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세계 10대 부자, 팬데믹 기간 재산 2배 증가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시사] 세계 10대 부자, 팬데믹 기간 재산 2배 증가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시사] 세계 10대 부자, 팬데믹 기간 재산 2배 증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에큐메니안| 작성일2022-01-20 | 조회조회수 : 2,228회

본문

옥스팜 불평등 보고서, 빈곤층 하루 5.5달러로 생활하며 4초에 1명씩 사망



b066f42977fbdea551afca88586523a4_1642718066_4461.jpg
▲ 테슬라의 창업주인 일론 머스크는 팬데믹 위기 동안 세계 최고의 부자가 되었다. ⓒAly Song/Reuters


영국 Guardian(가디언) 지(紙)는 영국에 위치한 국제구호개발기구 ‘Oxfam(옥스팜)’의 보고서를 인용 “세계 10대 부자들은 빈곤과 불평등이 급증하는 가운데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첫 2년 동안 그들의 재산이 2배로 늘었다.”고 보도했다.


옥스팜은 ‘World Economic Forum’(세계경제포럼, 일명 ‘다보스포럼’) 주최로 세계 정상들이 참석하는 온라인 미니정상회담에 앞서 발표한 브리핑에서 이 남성 부자들의 재산이 7000억 달러에서 1조5000억 달러로 급증했는데, 이는 하루 평균 13억 달러씩 증가한 것이라고 밝혔다.


전 세계 빈곤 해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자선 단체 연합인 옥스팜은 억만장자들의 재산이 1929년 월스트리트 폭락 이후 세계 경제가 최악의 경기 침체를 겪었던 지난 14년보다 팬데믹 기간 동안 더 많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옥스팜은 이 불평등을 “경제적 폭력”이라고 부르며, 이러한 불평등은 의료에 대한 접근성 부족, 젠더에 기반한 폭력, 기아와 기후 변화로 인해 하루 21,000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키고 있다. 4초마다 1명씩 사망한 것이다.


또한 옥스팜은 전염병으로 인해 1억 6천만 명이 빈곤에 빠졌고, 급증하는 불평등의 여파로 인해 백인이 아닌 소수 민족과 여성이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하루 5.5달러 이하로 살아갔다고 전했다. 2019년보다 여성 취업자가 1300만 명이 줄고, 2천만 명의 소녀가 학교를 가지 못하고 있는 젠더 불평등이 커졌다.


b066f42977fbdea551afca88586523a4_1642718047_9744.jpg
▲ 세계 10대 억만장자의 순자산은 팬데믹 기간 동안 2배 이상 증가한 1조 5천억 달러에 이르렀다. ⓒGuardian graphic


옥스팜의 보고서는 지난해 12월 ‘포브스(Forbes)’가 발표한 연구를 인용한 것인데, 이 연구에 의하면 팬데믹 기간 동안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들의 전 세계 재산에서 자치하는 비중이 기록적인 속도로 치솟았다.


옥스팜은 전세계 백신 생산과 더불어 생명을 구하기 위한 의료, 기후 적응, 젠더에 기반한 폭력 감소에 대한 자금 지원을 위해 세제 개혁을 촉구했다.


옥스팜은 재산 산출을 이용할 수 있는 가장 최신적이고 포괄적인 데이터 자료를 토대로 했으며,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집계한 2021년 억만장자 목록을 이용했다고 밝혔다.


포브스는 세계 10대 부자로 테슬라와 스페이스X의 엘론 머스크, 아마존의 제프 베조스, 구글 창업자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 페이스북의 마크 주커버그, 전 마이크로소프트 CEO 빌 게이츠와 스티브 발머, 전 오라클 CEO 래리 엘리슨, 미국 투자자 워런 버핏과 프랑스 럭셔리 그룹 LVMH의 대표인 베르나르 아르노 등이다.


이정훈 기자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77건 81 페이지
  • 마약상에서 목사로…'과거의 고난이 사역의 씨앗'
    데일리굿뉴스 | 2022-03-03
    ▲마이클 필립스 목사.(사진출처=TD Jakes Foundation 유튜브 캡처)전직 마약상에서 목사가 된 한 사람이 슬픔을 극복하고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되찾은 강력한 삶의 이야기를 나눴다.CBN뉴스에 따르면 미국 메릴랜드 주 볼티모어에서 자란 마이클 필립스(47) …
  • cd4e7cac2b6db547487df4ad5a00d527_1646238708_0588.jpg
    조 바이든 대통령 첫 국정연설에 영부인 질 바이든의 드레스 빅 뉴스
    뉴스파워 | 2022-03-02
    해바라기를 수놓은 드레스로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 지지 및 위로 격려▲ 3월 1일 현지시간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첫 의회 국정연설에서 영부인의 옷차림이 빅 뉴스가 되었다.   © 뉴스 파워 정준모 (사진: Win McNamee/Getty Images)2022년 3월…
  • 도산 안창호 선생 막내 아들 랄프 안 선생 별세
    데일리굿뉴스 | 2022-03-01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선생의 홀로 남은 막내아들 랄프 안 선생(Ralph Philander Ahn, 한국명 안필영)이 지난 2월 26일 밤 11시 11분경 향년 95세로 별세했다. ▲로스앤젤레스한인회에서 마련한 고 랄프안 선생 추모 영정. ⓒ데일리굿뉴스랄프 안 선생은…
  • [시사] [NY] 뉴욕한국학교, 3·1절 103주년 행사
    미주중앙일보 | 2022-02-28
     뉴욕한국학교, 3·1절 103주년 행사 뉴욕한국학교(교장 박종권)는 지난 26일 특별수업을 갖고 3·1운동의 숭고한 민족정신을 되새겼다. 참가자들이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만세시위를 재연하고 있다.   [뉴욕한국학교]
  • 미주한인여성목회자협의회, 목회자 세미나
    미주중앙일보 | 2022-02-28
     미주한인여성목회자협회(회장 이진아 목사)는 지난 22일 박용돈 목사를 초청해 화상으로 목회자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은 한국문화에서 여성 목회자의 길, 현주소 등에 대해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미주한인여성목회자협의회]
  • 뉴욕효신장로교회 사태 중심에 ‘이단 논쟁' 있어
    NEWS M | 2022-02-28
    이경섭 목사 설교 중 ‘피 사상' 문제 제기…사제간 싸움으로 번져담임목사 해임안 건의와 교단탈퇴, 청빙위원회 재구성 등 극단적 방안들이 제기되고 있는 뉴욕효신장로교회 사태의 중심엔 ‘이단논쟁’이 자리잡고 있다는 분석이 대세이다. 현 담임목사인 문석호 목사는 지난 14(…
  • 제9차 한인세계선교회(KWMC) 7월 워싱턴서 열린다
    크리스천 위클리 | 2022-02-25
    주제는 “온 인류의 소망, 예수”지난주 뉴욕에서 열린 의장단 회의 참가자들 제9차 한인세계선교회(KWMC)가 오는 7월 와싱톤 중앙장로교회(류응렬 목사)서 열린다.이번 대회 주제는 ‘인류의 소망 예수(Jesus, the HOPE of the World)’이다.오는 7월…
  • ‘MZ세대 고민’ 보듬은 채팅, 지난해 19만명을 전도하다
    국민일보 | 2022-02-22
    미디어 선교단체 ‘그라운드와이어’ 숀 던 대표 이메일 인터뷰 그라운드와이어의 상담 코치인 한 중년 여성(위)이 스마트폰을 갖고 있는 젊은 여성(아래)과 채팅 상담을 하고 있다. 영상에 공개된 채팅 내용에는 코치가 ‘불안함을 없애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라고 묻는 여성에…
  • 100년 전 신학자 헤르만 바빙크 새롭게 조명되는 까닭은…
    국민일보 | 2022-02-22
    미국 CT “바빙크 저작 번역본이 중국어까지 이어지고 있다” 보도‘19세기 신학자가 21세기에 세계화되었다.’22일 미국 크리스채너티투데이(CT)는 네덜란드 신학자였던 헤르만 바빙크(사진·1854~1921)를 이렇게 평가했다. CT는 “지난 10년간 네덜란드 신칼뱅주의…
  • 2022 세계 기도일 온라인 예배
    KCMUSA | 2022-02-22
    3월4일 오후 6시 미주 한인교회 여성연합회미주한인교회 여성연합회가 3월4일에 세계 여성 기독교 신자들이 합심해 기도하는 세계 기도일 예배를 온라인으로 드린다. 올해는 시카고 한미장로교회에서 예배 진행자들이 참여하는 가운데 현장을 유튜브로 생중계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이민교회, 1세와 2세의 공통분모 될 수 있나"
    미주중앙일보 | 2022-02-22
    한인 교회가 사라진다 〈5〉 이민 1세대와 생각 다른 2세들교회 운영, 철학, 방향성도 달라 1세들은 이민자, 성인 사역 추구2세들은 아시안, 다민족 중심 사역  이민교회 유지, 생존에 몰두해와장기적 안목 갖고 미래 준비해야  한인교회는 이민자의 모임이다. 거기서 파생…
  • [CA] 나성영락교회 교단 탈퇴 논란 결국 법정 공방으로 이어질 듯
    미주중앙일보 | 2022-02-18
    교단 측 이재광 총회장LA 방문해 변호사 선임이재광 지난해 10월 교단 탈퇴 사태로 논란이 됐던 나성영락교회 문제가 결국 법정에서 다뤄질 전망이다. 나성영락교회(담임목사 박은성)가 소속해 있던 해외한인장로회(이하 KPCA)가 15일 변호사를 정식 선임하고 법적 대응 방…
  • fda3ff45681091b2085d474186ee1415_1645059081_672.jpg
    미 남침례교의 2022년 목회자 컨퍼런스 2월 17일 열린다
    KCMUSA | 2022-02-16
    사우스 웨스턴 신학교에서 개최, 주제는 "우리는 그를 선포합니다" 지난 해 6월 15일 테네시 주 내쉬빌에서 열린 미남침례회 연회에 참가한 대표자들. (사진: Religion News Service)2월 16일자 침례교 신문(Baptist Press)에 따르면 2022…
  • "이민 교회, 생존 방법에 대한 고민 필요한 때"
    미주중앙일보 | 2022-02-15
    한인 교회가 사라진다 (4)   "왜 '코리안 처치(korean church)'가 유지돼야 하는가. 아니 왜 존재해야 하는가". 급변하는 사회는 오늘날 한인 교계에 질문을 던진다. 특히 팬데믹 사태로 인해 사회 각 영역이 변화의 바람을 맞으면서 교회 역시 존재성에 대한…
  • [OR] 노숙자 급식 막는 시 당국 고소한 교회, “우리는 노숙자 형제자매 포기 않해!”
    NEWS M | 2022-02-15
    오래곤주 세인트 티모시 교회, 신앙 표현 자유 침해로 시 당국 소송팬데믹 등 위기로 갈수록 심각해지는 노숙자 문제[뉴스M=마이클 오 기자] 오레곤주 한 교회가 시 당국을 고소했다. 이유는 종교 표현의 자유를 탄압한다는 것이다.오레곤주 세인트 티모시 성공회 교회는 펜데믹…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