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리서치 "미국, 프랑스, ​​한국 갈등 높다, 특히 종교문제"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퓨리서치 "미국, 프랑스, ​​한국 갈등 높다, 특히 종교문제"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퓨리서치 "미국, 프랑스, ​​한국 갈등 높다, 특히 종교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자 KCMUSA| 작성일2021-10-15 | 조회조회수 : 8,403회

본문

e7a34a1acb9272986ce0c4aee4f7f64a_1634228496_8749.jpg
(그림: Illustration by Christianity Today / Source Images: Saul Martinez / Stringer / Brandon Bell / Mohamed Rasik )


퓨리서치는 지난봄 북미, 유럽, 아시아 태평양 17개국에서 약 1만9천 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다음 네 범주, 곧 1) 정당 간 갈등, 2) 인종과 민족 간 갈등, 3) 종교간 갈등, 4) 도시와 농촌 간 갈등에 관한 인식을 조사했다. 


미국은 이 네 범주에서 각각 1위 또는 높은 순위에 올랐다. 


전 세계는 평균적으로 보면 정치적 갈등 50%, 인종 갈등 48%, 종교 갈등 36%, 도시-농촌 갈등 23%로 드러났다. 


e7a34a1acb9272986ce0c4aee4f7f64a_1634228569_1339.jpg


1) 정치적 갈등


그러나 미국에서는 10명 중 9명이 정치적 갈등을 "심각한" 또는 "매우 심각한" 것으로 생각했다.


아시아 국가는 상당히 다양했다. 한국은 미국처럼 90%가 심각한 정치적 양극화를 뽑아 2위를, 대만은 69%로 3위를 차지했다. 싱가포르는 33%로 전반적으로 가장 낮았고, 일본은 39%였다. 프랑스(65%), 이탈리아(64%), 스페인(58%), 독일(56%)이었다.


2) 인종적 갈등

인종 갈등에서 미국은 71%가 심각한 갈등을 겪고 있다고 응답 다시 1위를 차지했다. 프랑스가 64%로 2위, 한국과 이탈리아가 57%로 3위를 기록했다. 싱가포르는 다시 25%로 가장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3) 종교적 갈등

한국은 종교 갈등에 대한 인식이 61%로 가장 높았다. 프랑스가 56%, 미국이 49%로 뒤를 이었다. 독일과 벨기에는 각각 46%를 기록했다. 대만은 12%로 가장 낮았다. 프랑스인 4명 중 1명(23%)은 종교적 갈등을 “매우 심각한” 것으로 보았다.


(1) 나이에 따른 인식의 차이

사람들의 나이가 분열에 대한 인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퓨는 30세 미만 성인이 65세 이상 성인보다 그리스(60% 대 24%), 벨기에(62% 대 38%), 일본(42% 대 22%)에서 강한 종교적 분열을 경험할 가능성이 훨씬 더 크다고 지적했다. 이탈리아(49% 대 30%), 미국(58% 대 42%), 스페인(24% 대 10%), 대만(17% 대 7%).


반대로 30세 미만의 캐나다인은 65세 이상의 캐나다인보다 종교적 갈등이 심하지 않다고 말할 가능성이 훨씬 더 컸다(78% 대 65%). 


e7a34a1acb9272986ce0c4aee4f7f64a_1634229824_4569.jpg
 


(2) 종교적 다양성이 갈등의 원인은 아니다

그러나 종교적 다양성은 갈등의 일관된 지표가 아니다.


퓨리서치에 따르면 프랑스인 58%가 기독교인이고 8%가 이슬람교도라고 추정한다. 한국은 기독교 30%, 불교 22%이다. 그러나 미국은 76%가 기독교인이고 1%가 이슬람교이다.


종교적 갈등에 대한 가장 낮은 세 나라는 오히려 종교적 다양성이 높은 나라들이었다. 종교적 갈등이 12%로 17개국 중에서 가장 낮은 대만은 민간 종교 44%, 불교 21%, 기타 15%, 기독교 6%이다. 21%인 싱가포르는 불교 32%, 기독교 18%, 이슬람 16%, 기타 9%, 힌두교 7%이다. 그러나 19%인 스페인은 75%가 기독교인이고 3%가 이슬람교이다.


e7a34a1acb9272986ce0c4aee4f7f64a_1634229224_9408.jpg


(3) 종교와 무종교 간의 갈등

Pew는 또한 종교와 무종교 간의 갈등에 대한 인식도 조사했는데, 모든 국가에서 "무종교"의 비율이 상당히 높아졌다. 그러나 특정 하위 국가들을 제외하고 이로 인한 갈등에 대한 전반적인 차이는 무시할 만했다.


미국 보수주의자의 절반이 종교와 무종교 간의 갈등을 느낀다고 대답한 반면, 종교와 무종교로 인한 갈등을 느낀다고 응답한 사람들은 39%에 불과했다. 독일, 캐나다, 이탈리아의 정치적 우파도 비슷한 인식을 하고 있었다. 스웨덴에서는 유일하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정치적 좌파에서 발견되었는데, 그중 26%가 종교와 무종교로 인한 갈등을 느낀다고 대답했다.


e7a34a1acb9272986ce0c4aee4f7f64a_1634229239_3828.jpg


정치적, 인종적 갈등과 관련하여 미국인보다 더 분열된 대중은 없다. 90%는 다른 정당을 지지하는 사람들 사이에 갈등이 있다고 말했고, 71%는 타인종 및 민족 그룹 사이에 갈등이 있다고 대답했다. 에 대해 동일하다고 말했습니다.


다른 종교를 믿는 사람들과 도시와 시골 거주자 사이의 갈등이라는 측면에서, 다시 한번, 미국인들은 조사 대상 17명 중 가장 분열된 대중 3명 중 한 명으로 일관되게 평가했다.


이러한 인식은 일부는 인종 및 민족적 배경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더 많은 흑인 성인(82%)이 백인(69%) 또는 히스패닉(70%) 성인보다 인종 또는 민족 배경이 다른 사람들 사이에 갈등이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광범위한 갈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점에 따라 추가적인 좋은 소식이 있을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다양성을 지지하는 숫자가 늘어나고 있다.


전 세계 평균값인 76%는 다양한 민족, 종교, 인종을 가진 사람들이 사회를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든다고 믿는다. 싱가포르(92%), 뉴질랜드(88%), 캐나다(86%), 미국(85%), 영국(85%), 호주(85%)에서 그러한 심리가 가장 강하다.


그러나 그리스(51%)와 일본(50%)만이 다양한 인종으로 인한 갈등이 사회를 악화시킨다고 생각한다. 한국 역시 36%로 다양한 인종 갈등이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국가 중 3위이다.


하지만 부정적인 감정이 바뀌고 있다. 2017년에도 이 질문을 받았던 11개국에서 이번 해에는 9개국에서 다양한 인종에 대한 긍정성이 증가했다. 그리스는 지난 4년간 24%포인트, 일본은 15%포인트, 한국은 6%포인트 올랐다.


퓨 연구원들은 “다양성에 대한 개방성이 커지면서 사회가 그들의 이상에 부응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인식이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강한 종교적 갈등을 느끼는 사람은 적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에 관한 이번 조사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다른 어떤 조사보다 한국에서 더 많은 사람이 그들의 사회에서 다른 종교를 믿는 사람들(61%) 사이에 갈등이 있다고 말했다. 그들은 또한 미국처럼 당파적 분열이 많다고 대답했다. 한국인의 90%가 그렇게 대답했으며, 50%는 그러한 갈등이 '매우 강하다'고 말했다. 그리고 민족과 인종 간의 문제, 농촌과 도시 거주자 간의 문제에서 한국은 가장 분열된 3대 국민 중 하나이다.


한국인이 인식하는 갈등에 대해서 동일한 패턴은 없으며, 소득이나, 나이, 교육 수준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농촌과 도시 거주자 간의 갈등에 관해서는, 소득이 낮은 사람들이 소득이 높은 사람들보다 갈등을 크게 인식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의 젊은 사람들은 나이 든 사람들보다 자신의 사회에 인종 또는 민족 갈등이 있다고 말할 가능성이 더 높으며, 교육 수준이 높은 사람들도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들에 비해 인종 갈등에 대해서 동의할 가능성이 더 높다.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68건 93 페이지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