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어 게임”이 불편한 기독교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오징어 게임”이 불편한 기독교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오징어 게임”이 불편한 기독교

페이지 정보

작성자 뉴스M| 작성일2021-11-01 | 조회조회수 : 4,403회

본문

“오징어 게임”을 바라보는 기독교인의 시각과 속내

마이클 프로스트, 좀 더 생산적인 드라마 읽기 제안도



[뉴스M=마이클 오 기자] 넷플릭스 인기 드라마 ‘오징어 게임’을 바라보는 일반 대중과 기독교인의 온도 차가 인상적이다.


이미 국경을 넘은 ‘오징어 게임’의 인기는 대중의 다양한 관심과 문화 현상을 만들고 있다. 추억 속에 봉인되어 있던 달고나와 전통 놀이가 지구 반대편 사람까지 즐기는 문화 체험이 되고, 드라마에 등장한 복장과 소품은 다가오는 할로윈에 가장 인기 있는 아이템이 될 전망이다.


단순한 소비와 흥미 차원을 넘어 진지한 비판과 성찰도 일깨우고 있다. ‘오징어 게임’을 떠받치는 모순을 한국만 겪고 있는 특수한 비극이 아니라 현대 문명의 보편적 상황으로 인식하고 자본주의, 인간성, 공동체, 역사 등 보다 본질적인 주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b2ee42508c8dfb32fd2f762bf6111eae_1635804072_7572.jpg
미셔널라이프 유튜브 캡처


불편한, 너무나 불편한 “오징어 게임”


하지만 상당수 기독교인에게는 이런 현상에 대한 관심과 논의 보다는 ‘오징어 게임’에 비친 기독교의 모습이 더욱 절실하게 다가오는 모양새다. 특히 일부 한국 기독교 매체가 내놓은 반응에는 불쾌한 감정이 역력히 드러나 있다.


“<오징어 게임> 기독교 악질적 묘사, 대응책은”이라는 제목으로 [기독일보]와 [크리스천투데이]에 실린 칼럼은  드라마에 대한 불편한 감정을 숨기지 않는다. “노골적인 기독교 비하”, “악질적인 묘사”, “오로지 악하고 위선적인 측면만을 부각” 등의 표현을 쓰면서 드라마가 기독교에 대해 매우 편향되고 부정적인 시각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이런 “대중문화 콘텐츠들”이 “아예 기독교 신앙 자체가 거짓과 위선의 산물이라는 식으로 매도”하고 있다며 분통을 터뜨리기도 했다.


처방은 “기독교계도 교회 바깥의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교회의 선한 면과 부족한 면을 납득되도록 소개해 줄 수 있는 대중문화 콘텐츠 제작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국민일보]가 소개한 한국 기독교계 리더의 반응도 크게 다르지 않다. [청년사역연구소장] 이상갑 목사는 “오징어 게임에 나타나는 기독교인의 모습이… 너무 부정적으로 그려져서 안타까웠다”라는 평을 냈다. 진짜 기독교는 이와 매우 다른데 너무 일방적으로 그리고 있다는 것이다.


새에덴교회 소강석 목사도 “분하기도 하고 안타깝기 그지없다… 국내와 세계에서…기독교의 모습이 어떻게 이미지화됐을지 생각하면 더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는 평을 냈다.


물론 이들 평가는 기독교가 부정적으로 그려지게 된 이유와 자성의 목소리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비판의 초점은 여전히 세상 밖에 내비쳐진 기독교의 모습이 불편하다는데 모인다.


이런 불편한 감정은 결국 이들의 신앙이 교회와 세상, 신자와 불신자 등으로 나뉘는 이분법적 세계관 위에서 작동한다는 방증이다. 그뿐만 아니라 그나마 붙들고 있는 신앙마저 끊임없이 외부의 시선과 평가에 휩쓸리고 흔들리는 빈약한 자존감의 표현처럼 보인다.


해외 기독교 반응


특이한 점은 미디어와 사회 일반의 기독교 비판과 평가에 대한 불편한 감정은 한국 기독교에 도드라지게 나타나는 현상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오징어 게임”에 나타난 기독교 비판에 대한 해외 기독교 반응을 보면 그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다.


[Christian Today] 기사 “재기발랄, 도발적, 그리고 위험한 새로운 넷플릭스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은 다음과 같이 드라마의 기독교 비판을 바라보고 있다.


“(근면·성실을 강조하는) 기독교 노동 윤리에 힘입어 이룩한 한국 경제 발전은 한국 교회의 폭발적인 성장을 가져다주었다. 그리고 부와 권력의 팽창으로 인한 교회 부패는 오늘날 한국 사회의 빼놓을 수 없는 일부가 되었다.”


온라인 매체 [Conversation] 역시 “오징어 게임"에 나타난 기독교 비판을 70, 80년대의 한국 경제 성장과 연결해 파악하고 있다.


“(눈부신 경제 성장을 이룬 시기를 거쳐오면서) 세상적 성공은 축복의 상징처럼 비춰졌고, 대형 교회는 성황을 이루었다. 교회에서 리더로 추앙받으면서 뒤로는 돈을 빼돌리고 자신만의 성을 쌓던 정치인과 재벌가는 부패의 온상이 되었다. 놀라울 것도 없이, 이들의 뒤틀린 욕망은 가난하고 억압받는 자를 위한 기독교 정신을 훼손하고 지극히 속물적인 종교로 둔갑시켜버렸다.”


두 매체 모두 드라마에 비친 뒤틀린 기독교 이미지에 감정적으로 반응하기보다는 이러한 현상 배후에 놓인 원인에 접근하려는 성찰을 보여주고 있다.


미셔널처치 운동을 주도하고 있는 마이클 프로스트도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오징어 게임”에 대한 글을 남겼다.


그는 “오징어 게임에 나온 한국 목사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요?”라는 글에서 ‘참가자 244번’은 “대중문화가 기독교에 대해 잘못 묘사하고 있는 모든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그는 묘사의 부당성을 밝히기 위해 노력하기보다는, 이런 이미지가 출현하게 된 이유에 대해 고민하고 성찰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는 캐나다 기자 데이브 하잔이 [The Diplomat]에 기고한 칼럼을 소개하면서 한국 기독교가 (공격적인) 복음주의와 미국 문화 제국주의에 강력한 영향을 받은 것이 특징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결과 때문에 한국은 거리 곳곳마다 네온 십자가와 전도지가 넘쳐나는 한편, 호화로운 삶을 즐기거나 각종 비리와 범죄에 연관된 목회자와 교회 소식이 일상을 채우고 있다고 했다.


이런 결과로 한국 사회에서 기독교는 단순히 대중 매체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손가락질의 대상이 되었다고 분석하면서, 드라마를 통해 오히려 한국 기독교와 사회를 더욱 깊이 이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는 또한 “오징어 게임 복음”이라는 글을 통해 드라마에 나타난 기독교적 메시지와 은유를 읽어내려는 창조적인 시도도 한다.


참가번호 처음(1번)과 끝(456번)인 오일남과 성기훈의 관계를 분석하면서 이들을 성부와 성자 이미지를 통해 드라마를 읽어 볼 것을 제안한다.


또한 드라마의 주제인 자본주의 비판을 통해 기독교적 ‘죄’의 본질과 ‘구원’의 의미를 환기 시기키도 한다.


물론 이런 시도가 분명 드라마가 위치한 한국의 역사 문화적 맥락에 대한 오해나 도식적인 해석의 오류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측면도 있다.


하지만 드라마 가운데 기독교 비판이라는 현상 앞에 단순히 감정적이고 방어적인 접근이 아니라, 주어진 이미지와 현상을 통해 종교가 위치한 세계의 진실과 그 가운데 참된 신앙적 가능성을 파악하려는 노력은 분명 값진 것이다.


좀 더 자존감 높은 기독교, 가능할까? 


앞에서도 지적했듯이, 대중 매체를 통해 쏟아지는 기독교 비판에 대해 한국 기독교계가 단순하게 감정적인 반응만 하는 것은 아니다. 나름의 성찰과 반성 그리고 한계를 뛰어넘으려는 각고의 노력도 눈에 띈다.


하지만 일련이 기독교계의 반응을 보면 자기중심적이고 폐쇄적인 자의식에서 벗어나야 할 숙제는 분명하게 드러난다. 


또한 교회와 신앙을 둘러싼 세계와 함께 호흡하고 그 가운데 하나가 되는 정체성을 찾지 못한다면 기독교를 향한 조롱과 비난은 멈추지 않을 것이다.


[관련기사]


https://www.christiantoday.co.kr/news/342899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211961&code=23111111&cp=nv

http://www.pckworld.com/article.php?aid=9091279182 

https://www.christiantoday.com/article/squid.game.netflixs.new.korean.drama.is.brilliant.revealing.and.dangerous/137596.htm

https://theconversation.com/squid-game-the-real-debt-crisis-shaking-south-korea-that-inspired-the-hit-tv-show-169401 

https://mikefrost.net/can-we-talk-about-the-korean-pastor-in-squid-game/ 

https://mikefrost.net/tag/suffering-servant/


Michael Oh 기자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61건 87 페이지
  • 비극 속의 기적, 토네이도가 휩쓸고 난 뒤에도 살아남은 십자가
    KCMUSA | 2021-12-16
    토네이도의 맹공격 이후 무너진 메이필드 제일침례교회에 남은 십자가가 불을 밝히고 있어 사람들에게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신다"는 것을 상기시키고 있다. (사진: 웨스 파울러/트위터) 지난 12월 10일 금요일 밤, 치명적인 토네이도가 건물들을 무너뜨린 후 켄터키 주 …
  • [CA] 서서히 개방되는 현장 대면 음악회
    크리스천 위클리 | 2021-12-16
    한인기독합창단, 라크마 정기공연, 밀알의 밤 콘서트, 아모르 선교음악회 등 잇달아 열려한인기독합창단은 정기연주회를 현장 음악회로 열고 헨델의 메시아를 공연했다. 이날 현장 음악회엔 500여명이 참가했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움추러 들었던 한인 교회 음악계가 백신 보급이 확…
  • ‘보수 우위’ 연방대법, 낙태권 제한으로 기울어
    미주크리스천신문 | 2021-12-16
    CT, 미시시피 낙태 관련법 타당성 두고 트럼프 임명 보수 판사들 낙태제 임신 15주 이내 중절에 관한 미국 연방 대법원의 구두 변론이 열린 지난 1일, 워싱턴 DC의 법원 앞에서 양 갈래로 나뉜 시위대가 들고 있는 피켓의 문구는 극명했다. 이번 재판의 결과에 따라 ‘…
  • f1afda245d23b003594d7f39e0d627d0_1639613990_0974.jpg
    퓨리서치, “미국은 해가 갈수록 세속화되고 있다”
    KCMUSA | 2021-12-16
    올해 미국인의 63%만이 자신이 기독교인이라고 응답10년 전의 75%에서 크게 감소...비기독교인은 29%로 증가(사진: Nolan Kent/Unsplash/Creative Commons)크리스마스가 불과 10일 앞으로 다가왔다. 대부분의 미국인들은 예수님의 탄생을 축…
  • f1afda245d23b003594d7f39e0d627d0_1639608323_3267.jpg
    크리스챠니티 투데이(Christianity Today)가 선정한 2022 도서상 수상작들
    KCMUSA | 2021-12-16
    복음주의적 삶, 사상, 문화를 형성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책 선정 다음 각 부문에서 2022 연례 도서 어워드를 수상한 도서들은 다음과 같다.▲기독교 변증론과 복음전도(Apologetics & Evangelism) 상 “도시 변증론: 복음으로 흑인의 존엄성 회복…
  • f1afda245d23b003594d7f39e0d627d0_1639589045_3591.jpg
    '여관에 빈방이 없다'는 것은 희소식이었다'
    KCMUSA | 2021-12-16
    베들레헴 호텔의 이야기는 그리스도께서 황제가 아니라 순례자들과 함께 계시다는 것토마스 머튼 “그분을 위한 자리가 없었다는 것은 종말에 대한 상징”(그림: Illustration by Mallory Rentsch) 전 세계에서 공연되는 아기 예수 출생 연극에서 소, 양,…
  • [ID] 아이다호 교회는 왜 스테인드글라스의 이미지를 교체했나
    KCMUSA | 2021-12-15
    분열의 상징된 로버트 리 장군과 두 전직 대통령 이미지 삭제여성감독의 무지개 스톨, 동성애로 분열된 UMC에 또 다른 불씨 될 수도미연합감리교회에서 선출된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감독 레온틴 켈리. 아이다호주 보이시 로키산맥 교회는 스테인드글라스 창에 있던 로버…
  • 크리스마스 트리 방화가 ‘혐오범죄'다(?)
    NEWS M | 2021-12-15
    보수매체 팍스와 공화당 주장…SNS에서는 조롱폭스뉴스 건물 앞 크리스마스 트리가 불타고 있다(사진:폭스뉴스 화면 캡처)뉴욕 폭스뉴스 본사 앞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 노숙인에 의해 방화로 전소되었다. 지난 8일(수) 뉴욕 맨해튼에 위치한 폭스뉴스 본사 앞 크리스마스 트리에…
  • '신을 두려워하는 사람' 덴젤 워싱턴 '자기애'의 위험 경고
    KCMUSA | 2021-12-14
    크리스천 배우 덴젤 워싱턴(사진: Facebook)오스카상을 두 번이나 수상한 덴젤 워싱턴은 일주일 전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그의 영화 "맥베스의 비극"에 대해서 이야기하면서 자신은 "신을 두려워하는 사람"이라고 강조하며, "마지막 때의 유혹인 자기애" 대해 경고하…
  • 예수의 아버지 요셉의 단순함은 영적 성숙함이다
    KCMUSA | 2021-12-14
    하나님은 독생자를 자신의 문화를 따른다면 결코 양육할 수 없는 사람에게 맡기셨다난민으로 살아가는 아이를 기르는 아버지가 이해하는 난민 아기의 아버지하나님이 요구하시는 것은 때로 교파적 전통과 율법주의적 사고방식을 초월하는 영성(이미지: Matt Chinworth의 삽화…
  • 목사 5명 중 2명 "전임 사역 중단 고민했다"
    미주중앙일보 | 2021-12-14
    바나그룹 목회자 상태 보고서(1)  (사진: ChurchLeaders)목회자들이 힘들다. 정신적 심리적 영적으로 고갈되고 있다. 고갈은 행복 저하로 이어진다. 삶의 만족도가 떨어진다. 심지어 목회를 그만두는 것까지 고려할 정도다. 최근 기독교 여론조사기관인 바나리서치그…
  • [NY] 뉴욕교협 미스바 회개 운동 개막
    기독뉴스 | 2021-12-14
     뉴욕지구한인교회협의회(이하 교협‧회장 김희복목사)는 12월12일(주일) 오후5시 퀸즈한인교회(담임 김바나바목사)에서 ‘오직 성령으로 회복을’이란 주제로 미스바회개운동(이하 회개운동)을 개막했다.회개운동은 15일(수)까지 계속되며 초청된 강사는 최혁목사(LA주안에교회)…
  • [GA] “은혜로운 찬양으로 위로와 회복을”
    애틀랜타 중앙일보 | 2021-12-09
    애틀랜타 프라미스교회서이번 주 금·토 콘서트·세미나한국 복음성가의 새 장을 연 것으로 평가받는 CCM 듀엣 ‘소리엘’의 장혁재 교수. 이번 주 금, 토 이틀간 애틀랜타 프라미스교회에서 찬양 콘서트 및 세미나를 이끈다. 유명 CCM 그룹 ‘소리엘’ 멤버인 찬양사역자 장혁…
  • [TX] 레이크우드 교회 벽 뜯자 돈 봉투 우수수
    미주중앙일보 | 2021-12-09
    7년 전 도난사건과 연관 추정발견한 배관공 2만 달러 받아 저서 '긍정의 힘'으로 잘 알려진 조엘 오스틴 목사가 시무하는 휴스턴 소재 레이크우드 교회에서 화장실 공사 중 거액의 돈 봉투가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달 10일 교회 회장실 변기…
  • [CA] “밀알의밤: 크리스마스 콘서트” 성황리에 열리다
    크리스천 위클리 | 2021-12-09
    차인홍 교수 메인 게스트로 초청밀알의 밤 크리스마스 콘서트가 남가주 동신교회서 열리고 있다 장애인 선교 단체인 남가주밀알선교단이 주관한 ‘2021 밀알의밤: Christmas Concert’의 현장공연이 12월 5일(주일) 오후 7시 남가주동신교회에서 개최되었다.이번 …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