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정지 풋볼 선수 다마르 햄린의 기적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심정지 풋볼 선수 다마르 햄린의 기적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심정지 풋볼 선수 다마르 햄린의 기적

페이지 정보

작성자 크리스천 헤럴드| 작성일2023-01-17 | 조회조회수 : 981회

본문

위기 때 기도하는 것 미국인 재확인

공공 방송 중 기도에 누구도 불평 없어


 

b8e2b1914f0ef0f27cf00f6f81302191_1673973765_3241.jpg
 

미국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스포츠는 단연코 풋볼이다. 2023년 새해 첫 월요일에 진행된 NFL 먼데이나잇 풋볼, 버팔로 빌스와 신시내티 뱅갈스 전은 전 국민이 지켜보는 가운데 진행됐고 버펄로 빌스 세이프티 다마 햄린(24세)의 부상은 풋볼 팬들과 리그는 물론 미 전국민을 하나로 묶는 연대와 긍정의 힘으로 드러났다.  


크리스천포스트의 보도에 따르면 라디오 프로그램 진행자인 마이클 브라운 박사는 크리스찬포스트의 논설에서 다마르 햄린 선수의 심정지를 통해 미국인들이 위기에 처했을 때 기도하는 것이 얼마나 자연스러운 일인지를 알게 해주었다고 평가했다.   


전국적으로 모든 사람들이 기도를 올렸다. 햄린의 팀원들과 코치들도 기도했다. 수백만 명의 팬들이 그들의 성원을 트윗하며 기도에 동참했다. 생방송 TV에서도 스포츠 해설자들 역시 방송 중간에 멈춰 서서 기도했다. 


하지만 이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위기의 시기, 특히 삶과 죽음의 위기 때, 사람들은 하나님께 의지한다. 


우리는 상황이 심각하다는 것을 알고 있고, 우리 스스로 상황을 바꿀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오직 하나님만이 상황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위기에 처하면 사람들이 무신론의 생각을 떠나 자연스럽게  하나님에게 의지한다. 종교가 없는 사람 조차 기도한다.  


흥미롭게도, 신앙에 반감을 품은 사람들 조차 위기 앞에 행해지는 종교적 믿음의 모든 공공장소에 공격적 비난을 품기보다는 이런 감정에 대해 감사를 표시해 왔다. 그렇기 때문에 NFL 주치의사이자 현재 TV 진행자인 댄 올롭스키는 그의 믿음에 대한 비난보다는 TV에서 기도하는 것으로 오히려 찬사를 받았다. 


올롭스키는 "어젯밤 엄청난 비극 속에서 우리는 축구의 아름다움도 봤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우리 모두를 이 자리에 모이게 했다는 것이다. 이건 좀 다르다. '생각과 기도'처럼 하루 종일 들었다. 그리고 당신은 방금 브랜든 셔프와 조나단 앨런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그를 위해 기도하는 것뿐'이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고, 나는 버팔로 빌스 단체가 '우리는 기도를 믿는다'고 말하는 것을 들었다.  


그의 공동 진행자인 로라 러트리지와 마커스 스피어스는 고개를 숙이고 눈을 감으며 경의를 표했다. 


스포츠와 언론에 종사하는 다른 동료들과 다른 종교 지도자들 역시 올롭스키가 방송 중 기도한 것을 두고 칭찬일색이었다. 포커스온더패밀리의 회장 짐 달리가 표현했듯이, "우리가 (비극의 순간에) 하나님과 대화하고 주님과 대화하기 시작하는 핵심 장소로 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것은 믿음을 가진 사람으로서 매우 기쁜일이다."


짐 달리 회장은 "우리는 하나님을 무시하는 경향이 너무 많은 풍요로운 문화에서 오히려 신선하다는 것을 알게 될 뿐"이라면서 "이런 일이 일어나고 그것은 우리 자신의 죽음을 떠올리게 하고 우리는 기도하고 신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한다… 그것은 우리 내면의 깊은 갈망을 말해준다."라고 덧붙였다. 


사람들은 어려울 때 기도하고, 기도는 조롱당하기보다 환영받는다. 


현실의 절망이나 암담함은 우리가 항상 신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다만, 모든 것이 잘 되면, 우리는 종종 하나님을 잊은채 스스로 신뢰하고, 신을 우리의 생각에서 완전히 배제하기 일쑤다. 우리들 중 많은 이들이 심지어 신앙을 공공 생활에서 배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면서, 신앙에 적대적이 된다. 그러나 위기가 닥치면 현실은 우리를 깨우고 우리의 나약함을 인식하며 죽음이 언제든지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게 하는 것이다.  바라기는 삶이 정상으로 돌아올때 일지라도 이 사실을 절대 잊지 않는 것이다,  


현재 햄린은 의식을 회복함은 물론 부상을 입었던 신시내티를 떠나 버팔로, 홈타운으로 돌아와 계속 치료 받고 있는 중이다.  


한편 햄린이 의식을 잃은지 이틀 만에 의식을 되찾았을 때 첫 질문인 Did we win? (우리가 이겼나요?)라는 말은 전국적으로 퍼져 유행어가 됐고 햄린이 2020년에 창립한 불우아동을 위한 비영리단체의 모금은 사고전 약 3천불 정도의 모금액이 사고 후 7백만불 이상을 모금하는 성과를 내고 있다.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77건 48 페이지
  • 낙태반대운동 돕는 것, ‘교회의 본질적 역할’
    크리스천헤럴드 | 2023-01-26
    기독교의 섬김, 어느 때보다 필요교회의 사명 새롭게 하는 좋은 기회  올해 3월 진행되는 낙태반대 운동인 "생명행진 (March for Life)"은 "로 대 웨이드"가 낙태에 대한 접근권을 최고 법적 수준으로 보장한 지 50년을 맞는 미국에서 열리는 첫 번째 행진이…
  • 41b4f50251c872306f4589ec46e987a2_1674689325_4425.jpg
    美 빌리 그레이엄 긴급대응팀, 총기 난사 충격 휩싸인 캘리포니아 방문
    데일리굿뉴스 | 2023-01-25
    "고통받는 도시를 위로하고 기도하는 것이 우리의 사명" ▲미국 캘리포니아 몬터레이 파크의 총기 난사 사건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시민들이 사건 현장인 스타 볼룸댄스 스튜디오 앞에 꽃다발을 놓고 있다.(사진출처=연합뉴스) [데일리굿뉴스]박애리 기자= 빌리 그래함 긴급…
  • [정치] 바이든, 6년 공석 '북한인권 특사' 줄리 터너 지명
    데일리굿뉴스 | 2023-01-25
    ▲줄리 터너 신임 미국 북한인권특사. (사진출처=미 국무부 민주주의·인권·노동국(DRL) 페이스북) [데일리굿뉴스]박애리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약 6년간 공석으로 남아있던 북한인권특사를 지명했다.RFA(자유아시아방송)에 따르면 백악관은 지난 23일(현지시간…
  • 세계 첫 한인교회, 독립운동사적지 공식 지정
    아이굿뉴스 | 2023-01-24
    미국 그리스도연합감리교회, 지난 13일 사적지 제막식국가보훈처, 미주 이민 120주년 맞아 하와이 14곳 지정국가보훈처는 세계 첫 한인교회로 알려진 미국 하와이 그리스도연합감리교회를 독립운동사적지 공식 지정하고, 지난 13일 표지판을 전달했다. (왼쪽부터) 박재원 미…
  • ed3c2915ef496dddc58a01dd976f7f30_1674508574_6863.jpg
    [CA] 풀러신학대학원 고틀리 6대 총장 취임예배 가져
    KCMUSA | 2023-01-24
    사진은 윌리엄 팬넬 설교학 명예교수가 총장스톨을 고틀리 총장에게 입혀주고 축하하는 모습.풀러신대학원 데이빗 임마누엘 고틀리 6대 총장 취임예배가 21일(토) 오전 10시 레이크에비뉴교회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다니엘 메이어 풀러 이사회 의장 사회로 열린 취임예배는 메이어…
  • c2d7955be75cdfa37a60d4185e5acdc5_1674502100_3691.jpg
    미국인들 사이에서 증가하는 영적 개방성... 기독교 지도자들 준비 돼 있는가?
    KCMUSA | 2023-01-24
    이전에 프린스(Prince)로 알려진 아티스트의 노래 "1999"에서 그는 새 천년의 희망과 기대를 암시한 바 있다. 바나리서치는 지금까지 2000년대는 과대 광고에 부응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9-11, 최근 역사상 최악의 경기 침체, 세계적인 유행병, 인종…
  • 열심히 일하고 열심히 기도하라: 오순절주의가 캘리포니아 노동자들 사이에서 번진 방법
    KCMUSA | 2023-01-23
    "멕시코계 미국인들 희망, 치유, 휴식 위해 오순절 신앙 가져" 1940년대 중반 캘리포니아 살리나스 교회의 성도들. 맨 오른쪽에 서 있는 사람이 그리스도 예수를 믿는 사도적 총회(La Asamblea Apostólica de la Fe en Cristo Jesús,…
  • c2d7955be75cdfa37a60d4185e5acdc5_1674515421_3191.jpg
    [CA] [사회] 음력설 몬터레이 파크 대학살... 용의자는 72세 아시안 남성... 동기 아직 몰라
    KCMUSA | 2023-01-23
    몬터레이 파크 경찰서장인 스콧 위즈(Scott Wiese)가 월요일 기자 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 ABC7 Eyewitness News) 토요일 11명의 목숨을 앗아간 캘리포니아 몬터레이 파크 총격 사건은 2022년 5월 우발데 대학살 이후 가장 치명적인 공격이었다…
  • ed3c2915ef496dddc58a01dd976f7f30_1674258205_5115.jpg
    미기총 신년감사예배 드려
    크리스찬타임스 | 2023-01-20
    지난 1월 17일 미기총 신년감사예배에 줌으로 참석한 예배 담당자들지난 1월 17일(화) 미기총 신년 감사예배가 동부시간 오후 8시, 서부 오후 5시에 온라인 상 줌으로 드려졌다. 상임회장 나성균 목사의 인도로, 사무총장 이제선 목사의 대표기도 후, 전임 회장 한기홍 …
  • 99ab3cd829ddbc9d36b947e2561d7402_1674254753_2498.jpg
    [CA] 월드미션대 초고령시대 시니어복지목회 포럼 강사 이준우 교수
    미주크리스천신문 | 2023-01-20
    ‘노인사역’…교회가 앞장서서 펼쳐나가야 하고 노인에 대한 패러다임이 전환 되야 할 때 이현아 교수와 이준우 교수“수발이라는 개념이 아닌 사회적 돌봄, 정서적 돌봄, 신체적 돌봄이 유기적으로 작동해야 하고 예전처럼 노인들이 케어만 받으며 생활하는 것이 아닌 다음세대와 문…
  • 한국대학합창단 2023년 미주순회 연주회
    미주크리스천신문 | 2023-01-20
     한국대학합창단(지휘 신승용 교수)이 지난 2019년에 이어 4년 만에 미주지역을 방문했다. 한국대학합창단 2023년 미주지역 순회연주회가 열리고 있다. 지난 13일(금) 미주지역에 도착한 대학합창단은 아틀란타와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연주회를 가졌으며 19일(목) 텍사스 …
  • [NY] 뉴욕교협 1차 임실행위원회 개최
    기독뉴스 | 2023-01-19
    뉴욕지구한인교회협의회(회장 이준성목사)는 1월16일(월) 오전 10시30분 뉴욕양무리장로교회(담임 이준성목사)에서 제1차 임실행위원회를 열었다.위원회는 오는 22일(주일) 오후 5시  하크네시야교회(담임 전광성목사)에서 열리는 신년하례감사예배에 적극 참석하기로 의견을 …
  • 장재웅목사, 감신 미동부총동문회 회장 선출
    기독뉴스 | 2023-01-19
     1887년 배재학당에서 아펜젤러선교사에 의해 시작된 한국 최초의 신학대학 감리교신학대학교 미동부 총동문회 신년하례회 및 정기총회가 1월16일 오전 10시30분 뉴저지연합교회(고한승목사)에서 50여명의 동문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도상원목사(총무, 뉴저지UMC감리사…
  • ed3c2915ef496dddc58a01dd976f7f30_1674157036_5183.jpg
    [CA] 미주한인이민 120주년을 축하하는 제20회 미주한인의날 기념행사 개최돼
    KCMUSA | 2023-01-19
    미주한인이민 120주년을 축하하는 제20회 미주한인의날 기념행사에서 참석자들이 단체사진을 찍고있다 미주한인재단 LA(회장 이병만 장로)가 주최한 미주한인이민 120주년을 축하하는 제20회 미주한인의날 선포 및 기념식이 지난 1월13일(금) 오후 5시 LA 다운타운에 위…
  • 美 배우 카메론 부레, 560만 명 팬들에게 "함께 성경통독 하자"
    데일리굿뉴스 | 2023-01-19
    ▲배우 캔디스 카메론 부레의 인스타그램 화면. (사진출처=CandaceBure 인스타그램) [데일리굿뉴스]박애리 기자= 미국 배우 캔디스 카메론 부레가 팬들에게 성경 통독을 독려해 눈길을 끌었다.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에 따르면 미국 유명 드라마 '풀러하우스'의 주…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