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금 접시가 사라지는 것이 교회에 주는 중요한 의미 5가지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헌금 접시가 사라지는 것이 교회에 주는 중요한 의미 5가지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헌금 접시가 사라지는 것이 교회에 주는 중요한 의미 5가지

페이지 정보

작성자 KCMUSA| 작성일2023-02-27 | 조회조회수 : 1,160회

본문

cdc1eede7f6733e9da07064d62ca9610_1677540636_9455.jpg

(사진: ChurchLeaders) 


헌금 접시가 사라지고 있다.


Church Answers는 회원들에게 그들의 교회가 여전히 헌금 접시를 돌리는지를 묻는 간단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결과는 명확했다. 열 교회 중 일곱 교회는 더 이상 헌금 접시를 돌리지 않는다.


Church Answers의 이번 설문 조사의 샘플 크기와 선택은 과학적 엄격함을 통과하지 못하지만, 숫자가 그 의미를 말하고 있다. 작은 교회들 사이에서도 헌금 접시가 사라지고 있다.


헌금 접시가 사라지는 이유에 대해서 Church Answers는 이 극적인 변화가 주는 몇 가지 의미를 살펴보았는데, 이는 헌금 접시라는 예배의 전통적인 요소를 단순히 제거하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사실 변화는 매우 중요하다. 


헌금접시가 사라진 것에 관한 다섯 가지 의미는 다음과 같다.


1. 온라인 헌금은 이제 대다수 교회의 기본이다. COVID로 인해 대부분의 교회가 한동안 문을 열지 못했을 때 헌금 접시를 전달할 예배가 없었다. 온라인 헌금을 전혀 고려하지 않던 교회들이 눈 깜짝할 사이에 움직이기 시작했다. 이 변화는 사소하지 않다. 이는 교회 지도자들이 청지기 직분 중 하나로 헌금하는 것을 이제 디지털로 해야 함을 교회 회원들에게 지속적으로 알려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헌금 접시는 이웃을 위해서 베풀라는 시각적 알림 역할을 했다. 그 공허함이 이제 채워져야 한다.


2. 헌금 접시는 베푸는 행위가 곧 예배임을 분명히 전달하였다. 사실, 이 이유는 여전히 예배에서 헌금 접시를 돌리는 남은 교회들을 위한 가장 명료한 근거이다. 이제 교회 지도자들은 헌금하는 행위가 예배 행위라는 것을 교인들에게 상기시킬 방법을 찾고 전달해야 한다. 많은 교회가 모든 예배 중에 청지기 직분의 하나로서의 헌금 시간을 가지고 있다.


3. 헌금 접시를 돌리는 일을 중단했다면 헌금 접시를 다시 돌리는 일은 쉽지 않다. 교회가 COVID 이전의 여러 관행을 재개했지만 헌금 접시가 돌아올 것이라고 기대하지 말라. 일단 교인이 온라인으로 헌금하면 행동을 바꾸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이제 교회 지도자들은 온라인 헌금이 더 신뢰할 만하다는 것을 분명히 알게 되었다. 교인이 출타해서 교회를 못나오거나 교회가 대면 예배를 취소해야 하는 경우에도 디지털 기부는 자금 지원이 중단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4. 밀레니얼 세대는 헌금 접시를 돌리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Z세대는 그것을 싫어한다. 밀레니얼 세대는 다른 많은 사람들의 손이 만지는 헌금 접시를 만지는 것을 불편해 한다. Z세대는 이를 완전히 피할 것이다.


5. 헌금 접시의 사라진 것은 교회가 예배의 모든 측면을 다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헌금 접시가 사라진 것이 교회 예배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일 수 있지만, 예배의 다른 요소나 측면에 대해 진지한 질문을 해보는 것은 교회 지도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예배의 어떤 순서는 항상 그렇게 해왔기 때문에 계속하고 있는가? 무엇을 바꿀 수 있을까? 타협할 수 없고 변경해서는 안 되는 우리의 행동은 무엇일까? 왜?


헌금 접시의 사라짐은 너무 빨리 일어났다. 머지않아 90퍼센트 이상의 미국 교회가 헌금 접시를 사용하지 못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변화는 심오하고 갑작스럽다. 다른 변화도 일어나고 있다. 예를 들어, 예배에서 “서서 인사”하는 시간도 거의 사라졌다.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93건 44 페이지
  • 6f88e3a7fc65d25d4a5c44c82f3f38c8_1678825008_4069.jpg
    설교가 짧아야 하는 3가지 이유...설교 목표는 정보 전달이 아니라 삶의 변화
    KCMUSA | 2023-03-14
    (사진: ChurchLeaders) 설교자들 사이에서 설교 길이는 늘 고민되는 주제이다.많은 설교자들이 설교를 약 30분으로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성경 구절에 대해 말해야 하는 모든 것을 45분에서 1시간 이내로는 결코 말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
  • 기독교인의 절반 이상 "때때로 자신의 믿음을 의심한다"
    KCMUSA | 2023-03-10
    저명한 복음주의 연구기관인 바르나 그룹(Barna Group)의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기독교인의 절반 이상이 자신의 믿음에 대해 때때로 의심을 느낀다고 말한다."의심과 믿음: 사람들이 기독교에 의문을 제기하는 주요 이유(Doubt & Faith: Top Re…
  • fbb4110357c0db461c66ff6c7a11de85_1678474289_6858.jpg
    [AR] 알칸사 주에서 가장 큰 UMC 교회 3개로 나뉜다
    KCMUSA | 2023-03-10
    2023년 2월 아칸소 주 페이엣빌중앙연합감리교회에서 예배가 열리고 있다 (스크린샷: YouTube/CentraltoLife Fayetteville) 아칸소주에서 가장 큰 연합감리교회인 것으로 알려진 한 교회가 동성애에 대한 교단의 오랜 논쟁으로 인해 세 개 교회로 나…
  • fbb4110357c0db461c66ff6c7a11de85_1678472406_0853.jpg
    라이프웨이 리서치가 분석한 오늘날의 교회성장 요인은?
    KCMUSA | 2023-03-10
    활동적인 소그룹, 집중적인 전도, 새신자의 교회정착' COVID-19 전염병의 여파로 교회가 사역을 계속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소그룹을 성장시키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그러나 교회는 계속해서 그리스도에 대한 새로운 헌신자들과 그들의 변화된 삶에 대해서 보…
  • 40cc9ddde3a4195612f8fbbc225b1567_1678402331_9788.jpg
    힐송교회에 고액 사례비 받은 호지스 목사, 메이어, 제이크스 감독 거론
    KCMUSA | 2023-03-09
    힐송교회 지도자들 돈세탁, 탈세, 고가품 쇼핑에 교회 돈 사용 등 혐의로 기소교회 대변인, "호주 의회의원 앤드류 윌키의 주장 '맥락에서 벗어나'"왼쪽부터 호주 시드니의 브라이언 휴스턴 힐송교회 목사 (사진: Catalyst), 하이랜드교회의 크리스 호지스 목사 (사…
  • 40cc9ddde3a4195612f8fbbc225b1567_1678388628_5462.jpg
    [VA] "하나님이 Z세대를 자신에게로 이끄셨다" 애즈베리에 이어 버지니아 주 리젠트대학에서도
    KCMUSA | 2023-03-09
    2023년 봄 방학 동안 버지니아주 리젠트대학 캠퍼스에서 학생들이 부흥집회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 Regent University Campus Ministries) 많은 학생들이 봄 방학 동안 휴가를 보내는 동안 버지니아의 리젠트대학교(Regent Universit…
  • YWAM 설립자 로렌 커닝햄 암 4기 진단
    KCMUSA | 2023-03-08
    폐, 뼈, 림프 등 전이, 그를 위해 기도 요청 YWAM(Youth with a Mission) 공동 창립자이자 YWAM의 열방대학 국제총장인 로렌 커닝햄(Loren Cunningham)이 4기 암 진단을 받았다고 밝혔다.크리스천 헤드라인 뉴스는 3월 7일자 기사에서…
  • 40cc9ddde3a4195612f8fbbc225b1567_1678304013_8499.jpg
    석정희 시인, 한국에서 2개 시부문 대상 수상
    크리스천 위클리 | 2023-03-08
    ‘한국을 빛낸 사람들’ ‘쉴만한 물가 작가선교회’서 대상 석정희 시인 LA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시인 석정희 씨가 ‘2023 K-STAR 한국을 빛낸 사람들’ 시부문 대상을 받았다.시상식은 지난 3월 4일(토) 오후 2시 서울 백범 김구 기념관 컨벤션 홀에서 열…
  • 40cc9ddde3a4195612f8fbbc225b1567_1678305764_1033.jpg
    [CA] ‘길 위에 길을 내다’ 편저자 이상명 박사
    크리스천 위클리 | 2023-03-07
    미주 한인 이민역사를 만든 16인의 삶의 기록 편저자 이상명 박사“인물 영웅화 목적이 아니라 역사를 이룬 삶의 기록 중점”미주 한인 이민역사 120주년, 미주 한인의 날 20주년을 맞아 미주한인재단LA(대표 이병만 장로)이 미주한인 이민역사를 만든 16인의 삶을 기록…
  • 00ce41f8086ca594c7a38df73c2aaaa5_1678154284_4878.jpg
    2023년 성금요일, 성주간의 유래와 역사, 그리고 그 의미
    KCMUSA | 2023-03-06
    (사진: Pixabay/congerdesign)성주간(Holy Week)이 다가옴에 따라 신앙인들은 이 축일 뒤에 숨겨진 이야기와 규범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올해는 4월 2일부터 성주간이 시작되며, 4월 9일 부활 주일까지 여러 축하와 희생, 헌금이 거행된다.성주간…
  • 교회 출석 감소와 절망사 증가는 정비례!
    미주크리스천신문 | 2023-03-06
    TGC, 미국 사회 종교 집회 참석률 감소와 절망사 증가에 관한 상관관계 미국에서는 종교 집회 참석률이 감소하는 동시에 절망사(Deaths of Despair)가 증가 추세이다. 이 두 트렌드는 서로 연결된 걸까? (Why Falling Religious Attend…
  • [사회] 허쉬초콜릿, 여성의 날 홍보광고에 트랜스젠더 출연 '논란'
    데일리굿뉴스 | 2023-03-06
    ▲허쉬(Hershey's) 초콜릿 캠페인에 출연한 트랜스젠더 페이 존스톤.(사진출처=유튜브 화면 캡처) [데일리굿뉴스]박애리 기자= 글로벌 초콜릿 브랜드 허쉬(Hershey’s)가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한 광고 캠페인에 트랜스젠더 남성을 등장시켜 논란이 되고 있다…
  • 애즈베리 부흥운동, 미래 사역위한 패러다임 제시
    미주크리스천신문 | 2023-03-06
    CT, 애즈베리 현장 직접 참가한 마이클 맥크몬드 교수 미국 교회가 나아간다 [마이클 맥클리몬드(Michael McClymond)는 세인트 루이스 대학의 현대 기독교 교수이다. 그는 "Encyclopedia of Religious Revivals in America"…
  • 아시안미션(AM) 튀르키예, 시리아 구호금 1억원 전달
    기독뉴스 | 2023-03-06
    ▶ 미션펀드와 공동모금으로 1억 5천 모금  아시안미션(AM, 대표 이상준 목사)이 2월 28일, 지난달 6일 발생한 튀르키예, 시리아 대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지역의 선교사들을 통해 총 9개 지역에 1차 구호금 1억원을 전달하였다.AM은 지진 발생 직후 AM선교 네트…
  • [사회] 3.1절 맞아 미의회 “한반도평화법안” 재발의
    뉴스M | 2023-03-06
    미하원의원 20명 법안 공동발의 대거 참여, 지지확산 기대감 높여 미연방하원 외교위원회 Brad Sherman 의원은 3월1일 워싱턴 DC 미연방의사당 House Triangle 에서 재 발의된 [한반도 평화 법안]에 대해 한국특파원들과 특별 기자회견을 가졌다.3.1…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