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목표는 복수가 아니라 치유" 시인 아만다 고먼의 치유의 길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우리의 목표는 복수가 아니라 치유" 시인 아만다 고먼의 치유의 길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우리의 목표는 복수가 아니라 치유" 시인 아만다 고먼의 치유의 길

페이지 정보

작성자 KCMUSA| 작성일2022-01-15 | 조회조회수 : 9,457회

본문

07ef713a4208ee1c1dc70fefbe79425a_1642098451_1842.jpg
(사진: Danny Williams/ Penguin Random House) 


수백만 명의 미국인은 지난해 1월 조 바이든의 대통령 취임식에서 어린 시인 아만다 고먼(Amanda Gorman)이 “우리가 올라갈 언덕”(The Hill We Climb)을 발표했을 때 시의 힘을 경험했다. 최연소 대통령 취임 축하시인인 고먼은 현재의 미국이 "빛과 깨끗함과는 거리가 멀다"고 인정하면서도 마지막 구절로 많은 사람의 희망을 사로잡았다. 


"새로운 여명은 우리가 그것을 자유롭게 놓아둘 때 피어날 것이다. /빛은 언제나 있지만, /빛을 볼 수 있을 만큼 우리가 용감할 때만이 볼 수 있고, /용감할 때만이 우리는 빛이 된다." 


취임식이 지난 며칠 뒤, 고먼은 슈퍼볼에서 시를 공연한 최초의 시인이 되었다. 그녀의 시는 전염병 기간 동안 지도력을 발휘한 교육자, 병원 직원 및 퇴역 군인을 기리는 것이었다.


지난해 말 고먼은 그녀의 첫 시집 "Call Us What We Carry"를 출판하면서 현재 상황과 국가의 과거를 두려움 없이 바라보며 자신의 비전을 확장하고 심화시켰다. 그녀는 독자의 관점을 바꾸고, 숨겨진 면들을 탐색하며, 지혜와 통찰력을 드러내는 시기적절하고 일깨우는 언어로 작품에 영감을 불어넣었다.


좋은 시는 우리의 마음을 통해 우리에게 말을 한다. “Call Us What We Carry”에서 시인 아만다 고먼은 편협하고 제한된 생각을 버리라는, 지속적이면서도 부드러운 자극으로 미국 사회의 숨겨진 내면을 꺼낸다.


예를 들어, 오프닝 시 "Ship's Manifest"에서 고먼은 다음과 같이 노래한다. 


"책임을 지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해야 한다. / 말한 것이 아니라 의미한 것. / 사실이 아니라 느낀 것. / 이름이 없는 동안에도 알려진 것."


그녀의 시집 "Call Us What We Carry"는 7개의 섹션으로 구성된 풍부하고 독창적인 모음 시집이다. 각 섹션은 역사의 다양한 측면과 애도의 과정 또는 잃어버린 것에 대한 투쟁에 중점을 두고 있다. 


07ef713a4208ee1c1dc70fefbe79425a_1642098506_6083.jpg
Penguin Random House


가장 설득력 있는 시 중 일부는 사람들이 팬데믹 기간 동안 경험한 상실과 고립을 다루고 있다. 다른 시들은 흑인 미국인들이 직면한 불의를 언급한다. 예를 들어 "Fury and Faith"에서 고먼은 많은 흑인이 느끼는 분노와 그 분노를 표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리의 목표는 복수가 아니라 회복이다. / 지배가 아니라 존엄만 있을 뿐이다. / 두려움이 아니라 자유이다. / 그냥 정의이다.”


반복되는 문구와 이미지는 음악, 문학, 예술 및 문화에 대한 언급과 마찬가지로 작품을 관통한다. 이와 더불어 이 요소들은 우리가 기억, 언어, 트라우마를 지니고 있다는 근본적인 주제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우리가 사랑, 분노 또는 용서하지 않는 마음을 어떻게 표출하는가 하는 것은 다른 사람과의 상호 작용 및 우리의 미래를 결정한다.


고먼의 시를 매력적으로 만드는 부분 중 하나는 이야기가 중요하고 언어가 우리를 정화하거나 더럽힐 수 있다는 그녀의 이해이다. 


페이지를 넘기면서, 독자들은 자신들의 좁고 제한된 생각을 버리라는 지속적이고 부드러운 속삭임을 느낄 것이다. 그들은 또한 장르를 넓히고, 고조되는 듯한 고먼의 독특한 소리를 지지하는 루실 클리프턴(Lucille Clifton), 클로디아 랭킨(Claudia Rankine), 제임스 볼드윈(James Baldwin)과 같은 주요 시인들의 희미한 메아리를 들을 것이다.


아직 20대인 고먼은 시의 명성을 높였다. 그녀는 또한 그녀의 눈과 시를 통해 스스로를 볼 수 있었던 젊은 작가들에게 활력을 불어넣었다.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식에서 그녀의 시를 들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Call Us What We Carry“에서 그녀가 자신 있고 침착하게 시를 전달하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그러나 고먼이 인터뷰에서 말했듯이 그녀는 지난 2~3년 동안 언어 장애로 고생했다. 글쓰기는 휴식과 자기 표현을 위한 수단이었다.


그녀의 개인적인 이야기는 희망을 갖는 것이 얼마나 어렵고, 얼마나 필요한지에 대한 그녀의 관찰에 신뢰를 준다. 제목 시에서 알 수 있듯이 "언어는 우리의 분노, 우리의 잔해, / 우리의 오만, 우리의 증오, / 우리의 유령, 우리의 탐욕"을 견디고 버리는 데 도움이 되는 "구명 뗏목"이다.


그녀의 시 중 가장 훌륭한 점은 찬란하게 빛나고, 설득력이 있다는 것이다. 다른 사람들의 시는 때로는 정제되지 않고 말이 많거나 교훈적이라고 느낀다. 그러나 고먼의 모든 경험과 통찰력은 독자가 희망과 인내를 키우는 것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녀는 우리가 세상의 분열을 치유하려는 일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심어준다.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73건 82 페이지
  • 마이크 펜스 前 미국 부통령 내달 방한…'나의 신앙, 나의 비전' 간증
    데일리굿뉴스 | 2022-02-09
    마이크 펜스 전 미국 부통령마이크 펜스(Mike Pence) 전 미국 부통령이 신앙 간증을 위해 내달 방한한다.펜스 전 부통령은 3월 25일 열리는 제 51회 극동포럼에 주 강사로 참석, ‘나의 신앙 나의 비전’이라는 제목으로 간증할 예정이다. 펜스 전 부통령은 한국과…
  • "이민 교회 감소는 1세 중심의 교계 토양 바뀌는 것"
    미주중앙일보 | 2022-02-09
    한인 교회가 사라진다 (3)한인 교회가 감소하고 있다. 큰 흐름에서 보면 한인 교회만의 문제는 아니다. 사회 전반에 걸친 기독교의 영향력 축소와도 맞물린다. 그럼에도 한인 교회의 감소 현상 이면에는 기독교의 영향력 약화가 주요 원인이라고만 보기에는 복잡한 요인이 존재한…
  • 퓨 설문조사, 미 기독교인, 중국 동계올림픽 보이콧 동의
    KCMUSA | 2022-02-08
    대다수의 복음주의자들과 가톨릭 신자들 외교적 보이콧 지지 ▲ 미국 대부분 복음주의 및 카톨릭 신자들, 그리고 오픈도우즈를 비롯한 선교 단체, 미국 침례교 교단이 앞장서서 중국 동계 올림픽에 대한 보이콧을 지지하고 있다. ⓒ 뉴스파워 정준모 2022년 2월 8일 …
  • 불법 체류 이민자들의 미국 시민권 획득에 관한 여론...미국인의 56% 긍정
    KCMUSA | 2022-02-04
    백인 복음주의자들의 지지 가장 낮다미국인 56%는 "이민자들 미국에 도움 준다"(사진: 크리스천헤드라인)크리스천헤드라인 뉴스(2월 4일)에 미국에서 불법 체류자들의 시민권 획득에 대한 이민 개혁 정책에 대한 여론 조사의 결과를 발표해 주목을 받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 스티브 셀러스 CCC 국제총재 “강점(Strength)이 은사”
    뉴스파워 | 2022-02-03
    “우리에게 주신 강점을 더욱 최대한 활용했으면 한다”  국제CCC 스티브 셀라스 총재는 전 세계 CCC 전임간사들에게 “우리에게 주신 강점을 더욱 최대한 활용했으면 한다.”는 바람을 전했다.▲ 국제CCC 3대 총재 스티브 셀러스     ©CCC스티브 셀러스 총재는 지난…
  • 바이든 미 대통령, 국가 조찬기도회에서 “신앙은 우리를 갈라놓기보다 함께 움직이게 한다”
    KCMUSA | 2022-02-03
    양당이 서로를 적으로 보지 않고 이웃으로, 섬김을 받기보다 섬기라크리스천헤드라인 뉴스(2022년 2월 3일)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전국 국가조찬기도회에서 의회 내의 깊은 분열을 인정하면서 민주당과 공화당이 서로를 잘 알아가길 촉구했다. 또한 믿음은 서로 다른 신…
  • "우리의 염색체는 XX, XY 둘 중 하나"는 혐오 발언
    미주중앙일보 | 2022-02-01
    유튜브 검열 논란 종교계까지존 맥아더 목사 설교 삭제 조치 유명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youtube)의 검열 정책이 종교계에서도 논란이 되고 있다. 선밸리 지역 그레이스커뮤니티교회 존 맥아더 목사의 지난 15일 주일예배 설교 영상이 유튜브측으로부터 삭제 조치를 당했기 …
  • cac4d0af1d937c995428905dae6ce8b1_1643745523_8296.jpg
    [CA] "교회가 나보다 우선이니 은퇴하는 게 맞더라"
    미주중앙일보 | 2022-02-01
    인터뷰: 에브리데이교회 최홍주 목사 4년 전부터 기도하며 준비"특별히 계획 세운 것 없어"  에브리데이교회 최홍주 목사가 은퇴를 발표했다.〈본지 1월31일자 A-6면〉 최 목사의 목회 철학은 늘 두 글자로 축약됐다. 그는 '머슴'이 되고자 했다. 그렇게 23년을 변함없…
  • [CA] ‘에브리데이’ 최홍주 목사 아름다운 은퇴
    미주중앙일보 | 2022-02-01
    갈등 없는 후임자 선정후임에 손창민 목사 결정노스리지 지역 한인 대형교회인 에브리데이교회를 시무하는 최홍주(64. 사진) 목사가 은퇴한다. 최 목사는 30일 주일 예배 시간에 “예전부터 65세가 되면 은퇴하기로 마음먹고 있었다. 교단이 정한 은퇴 나이는 70세이지만 교…
  • 9f63146c38965548118853f184f788a5_1643657536_4738.jpg
    힐송교회의 브라이언 휴스턴, 글로벌 담임목사 사임
    KCMUSA | 2022-01-31
    성범죄의 혐의를 받고 있는 아버지 재판 때문 후임으로는 남아공 둘리 목사(사진: Religion News Service)1월 31일 크리스채니티 투데이와 크리스천헤드라인 뉴스에 따르면, “힐송 설립자 브라이언 휴스턴은 아버지가 저지른 성추행 범죄를 은폐했다는 혐의에 맞…
  • a755c37f2d317b7348ed17b133c9ced4_1643320129_9829.jpg
    아이티에서 납치된 선교사들의 몸값, 익명의 기부자가 지불
    KCMUSA | 2022-01-27
    크리스천재난구조선교회의 선교사들 (사진 : Screengrab / Christian Aid Ministries) 아이티에 납치되었던 크리스천재난구조선교회(Christian Aid Ministries, 이하 CAM) 선교사들은 그들이 석방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인도로…
  • 미국 복음주의 교인들, 교회의 정치적 이슈보다 사회적 참여에 더 관심
    KCMUSA | 2022-01-26
    백인보다 유색인 교회가 더 정치에 관심, 소득이 높을수록 관심이 높아, 오순절파가 높아▲ 미국 복음주의는 아직도 교회의 정치적 관심과 이슈는 사회적 관심보다 낮고, 유색인 교인과 오순절 교회, 그리고 소득이 높을 수록 정치적 관심이 높은 것으로 새로운 연구보고서가 발표…
  • 미국 복음주의 젊은이들의 낙태에 대한 입장에 변화가 일어나다
    뉴스 파워 | 2022-01-26
    출간될 “미국의 종교와 정치에 관한 20가지 신화”에서 밝혀▲ 사진 제공: 크리스채니티 투데이, 복음주의 젊은이들이 낙태에 대한 입장이 점점 변화고 있는 안타까운 연구를 접하게 된다.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성경적 세계관의 교육이 더욱 교회 안에서 일어나야 하겠다.   …
  • e170ebf1206b6d6ef215cd9071f7c308_1643161705_0073.jpg
    오픈하는 텍사스 동부 칙필레, 말 그대로 성경이라는 토대 위에 세운다
    KCMUSA | 2022-01-25
     부부의 4살 된 아들 몽고메리가 건물 공사 중 성경을 땅 속에 묻었다. (사진: 에릭 스콰르친스키의 트윗)올 봄 오픈 예정인 텍사스 동부 소재의 칙필레 레스토랑은 말 그대로 성경 위에 세워졌다. 이 식당은 건물 아래 땅 속에 성경을 묻었다. 이 치킨 레스토랑은 텍사스…
  • e170ebf1206b6d6ef215cd9071f7c308_1643153974_0986.jpg
    PCUSA 수장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은 노예제” 발언으로 논쟁 촉발
    KCMUSA | 2022-01-25
    2015년 10월 23일 예루살렘 구시가지에 있는, 이슬람교도에게는 고귀한 성소(Noble Sanctuary)로, 유대인에게는 성전산(Temple Mount)으로 알려진 지역에서 팔레스타인 남성들이 금요 기도에 참여하고 있다. 그 뒤로 바위의 돔 사원이 보인다. (사진…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