 없으면 평화도 없다'는 구후가 적힌 배너가 등장했다. AFP=연합뉴스 전세계 많은 사람들이 미국 내 인종·민족 차별이 자…
  • [시사] [CA] "오징어게임 만한 게 없다"…추리닝 입고 영희 앞세운 美시위대
    SeattleN | 2021-11-02
    미국에서 동물권을 보호하는 단체가 오징어게임에 영감을 받은 시위를 벌였다고 ABC 방송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동물권 보호 활동가들이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인앤아웃’ 레스토랑 앞에서 비인도적 도살 방법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인 것.그런데 이들은 머리에 소의 가면을 …
  • "예수, 무함마드, 부처 모두 천국 가는 방법 가르쳤다"
    미주중앙일보 | 2021-11-02
    '프로브 미니스트리' 미국 종교인 3106명 조사 보고서   종교의 다원화 시대다. 특정 종교에 속해 있어도 한가지 신념과 교리에 얽매이지 않으려는 성향이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다. 특히 젊은층에서 그러한 성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미국 유명 기독교 싱크탱크…
  • [시사] 한인 10명 중 7명 "코로나로 정신적 고통"
    미주중앙일보 | 2021-11-01
    의료 저널지 BMC 게재불안감·우울증 등 경험“보험 있어도 언어 장벽”(그림: 올바른신경외과)미주 한인 10명 중 7명은 팬데믹 사태로 인해 정신 건강에 악영향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번 연구 조사는 미국 내 아시아계 중 한인만을 대상으로 실시된 것이 특징이다…
  • [시사] [NY] 뉴욕시 공무원 백신접종 의무화 단행
    미주중앙일보 | 2021-11-01
    경찰·소방관 등…미접종자 오늘부터 업무 배제인력 부족 우려 속 아파트 화재로 어린이 사망뉴욕시 공무원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접종 의무화가 오늘(1일)부터 시행된다. 대상 공무원 중 2만6000여 명이 시한까지 접종증명서를 제출하지 못한 가운데 시 당국은 인력부족 사태…
  • “오징어 게임”이 불편한 기독교
    뉴스M | 2021-11-01
    “오징어 게임”을 바라보는 기독교인의 시각과 속내마이클 프로스트, 좀 더 생산적인 드라마 읽기 제안도[뉴스M=마이클 오 기자] 넷플릭스 인기 드라마 ‘오징어 게임’을 바라보는 일반 대중과 기독교인의 온도 차가 인상적이다.이미 국경을 넘은 ‘오징어 게임’의 인기는 대중의…
  • 질 바이든의 신앙회복 도운 사모와 바이든 여사는 ‘기도 파트너’
    KCMUSA | 2021-10-28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콜롬비아의 브룩랜드침례교회를 이끄는 찰스 B. 잭슨 시니어 목사의 아내 로빈 잭슨(왼쪽)과 영부인 질 바이든(오른쪽). (사진: Instagram/drbiden)사우스캐롤라이나주 컬럼비아에 있는 브룩랜드침례교회를 이끄는 찰스 잭슨 시니어(Charles…
  • 비 교인의 절반 이상, '교회가 자기 교인 아니면 돌보지 않아'
    KCMUSA | 2021-10-28
    (그림: Christianity Today)바나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45%는 외로움을 느끼고 46%는 우울하다고 말한다. 미국 성인의 절반이 "번아웃"되고 51%가 불안을 ??느낀다고 말한다. 61%로 1위를 차지한 미국 성인의 대다수는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이 흔한…
  • [시사] 성별 ‘X’ 여권 첫 발급
    미주중앙일보 | 2021-10-28
    국무부, 성소수자 권리 인정의료기록 증명 필요 없어 국무부가 성별을 여성이나 남성이 아닌 ‘X’로 표시한 여권을 처음으로 발급했다고 AP통신이 27일 보도했다. 자신을 남성이나 여성으로 규정하지 않아 여권을 발급받지 못했던 이들의 권리를 인정하고 공식 신분증을 확보할 …
  • #StopAsianHate
    NEWS M | 2021-10-28
    "너도 토착민이 아니고 우리 모두 이민자니 증오를 멈춰"광장에서 울려 퍼지는 음악_증오 범죄 관련 노래 #Am I next?여행자로서 느낀 불편함 정도로도 부들부들 떨렸다. 잘못한 것 없이 몸 둘 바를 몰랐다. 유럽의 어느 시골에서, 동양인을 처음 보는 모양인지, 사람…
  • 기관·신학교, 이름에서 기독교 색채 빼고 ‘세상 속으로’
    국민일보 | 2021-10-27
    기드온협회, 성경 보급에 방점‘셰어 워드 글로벌’로 단체명 변경‘비블리컬신학교’도 보낸다·선교의미 지닌 ‘미시오’로 교명 바꿔미국 필라델피아 미시오 세미너리 전경. 1971년 비블리컬 신학교로 시작한 학교는 2018년 교명을 바꿨다. 미시오 세미너리 홈페이지 캡처오랜 …
  • 17명 선교사 납치한 아이티 갱에게 납치된 미국인 목사 풀려나
    KCMUSA | 2021-10-27
    납치됐다 풀려난 장 피에르 페레르 미셸 목사 (사진: Faithfully Magazine)이달 초 17명의 미국인 선교사들이 납치되기 2주 전 '400 마워조' 갱단에 납치된 79세의 미국 목사 장 피에르 페레르 미셸(Jean Pierre Ferrer Michel)이 …
  • 1천2백명의 바이커들 사마리안 지갑에 선물 담긴 수천 개 신발상자 기부
    KCMUSA | 2021-10-27
    1천260명의 사이클리스트들이 전세계의 어린이들을 위해 선물이 담긴 수천 개 신발상자를 기부했다. 사마리안 지갑과 빌리 그레이엄전도협회가 진행하는 오퍼레이션 크리스마스 차일드 후원운동은 신발상자 크기의 상자에 정성스럽게 담은 선물을 전 세계의 도움이 필요한 아이들에게 …
  • [시사] [워싱턴 DC] 양당 주지사 후보 문학작품 놓고 설전
    미주중앙일보 | 2021-10-27
    주지사 선거에 소환된 토니 모리슨노벨문학상 수상작가인 토니 모리슨의 한 작품이 버지니아 주지사 선거에 소환됐다.  최근 보수적인 학부모들은 공립학교 내 비판적 인종이론 교육 금지를 목적으로, 모리슨의 1987년 소설 ‘빌러비드(Beloved)’ 퇴출운동을 벌여왔다.  …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