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펜데믹 한파 ‘매각하거나 합치거나’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포스트 펜데믹 한파 ‘매각하거나 합치거나’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포스트 펜데믹 한파 ‘매각하거나 합치거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미주크리스천신문| 작성일2022-01-17 | 조회조회수 : 2,378회

    본문

    이코노미스트, 세계종교시장 생존 방법 2가지로 분석 보도



    11cbabb0876b7807b63c91bce2d3d4c3_1642445077_751.jpg

    지난 2년 동안 이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회는 교회답게 유지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됐다. 팬데믹은 온라인 서비스로의 전환을 가속화해 한때 충실했던 많은 사람들에게 대면예배를 중단할 빌미를 제공했다. 많은 종교기관이 밤새 문을 닫고 서비스를 줌(Zoom)으로 옮겼다. 


    이제 그들의 건물이 다시 문을 열면서 얼마나 많은 예배자들이 돌아올지 불확실하다. 따라서 이코노미스트(Economist)지는 지구촌 종교시장에서 이미 시작되고 있는 2가지 경향이 강화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 즉  많은 종교단체가 사용하지 않는 자산을 매각하거나 아니면 더 많은 교회들이 합쳐질 것이다(The world’s religions face a post-pandemic reckoning: Many need to sell their property; some branches will have to merge).


    경제학자들은 오랫동안 종교집단을 기업인 것처럼 분석해왔다. 1776년 스코틀랜드의 아담 스미스는 "국부론"에서 교회는 정육점, 제빵사, 양조장과 유사한 기업이라고 주장했다.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기부금과 자원봉사자에 의존하는 자유롭고 경쟁적인 시장에서 성직자는 신도를 채우기 위해 "열심"과 "근면"으로 행동해야 한다고 보며, 따라서 합병, 인수 및 파산은 불가피하다고 말한다.


    오늘날 종교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도 유동적이다. 수요 측면에서 서구세계의 교회는 대유행보다 훨씬 이전에 시작된 세계적 세속화로 고통 받고 있다. 종교와 함께 번영한 부유한 국가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인 미국에서도 (일부는 종교 때문에) 기독교인으로 식별하는 국민의 비율이 2000년 82%에서 2020년 75% 미만으로 떨어졌다. 


    공급 측면에서 경쟁은 정부가 사람들이 따라야 할 종교를 지지하지 않는 곳에서 격렬한 경향이 있다. 텍사스 베일러대학교의 존 고든 멜튼(John Gordon Melton)은 다른 종교와 함께 미국에 약 1,200개의 기독교 교파가 있다고 추정한다. 회중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서는 모든 면에서 예배를 매력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갤럽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4분의 3이 음악이 한 요인이라고 말한다. 85%는 사회활동을 종교 활동 하는 이유로 말한다. 결국 핵심은 "종교가 더 많다"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 취향에 "일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전 세계 교회의 혁신에 박차를 가했다. 예를 들어 영국의 한 교회(Milton Keynes Christian Center)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에서 종교 교육과정과 기도그룹을 개발했다. 푸드 뱅크를 지원하고 학습장애가 있는 어린이를 위한 "감각 스위트룸"("진정하고 진정되는 공간")을 열었다. 


    밀턴 케인즈의 본당에 자문을 제공하는 애틀랜타에 기반을 둔 교회컨설팅회사(Unstuck Group)의 설립자인 토니 모간은 "교회는 오늘날 우리 문화가 있는 곳에서 참여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역 전략을 다시 검토해야 합니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많은 교회가 이를 따라가지 못했다. 많은 성직자들은 기술이 부족하거나 아이디어가 싫어서 폐쇄기간 동안 온라인으로 이동하지 않았다. 일부는 대면예배를 위해 교회 문을 여는 속도가 느렸다. 한편, 예배의 스트리밍은 예배자들이 "교회를 뛰어넘는" 것을 더 쉽게 만들었다. 종교에 대한 전 세계 연구를 수행하는 바나 리서치가 2020년 미국에서 개종하는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14%는 교회를 바꿨고, 18%는 하나 이상의 교회에 다니고, 35%는 전염병 이전의 교회에만 다니고, 32%는 교회를 다녔다. 


    어려움을 겪든 번성하든 모든 교회의 필수 조치는 재정 균형을 맞추는 것이며, 이는 오늘날 변함없이 재산 포트폴리오를 분류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직화된 종교는 기업이 온라인으로 전환되면서 텅 빈 쇼핑몰과 빈 사무실의 집주인이 직면하는 것과 동일한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 


    수세기 동안 종교는 재산의 형태로 지상의 부를 축적해왔다. 바티칸은 수천 개의 건물을 소유하고 있으며 일부는 런던과 파리의 호화로운 지역에 있다. 사이언톨로지 교회는 4억 달러의 가치가 있는 허리우드의 화려한 주소,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중세스타일 성, 영국 서식스의 18세기 맨션을 소유하고 있다. 태국에서 가장 부유한 불교 종파가 소유한 사원인 왓 프라 담마카야(Wat Phra Dhammakaya)는 전 세계에 명상실(참선)을 자랑한다. 


    몰몬 교회로 더 잘 알려진 예수그리스도후기성도교회가 얼마나 많은 것을 소유하고 있는지는 미스터리다. 가축 목장, 하와이의 테마파크, 유타의 솔트레이크 성전 인근 쇼핑몰을 포함해 1,000억 달러 상당의 미국 투자가 있다고 한다. 


    소규모 종교기관도 지상의 부를 재산에 의존한다. 사원, 회당 및 모스크는 모두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는 것을 지켜보고 있다.


    이것은 공식적인 종교 출석이 감소하고 헌금도 함께 감소함에 따라 더욱 중요해졌다. 영국의 교회 건물은 지난 10년 동안 연간 200개 이상의 비율로 폐쇄됐다. 앞으로 몇 년 안에 수백 개가 더 팔리거나 철거될 수 있다. 미국에서도 수만 개의 건물이 영원히 문을 닫을 위험에 처해 있다. 미국 유대교 회당의 거의 3분의 1이 지난 20년 동안 문을 닫았다.


    거대한 붉은 벽돌 고딕양식의 건축물인 베를린의 성모마리아교회는 이러한 경향을 반영한다. 수세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프레스코화와 석조 부조로 가득 차 있다. 그러나 좌석은 텅 비어 있다. 회중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줄어들고 있다. 


    교회의 루터교 목사(Gregor Hohberg)는 젊은 베를린인들에게 여전히 “종교적 필요”가 있지만 요가수업과 명상그룹에서 그것을 충족시킨다고 말했다. 그는 대중들이 교회가 동성애자 가족을 환영하고 많은 목사들이 여성이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고 말한다. 그는 대부분의 독일인이 교회가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생각한다고 말한다.


    한편, 전 세계적으로 치솟는 유틸리티 비용과 긴급 수리비용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커지고 있다. 영국성공회는 향후 5년 동안 수리를 위해 2020년 연간 수입의 7배가 넘는 10억 파운드(13억 달러)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영국교회는 지난 30년 동안 놀라운 속도로 폐쇄됐다. 미국에서는 건물과 관련된 비용이 교회예산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 그러나 전국의 교회는 필요한 것보다 80% 더 많은 공간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인터넷은 축복이자 저주였다. 2020년 캔터베리 대주교의 온라인 설교는 약 5백만 명이 들은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대유행 이전 영국에서 매주 교회에 다니는 사람들의 수의 5배가 넘는 수치다. 그러나 온라인 참여에는 대가가 따른다. 신자들이 방문을 중단하면 고대 교회건물이 쓸모없게 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종교단체는 이전보다 빠르게 재산을 매각하거나 다른 용도를 모색하고 있다. 천국을 찾는 신앙 지도자들은 좀과 녹이 부패하는 땅에서 부동산 자산을 팔거나 임대함으로써 적응하는 법을 배우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900만 명의 회원이 있다고 주장하는 여호와의증인은 전단과 잡지인 ‘파수대’를 인쇄하던 영국본부를 매각했다. 30개국에서 150,000명의 매주 예배자가 있다고 주장하는 호주의 대형교회인 힐송은 주일예배를 위해 극장, 영화관 및 기타 장소를 임대하고 있을 정도다.


    한편 신성한/거룩한 재산과의 이별은 어색할 수 있다. 2020년에 인도 안드라프라데시 주의 티루말라에 있는 유명한 힌두교 사원인 벤카테스와라의 감독자들은 회원들이 기부한 수십 개의 "살아날 수 없는" 자산을 경매하려고 시도한 이유로 "반힌두교인"으로 낙인 찍혔다. 


    그러한 문제에 대한 또 다른 보다 급진적인 접근방식이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다. 즉 교회가 스스로 번영할 수 없다면 다른 교회와 합병하는 것이다. 몇 달 전 목회자에서 컨설턴트로 전환한 탐벌린(Jim Tomberlin)은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 근처의 한 교회에서 50명도 채 되지 않는 신도와 450,000달러의 건물 담보 대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회에 대한 컨설팅을 받았다. 해당 지도자들은 차로 15분 거리에 있는 다른 교회와 합류하기를 원한다. 이 교회에는 1000명의 교우가 있고 건전한 대차대조표가 있다.


    교회가 병합되는 추세는 코로나19 이전에 시작됐지만 그 속도는 빨라질 수 있다. 예산이 빠듯하거나 목회자가 떠나면서 신학이 아니라 행정에 의해 촉발된다. 그러한 통합은 로마카톨릭교회들 사이, 회당 사이, 그리고 다른 종교들 사이에서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특히 미국의 주류 개신교 교회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여느 사업과 마찬가지로 두 교회가 결합하면 지도자가 충돌할 수 있고, 문화적 변화가 교인을 지연시킬 수 있으며, 공동 재정이 항상 잘 풀리는 것은 아니다. 교회 합병에서 약한 쪽이 추종자를 잃을 가능성이 높다. 지난 10년 동안 합병을 겪은 거의 1000명의 교회지도자를 대상으로 한 2019년 설문조사에 따르면 약 5분의 1이 연합 1년 이내에 교회의 40% 이상을 잃는다.


    그러나 2000명 이상의 정기 참석자와 수백만 달러의 예산을 가진 약 1,750개의 개신교 "대형교회"가 생겨났다. 일부는 합병의 결과다. 대형교회 전문가인 미국 목사 워렌 버드(Warren Bird)는 교회 간의 좋은 결합은 성공적인 결혼과 같다고 말한다. 양쪽은 합병에 자신의 선물을 가져와야 하지만 번성하는 교회와 결합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회는 단순히 삼켜질 수 있다.


    이처럼 코로나바이러스는 확실히 경건한 기관들로 하여금 그들의 상업적 자산과 영적 자산을 동시에 앗아가게 만들었다.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48건 79 페이지
    • [NY] 웨슬리언 성서적 경건운동 회복
      미주크리스천신문 | 2022-03-03
      글로벌웨슬리영성목회네트워크, '카리스마 리바이벌‘ 개최'카리스마 리바이벌‘ 참석자들이 첫날 저녁 기념촬영 했다.글로벌웨슬리영성목회네트워크(공동대표 이성철 김정호 한의준 목사)가 주최한 '카리스마 리바이벌(Charisma Revival)'이 2월 21일 저녁 4시30분 …
    • 마약상에서 목사로…'과거의 고난이 사역의 씨앗'
      데일리굿뉴스 | 2022-03-03
      ▲마이클 필립스 목사.(사진출처=TD Jakes Foundation 유튜브 캡처)전직 마약상에서 목사가 된 한 사람이 슬픔을 극복하고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되찾은 강력한 삶의 이야기를 나눴다.CBN뉴스에 따르면 미국 메릴랜드 주 볼티모어에서 자란 마이클 필립스(47) …
    • cd4e7cac2b6db547487df4ad5a00d527_1646238708_0588.jpg
      조 바이든 대통령 첫 국정연설에 영부인 질 바이든의 드레스 빅 뉴스
      뉴스파워 | 2022-03-02
      해바라기를 수놓은 드레스로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 지지 및 위로 격려▲ 3월 1일 현지시간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첫 의회 국정연설에서 영부인의 옷차림이 빅 뉴스가 되었다.   © 뉴스 파워 정준모 (사진: Win McNamee/Getty Images)2022년 3월…
    • 도산 안창호 선생 막내 아들 랄프 안 선생 별세
      데일리굿뉴스 | 2022-03-01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선생의 홀로 남은 막내아들 랄프 안 선생(Ralph Philander Ahn, 한국명 안필영)이 지난 2월 26일 밤 11시 11분경 향년 95세로 별세했다. ▲로스앤젤레스한인회에서 마련한 고 랄프안 선생 추모 영정. ⓒ데일리굿뉴스랄프 안 선생은…
    • [시사] [NY] 뉴욕한국학교, 3·1절 103주년 행사
      미주중앙일보 | 2022-02-28
       뉴욕한국학교, 3·1절 103주년 행사 뉴욕한국학교(교장 박종권)는 지난 26일 특별수업을 갖고 3·1운동의 숭고한 민족정신을 되새겼다. 참가자들이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만세시위를 재연하고 있다.   [뉴욕한국학교]
    • 미주한인여성목회자협의회, 목회자 세미나
      미주중앙일보 | 2022-02-28
       미주한인여성목회자협회(회장 이진아 목사)는 지난 22일 박용돈 목사를 초청해 화상으로 목회자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은 한국문화에서 여성 목회자의 길, 현주소 등에 대해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미주한인여성목회자협의회]
    • 뉴욕효신장로교회 사태 중심에 ‘이단 논쟁' 있어
      NEWS M | 2022-02-28
      이경섭 목사 설교 중 ‘피 사상' 문제 제기…사제간 싸움으로 번져담임목사 해임안 건의와 교단탈퇴, 청빙위원회 재구성 등 극단적 방안들이 제기되고 있는 뉴욕효신장로교회 사태의 중심엔 ‘이단논쟁’이 자리잡고 있다는 분석이 대세이다. 현 담임목사인 문석호 목사는 지난 14(…
    • 제9차 한인세계선교회(KWMC) 7월 워싱턴서 열린다
      크리스천 위클리 | 2022-02-25
      주제는 “온 인류의 소망, 예수”지난주 뉴욕에서 열린 의장단 회의 참가자들 제9차 한인세계선교회(KWMC)가 오는 7월 와싱톤 중앙장로교회(류응렬 목사)서 열린다.이번 대회 주제는 ‘인류의 소망 예수(Jesus, the HOPE of the World)’이다.오는 7월…
    • ‘MZ세대 고민’ 보듬은 채팅, 지난해 19만명을 전도하다
      국민일보 | 2022-02-22
      미디어 선교단체 ‘그라운드와이어’ 숀 던 대표 이메일 인터뷰 그라운드와이어의 상담 코치인 한 중년 여성(위)이 스마트폰을 갖고 있는 젊은 여성(아래)과 채팅 상담을 하고 있다. 영상에 공개된 채팅 내용에는 코치가 ‘불안함을 없애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라고 묻는 여성에…
    • 100년 전 신학자 헤르만 바빙크 새롭게 조명되는 까닭은…
      국민일보 | 2022-02-22
      미국 CT “바빙크 저작 번역본이 중국어까지 이어지고 있다” 보도‘19세기 신학자가 21세기에 세계화되었다.’22일 미국 크리스채너티투데이(CT)는 네덜란드 신학자였던 헤르만 바빙크(사진·1854~1921)를 이렇게 평가했다. CT는 “지난 10년간 네덜란드 신칼뱅주의…
    • 2022 세계 기도일 온라인 예배
      KCMUSA | 2022-02-22
      3월4일 오후 6시 미주 한인교회 여성연합회미주한인교회 여성연합회가 3월4일에 세계 여성 기독교 신자들이 합심해 기도하는 세계 기도일 예배를 온라인으로 드린다. 올해는 시카고 한미장로교회에서 예배 진행자들이 참여하는 가운데 현장을 유튜브로 생중계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이민교회, 1세와 2세의 공통분모 될 수 있나"
      미주중앙일보 | 2022-02-22
      한인 교회가 사라진다 〈5〉 이민 1세대와 생각 다른 2세들교회 운영, 철학, 방향성도 달라 1세들은 이민자, 성인 사역 추구2세들은 아시안, 다민족 중심 사역  이민교회 유지, 생존에 몰두해와장기적 안목 갖고 미래 준비해야  한인교회는 이민자의 모임이다. 거기서 파생…
    • [CA] 나성영락교회 교단 탈퇴 논란 결국 법정 공방으로 이어질 듯
      미주중앙일보 | 2022-02-18
      교단 측 이재광 총회장LA 방문해 변호사 선임이재광 지난해 10월 교단 탈퇴 사태로 논란이 됐던 나성영락교회 문제가 결국 법정에서 다뤄질 전망이다. 나성영락교회(담임목사 박은성)가 소속해 있던 해외한인장로회(이하 KPCA)가 15일 변호사를 정식 선임하고 법적 대응 방…
    • fda3ff45681091b2085d474186ee1415_1645059081_672.jpg
      미 남침례교의 2022년 목회자 컨퍼런스 2월 17일 열린다
      KCMUSA | 2022-02-16
      사우스 웨스턴 신학교에서 개최, 주제는 "우리는 그를 선포합니다" 지난 해 6월 15일 테네시 주 내쉬빌에서 열린 미남침례회 연회에 참가한 대표자들. (사진: Religion News Service)2월 16일자 침례교 신문(Baptist Press)에 따르면 2022…
    • "이민 교회, 생존 방법에 대한 고민 필요한 때"
      미주중앙일보 | 2022-02-15
      한인 교회가 사라진다 (4)   "왜 '코리안 처치(korean church)'가 유지돼야 하는가. 아니 왜 존재해야 하는가". 급변하는 사회는 오늘날 한인 교계에 질문을 던진다. 특히 팬데믹 사태로 인해 사회 각 영역이 변화의 바람을 맞으면서 교회 역시 존재성에 대한…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