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릭 워렌 목사와 워렌 콜 스미스의 인터뷰(3)] 목적 중심의 교회는 인간 중심의 교회와 다르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릭 워렌 목사와 워렌 콜 스미스의 인터뷰(3)] 목적 중심의 교회는 인간 중심의 교회와 다르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릭 워렌 목사와 워렌 콜 스미스의 인터뷰(3)] 목적 중심의 교회는 인간 중심의 교회와 다르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KCMUSA| 작성일2023-02-08 | 조회조회수 : 1,034회

    본문

    ce56454f0e96e9cb7a408e499a74cbac_1675884780_7415.jpg
    릭 워렌 부부


    다음은 워렌 콜 스미스(Warren Cole Smith)가 릭 워렌과 가진 인터뷰를 요약한 내용 중 세 번째 번역문이다.


    스미스: 피터 드러커는 분명히 말하지 않았지만 종종 다음과 같이 말한 것으로 간주된다. "문화는 아침으로 전략을 먹는다." 그리고 당신도 그처럼 말하는 것으로 들린다.


    워렌: 물론이다. 여기서 우리가 말하는 것은 "사람들이 모여 있는 홀의 문화가 벽에 있는 비전을 능가한다(The culture in the hall beats the vision on the wall.)"이다. 그건 그렇고, 사람들은 피터 드러커가 독실한 기독교인이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그의 신앙이 아주 깊었다. 사실 한번은 내가 “피터 목사님, 언제 거듭났습니까?”라고 물었다.


    그는 “릭, 그것은 내가 마침내 은혜를 이해했을 때였다”라고 말씀하셨다. 나는 결코 더 나은 거래를 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웃음) 그래서 그의 100세 생일, 그가 세상을 떠난 후 많은 지도자들이 그를 축하하기 위해 모였다. 저는 그 행사의 오프닝 스피커였다.


    스미스: 나는 항상 그의 리더십과 경영 관련 서적을 존경했다. 그래서 그는 내게 매력적이다.


    워렌: 전환과 승계에 대해 드러커로부터 배운 것 중 하나는 당신의 뒤를 이을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시스템은 실제로 '사람'이 아니라 '승계'이다.


    인간 중심의 교회는 목적 중심의 교회와 다르다. 인격이 흔들리는 순간 교회는 죽는다. 예를 들어, 웨슬리의 후계자는 누구였나? 아무도 없었다. 그는 감리교라는 제도를 떠났다. 루터의 후계자는 누구였나? 아무도 없었다. 그는 루터교회라는 시스템을 떠났다. 칼빈의 후계자는 누구였나? 아무도 없었다. 그는 장로교라는 시스템을 떠났다.


    스미스: 릭, 당신은 꽤 강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나는 이 인터뷰를 듣고 있는 많은 사람이 아마 지금 이 생각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워렌: 당신이 그것을 물어봐서 기쁘다. 왜냐하면 나는 그것을 부인할 것이기 때문이다.


    당신이 하고 싶은 것은, 당신이 떠났을 때 슬퍼는 하지만 그리워하지 않는 교회를 세우는 것이다. 차이점을 설명하겠다. 사람들이 “오, 릭은 여기 없다. 그는 우리를 사랑했다. 우리는 그를 사랑했다. 여기 없는 릭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당신은 슬퍼하지만, 당신 없이도 운영할 수 있는 조직을 만들었기 때문에 그리워할 필요가 없다.


    나는 우리 교회를 내가 유지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수년에 걸쳐 여러 번 입증했다. 내가 "목적이 이끄는 삶"을 썼을 때, 나는 7개월 동안 떠나 있었다. 7개월간 안식년을 갖고, 새벽 4시 30분쯤 일어나 글을 쓰는 곳으로 갔다. 저녁 5시까지 글을 쓰고 집에 와서 저녁을 먹고 아이들과 놀고 8시쯤 잠자리에 들었다. 그 7개월 동안 나는 부활절 외에는 설교를 한 번도 하지 않았다. 나는 단 한 번의 직원 회의도 열지 않았다. 내가 없는 동안 교회는 800명의 새로운 회원을 추가했다.


    나는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 데에만 필요했다. 이제 앤디는 유지 관리할 필요가 없다. 다음 단계로 나아가려면 그가 필요하다. 우리는 101, 201, 301, 401-멤버쉽반, 성숙반, 사역반, 선교반의 반 체계를 세웠다. 이 수업은 내가 여기 있든 없든 매달 진행된다.


    내가 거기에 있다는 것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다. 내가 목회한 해에 나는 주말에 28번 이상 설교한 적이 없다. 나는 그것을 원하지 않았다. 나는 우리 교인들이 다른 사람들로부터 하나님의 말씀을 듣기를 원했다.


    내가 1년 동안 아팠던 때를 예로 들 수 있다. 케이가 암에 걸린 해, 나는 그녀가 토하고 머리카락이 빠지는 동안 그녀 옆에 있었고, 거의 일하지 않았다.


    교회는 매년 꾸준히 성장했다. 우리가 밤에, 당신이 자고 있을 때, 그리고 매달, 매주 계속되는 시스템을 구축했기 때문이다. 리더십이 필요하지만 유지 관리는 아니다. 솔직히 새들백은 목회자 없이 몇 년을 갈 수 있었고 계속 유지될 것이다. 그러나 그런 경우 교회는 성장하지 않을 것이다. 성장할 수 있도록 리더가 필요한다.


    스미스: 릭, 당신과 나 사이에 동의하지 않은 점이 있다는 기록을 남기자. 이 대화를 시작한 지 20분이 지났으며 당신이 후계자를 찾을 때 가지고 있었던 11가지 원칙 중 두 가지만 다루었다.


    워렌: 이양과 승계의 가장 큰 함정은 전직 목사가 버티고 있다는 것이다. 그의 마음 속에 있다. 교회가 아닌 정체성을 가져야 한다. 당신의 정체성이 당신의 교회라면, 당신이 당신의 교회를 내려놓는 순간 당신은 누구인가? 당신을 소유한 존재가 아니라 당신이 누구인지 알아야 한다. 내 정체성이 우리 교회 자체인 적은 없다. 나는 항상 그리스도 안에서 나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내 목록의 원칙 다섯 번째는 매주 사직을 생각한다는 것이다. 지난 43년 동안 매주 토요일 밤과 매주 주일 아침에 드린 기도가 있다. 당신도 알다시피, 프로 운동선수들은 게임 데이 의식을 치른다. 그들은 게임에 대한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같은 일을 한다. 그리고 나는 게임 데이 의식과 같이 기도를 했다. 그것은 나를 하인이 되겠다는 마음에 두었다. 그리고 나는 내가 종이라는 사실을 스스로에게 상기시키고 단순히 설교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 안뜰에 서서 사람들의 필요와 상처와 관심을 일대일로 다루기 위해 준비해야 한다.


    그래서 나는 매주 차를 몰고 교회로 가는 고속도로에서 여러 가지 기도를 한다. 그리고 이렇게 기도한다. “내 교회가 아닙니다. 당신의 교회입니다. 그것은 당신의 것입니다. 내 것이 아닙니다. 당신은 나를 이용하여 이 교회를 시작했지만 그것은 내 교회가 아닙니다. 그것은 당신의 것이고 나는 당신의 것입니다. 즉, 당신은 언제든지 나를 그만두게 할 권리가 있습니다.”


    “나는 이곳에 40년을 있겠다고 했지만 어느 시점에서든 물러날 의향이 있습니다. 누구든지 그 일을 하고 싶은 사람이 있다면, 그 일을 더 잘할 수 있다면 기꺼이 포기하겠습니다.”


    나는 40년 동안 매주 토요일과 주일에 이것을 해왔다. 내가 통제할 수 없다는 표시이다. "나는 당신의 것이고 당신은 나를 움직일 권리가 있다"고 고백하는 것이다.


    스미스: 그럼 당신이 새들백교회에서의 임무를 완수하는 것이 당신이 지금부터 하려는 일의 일부분인가? 


    워렌: 사실 나는 앞으로의 10년을 약속한다. 나를 지켜보라.


    나는 지난 2년 동안 종교개혁 이후 거의 5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대위임령을 완성하기 위한 이전의 모든 시도를 이야기한 책들 중에서 읽을 수 있는 모든 것을 읽었다. 그리고 대위임령을 완성하려는 많은 시도가 있었다. 내 서재에는 대위임령에 관한 책만 200권이 넘게 있고, 모두 읽었다.


    그리고 내가 발견한 것은 대위임령을 완성하기 위한 이전의 모든 시도는 지금까지 교회의 전체 회중들이 모두 감당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전도운동은 개별 선교기관이 이끄는 경향이 있었고 결코 교회 전체는 아니었다. 교회의 리더십은 종종 백인 서부 남성의 작은 그룹이었다.


    그것은 교회를 대표하지 않는다. 첫째, 교회의 절반은 여성이고 백인 남성은 전 세계 교회에서 소수이다. 우리는 모든 은사를 사용하는 온 교회가 필요한다. 우리 모두가 필요한다.


    이제 이것을 관점에서 살펴보겠다. 세계에는 6억 명의 불교도, 약 9억 명의 힌두교도, 약 15억 명의 무슬림이 있다. 유대인은 1,400만 명에 불과하다. 그 숫자의 10배가 되어야 한다. 1억 4천만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홀로코스트에서 다섯 세대가 죽임을 당했다. 따라서 전 세계에 유대인은 1400만 명에 불과하다.


    그러나 세상에는 26억 명의 기독교인이 있다. 이 26억 기독교인들에게 “당신은 삼위일체, 성부, 성자, 성령을 믿습니까?”라고 말한다면? "예!", “당신은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임을 믿습니까?” "예!", “그가 당신의 죄를 위해 십자가에서 죽으셨다고 믿습니까?” "예!", “당신은 그가 부활절에 다시 살아났다고 믿습니까?” "예!", "그가 천국으로 돌아갔다고 믿습니까?" "예!", "당신은 그분이 우리에게 지상명령을 주었다고 믿습니까?" "예!", "언젠가 그분이 돌아올 것이라고 믿습니까?" "예!", “그분이 교회를 시작하기 위해 성령을 보내셨다고 믿습니까?” "예!"라고 대답한다면, 그렇다면 우리는 같은 팀 소속이다. 


    우리는 세례, 주의 만찬, 마리아, 그리고 다른 많은 것들에 대해 동의하지 않을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무슬림이 아니다. 


    그들 중 다수는 문화적으로 기독교인이다. 우리는 그들이 재복음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안다. 그러나 26억, 즉 이 지구상의 3명 중 1명은 이미 예수님이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믿고 내 죄를 위해 십자가에서 죽으셨다가 다시 살아나셨다고 믿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것은 교회가 중국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회는 중국과 인도를 합친 것보다 더 크다. 교회는 중국, 미국, 유럽보다 크다. 우리는 지구상에서 가장 큰 그룹이다.


    하나님의 교회보다 더 큰 것은 없다. 그래서 우리는 전체 교회를 동원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기독교인으로 추정되는 모든 사람이 실제로 믿음을 전하도록 훈련받았다면, 모든 사람이 다른 두 사람에게만 전도해도 모두가 복음을 들을 수 있다.


    그리스도는 A.D. 33년에 십자가에서 죽고, A.D. 33년에 부활하셨다. 그리스도는 A.D. 33년에 우리에게 대위임령을 주셨고, A.D. 33년에 교회를 시작하기 위해 그의 성령을 보내셨다. 즉, 10년 후인 2033년은 대위임령이 나온 지 2,000년이 되는 해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을 기념하는 2,000주년이다. 나는 2,000주년을 기리기 위해서 지금까지 1,600개 교단, 선교단체, 교회를 모집했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가 2033년까지 도달하게 될 사역의 일부에 불과하다. 우리는 A.D. 2033년까지 모든 부족과 사람들이 번역된 성경을 갖기를 원한다.


    우리는 또한 모든 신자들이 다음 10년 동안 다른 사람과 믿음을 나누도록 훈련하기를 원한다. 그것은 엄청날 것이다. 그것은 우리가 함께 일하는 데 익숙하지 않은 부족까지도 포함하는 전체 교회를 참여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을 다른 관점에서 살펴보자. 부활과 삼위일체와 성령을 믿는 26억 명 중 10억 명이 가톨릭이고, 3억 명이 동방정교회, 5억 명이 오순절, 8억 명이 복음주의 또는 개신교도이다. 그렇다면 온 교회가 함께 일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리는 결코 구조적 통일성을 갖지 못할 것이다. 나는 그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나는 교리적 일치에 대해서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나는 선교적 연합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요한복음 17장 에나오는 예수님의 기도는 “저희가 하나가 되게 하여 주옵소서”이다. 왜? "세상이 알 수 있도록." 화합의 목적은 시스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연합의 목적은 교리를 위한 것이 아니다. 연합의 목적은 세계가 말씀 안에서 하나가 될 것이라는 사실을 세상이 알게 하는 것이다. 


    우리가 하나가 되어 복음을 전파할 때, 그것이 우리가 가진 과제를 완성하는 일이다. 우리는 모든 기존 교회가 다음 10년 동안 교회를 개척하거나, 다른 교회를 후원하기를 원한다. 우리는 10년 안에 세상의 모든 신자들이 접근할 수 있는 교회를 원한다. 그래서 그것은 우리가 배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회가 성숙할 때라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어린 소녀는 번식 능력을 갖게 되면 여성이 된다. 어린 소년은 번식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면 어른이 된다. 나는 교회가 얼마나 교리적인지 상관하지 않는다. 그들이 번식하지 않는다면 그들은 성숙하지 않은 것이다. 성숙한 교회의 특징은 재생산이다. 건강한 교회의 표지이다. 건강한 사과나무의 표시는 더 많은 사과이다. 그래서 우리는 그것에 집중할 것이다. <계속>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52건 42 페이지
    • [사회] 허쉬초콜릿, 여성의 날 홍보광고에 트랜스젠더 출연 '논란'
      데일리굿뉴스 | 2023-03-06
      ▲허쉬(Hershey's) 초콜릿 캠페인에 출연한 트랜스젠더 페이 존스톤.(사진출처=유튜브 화면 캡처) [데일리굿뉴스]박애리 기자= 글로벌 초콜릿 브랜드 허쉬(Hershey’s)가 '세계 여성의 날'을 기념한 광고 캠페인에 트랜스젠더 남성을 등장시켜 논란이 되고 있다…
    • 애즈베리 부흥운동, 미래 사역위한 패러다임 제시
      미주크리스천신문 | 2023-03-06
      CT, 애즈베리 현장 직접 참가한 마이클 맥크몬드 교수 미국 교회가 나아간다 [마이클 맥클리몬드(Michael McClymond)는 세인트 루이스 대학의 현대 기독교 교수이다. 그는 "Encyclopedia of Religious Revivals in America"…
    • 아시안미션(AM) 튀르키예, 시리아 구호금 1억원 전달
      기독뉴스 | 2023-03-06
      ▶ 미션펀드와 공동모금으로 1억 5천 모금  아시안미션(AM, 대표 이상준 목사)이 2월 28일, 지난달 6일 발생한 튀르키예, 시리아 대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지역의 선교사들을 통해 총 9개 지역에 1차 구호금 1억원을 전달하였다.AM은 지진 발생 직후 AM선교 네트…
    • [사회] 3.1절 맞아 미의회 “한반도평화법안” 재발의
      뉴스M | 2023-03-06
      미하원의원 20명 법안 공동발의 대거 참여, 지지확산 기대감 높여 미연방하원 외교위원회 Brad Sherman 의원은 3월1일 워싱턴 DC 미연방의사당 House Triangle 에서 재 발의된 [한반도 평화 법안]에 대해 한국특파원들과 특별 기자회견을 가졌다.3.1…
    • f3d4b51013ebe1123e24a9c4f83f84f2_1677718614_6965.jpg
      ChatGPT, 의식, 그리고 인간의 마음(ChatGPT, Consciousness, and Human Mind)
      KCMUSA | 2023-03-01
      (사진: ChurchLeaders) 1950년에 영국의 수학자, 컴퓨터 과학자, 암호 해독가인 앨런 튜링(Alan Turing)은 기계가 생각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를 만들었다. 컴퓨터와 인간은 인간 질문자에게 서면 응답을 보낸다. 튜링은 컴퓨터의 응답이 실…
    • 교회의 해로운 문화를 보여주는 6가지 징후
      KCMUSA | 2023-03-01
      (사진: ChurchLeaders) 모든 교회에는 문화가 있다. 그러나 당신의 교회가 가지고 있는 문화가 독이 있는 것인지, 아닌지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더 중요한 것은 리더로서 내가 해로운 교회 문화를 만들고 있는 것은 아닌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이 글을 쓴 …
    • f3d4b51013ebe1123e24a9c4f83f84f2_1677711606_8662.jpg
      오늘날의 교회에 필요한 5가지 새로운 직책
      KCMUSA | 2023-03-01
      (사진: ChurchLeaders)오랫동안 교회의 직원 배치는 교회에 필요한 직원 수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미국교회의 경우 회중의 100-150명 당 한 명의 목사를 두고 있다고 한다. 직원 규모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은 총 수익 대비 인건비 비율을 고려하는 것이다…
    • ed3c2915ef496dddc58a01dd976f7f30_1677711460_2688.jpg
      [CA] 미주밀알선교단 신임이사장에 이영선 목사, 부이사장에 권 준 목사
      KCMUSA | 2023-03-01
      밀알 선교단 신임 이사장에 선출된 이영선 목사(중앙), 권 준 부이사장(왼쪽에서 두번째)이 신임임원들과 함께 기념촬영하고 있다미주밀알선교단이 2023년 새로 구성된 총단 위원회와 함께 미주밀알이사회의 이사장과 부이사장을 발표했다. 지난 2월 23일(목), 미주복음방송국…
    • [KT] 류응렬목사 에즈베리 부흥 현장 방문
      기독뉴스 | 2023-03-01
       (사진: 유튜브 캡쳐) 와싱톤중앙장로교회 담임 류응렬목사가 지난 2월8일에 일어난 에즈베리 부흥 현장을 방문하고 그 소감을 유튜브를 통해 밝혔다.류목사는 “나는 미국 캔터키 윌모어라는 인구 6천명의 도시에 있는 애즈베리 대학교에서 일어나고 있는 놀라운 부흥의 역사,…
    • 당신의 교회에 브리스길라가 있는가?
      KCMUSA | 2023-02-28
      (사진: ChurchLeaders) 목회를 시작하려고 준비할 때 신학교나 주위의 남자 목회자들은 그들에게 충실한 남자들과 함께하는 사역의 중요성에 대해 자주 이야기한다. 그리고 그들이 교회 안에서 미래의 지도자를 식별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신학교는 그들에게 설교하는 …
    • 40c6af233889fac7c10b73ba14e25a14_1677621202_6235.jpg
      텍사스 메가처치 올해 투표에서 압도적인 찬성 나와 UMC 떠난다
      KCMUSA | 2023-02-28
      텍사스 플라노의 세인트앤드류연합감리교회 (사진: St. Andrew) 지난 해 교인 투표 없이 연합감리교회를 떠나려 했던 텍사스의 한 대형교회가 최근 투표를 실시, 교인들이 압도적인 숫자로 탈퇴에 찬성했다.택사스 플라노의 세인트앤드류감리교회는 2월 넷째주 회중 투표를 …
    • cdc1eede7f6733e9da07064d62ca9610_1677540636_9455.jpg
      헌금 접시가 사라지는 것이 교회에 주는 중요한 의미 5가지
      KCMUSA | 2023-02-27
      (사진: ChurchLeaders) 헌금 접시가 사라지고 있다.Church Answers는 회원들에게 그들의 교회가 여전히 헌금 접시를 돌리는지를 묻는 간단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결과는 명확했다. 열 교회 중 일곱 교회는 더 이상 헌금 접시를 돌리지 않는다.Chu…
    • 애즈배리 부흥운동 텍사스와 인디애나, 루이지애나 대학으로 점점 확산
      KCMUSA | 2023-02-27
      '종교가 아니다. 바로 예수님을 만나는 것이다' 텍사스 A&M 대학의 한 학생이 공공 분수대에서 세례를 받고 있다. ( 사진: Michael N Bonnie Fehlauer/Facebook 스크린샷)애즈베리대학(Asbury University)에서 시작된 성령…
    • 건강한 그리스도인은 주저하지 않는다
      KCMUSA | 2023-02-27
      (사진: ChurchLeaders)때때로 우리는 주저하지만 하나님은 우리가 계속 움직이기를 요구하신다. 잠시 자신에게 솔직해보라.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았지만 머뭇거렸던 적은 없었는가? 아마도 그것은 하나님께서 당신에게 하라고 하신 일이었지만, 당신은 그것을 …
    • 8c299c686634a82ee49475b4eb6909d1_1677522145_6894.jpg
      [속보] 영 김 전광훈 관계, 미국 로비 업체와 거액 계약으로 새로운 국면
      뉴스M | 2023-02-27
      영 김 하원의원에게 한반도 평화법안을 막아 달라고 부탁했다는 전광훈의 주장에 영 김 의원이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반박한 보도가 이어지는 가운데 전광훈측이 이미 지난해 10월 24일 미국 워싱턴DC 소재 프라임 정책그룹(Prime Policy Group)과 컨설팅 계약…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