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기독교인 교회가 상담과 돌봄 제공해야 한다고 믿지만 목회자들은 동의하지 않아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대부분의 기독교인 교회가 상담과 돌봄 제공해야 한다고 믿지만 목회자들은 동의하지 않아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대부분의 기독교인 교회가 상담과 돌봄 제공해야 한다고 믿지만 목회자들은 동의하지 않아

    페이지 정보

    작성자 KCMUSA| 작성일2023-06-01 | 조회조회수 : 885회

    본문

    바나 그룹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기독교인의 절반 이상과 일반 인구의 거의 50%가 교회가 지역 사회에 돌봄과 상담을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대부분의 목회자들은 동의하지 않는다.


    2015년, 2020년, 2022년에 수집된 데이터 분석에서 바나 연구원은 목회자, 기독교인, 비기독교인 및 일반 성인들이 오늘날 사회에서 교회의 역할을 어떻게 보는지 측정했다.


    목회자의 31%, 비기독교인의 38%, 미국 성인의 48%만이 일반적으로 교회가 지역 사회에서 상담과 돌봄을 제공해야 한다고 믿는 반면, 기독교인의 절반 이상(52%)은 교회가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목회자에 대한 연구는 2022년 9월 6일부터 16일까지 미국 개신교 담임목사들과의 온라인 인터뷰 585건에서 수집되었다.


    목회자의 대다수는 지역 사회에서 자신의 주요 역할이 다른 사람들에게 예수님에 대해 이야기하고(84%), 기독교인의 성장을 돕고(75%),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실질적으로 돕고(64%),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것(57%), 아이들을 가르치거나 섬기고(55%), 노인과 과부를 돌보는 것(52%)이라고 믿고 있다. 


    교회가 지역 사회에 상담과 보살핌을 제공해야 하는지 여부를 포함한 여러 데이터 포인트에서 목회자, 기독교인, 비기독교인 및 일반 미국 성인 인구가 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을 보는 방식 사이에 분명한 단절이 있었다.


    목회자와 비교할 때, 기독교인들은 노인과 과부를 돌보고(38%), 어린이를 가르치거나 섬기는 것(46%),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실질적으로 돕는 것(46%)보다 교회에서 상담과 돌봄을 제공하는 것을 더 우선시한다.


    "분명히 이것은 목회자가 회중에게 원하는 것, 회중이 목회자에게 원하는 것, 이웃이 지역 교회에 원하는 것 이상이다. '교회'는 많은 사람들에게 광범위한 개념이며, 이것이 수반하는 모든 기대, 지도자들은 사람들이 교회에서 원하는 것과 목회자들이 제공해야 한다고 믿는 것 사이의 눈에 띄는 차이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fae89f32fbc32701bb3caffda8e8c5b0_1685656310_2493.jpeg
    이 시리즈는 목회자, 기독교인 및 비기독교인이 교회가 지역 사회에 어떻게 나타나야 한다고 말하는지 탐구했다.


    이번 발견은 크리스천 포스트가 보고한 이전 연구에서 많은 교회가 정신 건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사회 구성원을 섬기는 데 얼마나 장비가 부족한지를 보여준다. 


    팬데믹이 한창일 때 바나와 연구 파트너인 페퍼다인대학의 분 가족센터(Boone Center for the Family)는 미국 성인의 58%와 기독교인의 54%가 가장 중요한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적어도 하나의 관계적, 정서적 또는 정신적 건강 문제가 있다고 보고했다. 이러한 발견은 "관계 회복: 교회가 사람들의 치유와 발전을 도울 수 있는 방법(Restoring Relationships: How Churches Can Help People Heal & Development Healthy Connections)"이라는 보고서에서 강조됐다.


    분 센터(Boone Center) 디렉터 샤론 하그레이브(Sharon Hargrave)는 인터뷰에서 바나그룹 대표 데이비드 키나만(David Kinnaman)에게 "나는 항상 교회가 사람들이 불안이나 우울증과 같은 문제에 대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훌륭한 자원이라고 믿어 왔다. 정신건강 관리 문제와 교회 사람들은 영적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우리는 여기에서 많은 기회를 놓쳤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나는 교회가 관계 및 정신건강 문제를 돕기에 매우 적합하다고 생각하며 분 가족센터의 프로그램은 교회와 정신건강 관리 종사자가 함께 일할 수 있는 방식으로 신학과 심리학을 엮도록 특별히 설계되었다."


    바나 연구자들은 그들이 COVID-19 대유행을 이겨내면서 목회자 10명 중 3명(30%)만이 정신적, 정서적 문제를 통해 교인들을 도울 수 있는 준비를 "매우 잘 갖추고 있다"고 느꼈다고 보고했다.


    예를 들어, 2021년에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미국장로교 목회자 설문조사에서 조사 대상 목회자 4,507명 중 44%가 "정신건강 문제를 인식하거나 어려움에 처한 개인과 가족을 사역하는 방법에 대한 훈련을 받지 못했다"고 보고했다


    많은 목회자들이 정신건강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때로는 너무 고립되어 자살하기도 한다.


    2018년 CNN 진행자 앤서니 부르댕(Anthony Bourdain)과 상징적인 패션 디자이너 케이트 스페이드(Kate Spade)의 세간의 이목을 끄는 자살에 대해 애틀랜타의 Embassy Church International을 이끄는 자살 생존자인 사도 브라이언 메도우스(Apostle Bryan Meadows)는 추종자들에게 목회자를 치료사처럼 대하지 말고, 자신의 정신건강을 돌보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메도우스는 "목사와 치료사가 모두 필요하다! 귀하의 목사는 귀하의 치료사가 아니며 귀하의 치료사는 귀하의 목사가 아니다"라며, "당신의 삶이 강렬한 자극, 감정, 경험을 처리하는 데 소비될 때 정서적 및 심리적 변비를 해결해야 한다. 다른 사람들을 행복하고 영감을 주기 위해 지속적으로 살아갈 때, 그것이 당신의 정서적 및 정신적 건강에 어떤 피해를 주는지 이해해야 한다"라고 썼다. 


    Health.com에서 인용한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에서 "소셜 미디어의 증가, COVID-19 팬데믹, 더 작은 가족 단위와 더 적은 지역사회 참여로 이어진 사회적 추세로 인해" 정신 질환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의 약 20%가 어떤 형태로든 정신 질환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이는 5천만 명 이상에 해당한다.


    미국의 정신 건강국(Mental Health in America)은 정신 질환이 있는 성인의 약 54.7%가 치료를 받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3월에는 약 45년의 목회 경험을 가진, 뉴욕시의 40,000명이 모이는 교회를 이끌고 있는 버나드(A.R. Bernard)는 이 주제에 대한 종교간 회의에서 최적의 정신건강을 위한 몇 가지 모범 사례를 공유했다. 그는 일부 사람들이 여전히 상담과 치료를 위해 교회나 신앙 지도자를 찾는 이유는 사회에서 정신건강 전문가에게 치료를 받는 경우 정신건강을 둘러싼 낙인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9/11이 닥쳤을 때 나는 성직자 모임을 소집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그들은 의사나 응급구조요원 등 초기 대응자들이 매일 처리하고 있는 일로 인해 충격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그들 역시 의료 또는 정신건강 전문가를 만나고 싶어하지 않았다"라고 버나드는 회상했다.


    "그들은 그들의 이맘, 목사, 사제, 랍비를 만나고 싶어했다. 그들이 성직자를 만나고 싶어했던 이유 중 하나는 정신과 관련된 오명 때문이었다"며, "오명을 제거해 준 밀레니엄 세대에게 감사한다. 이제 '치료사를 만나러 가겠다' 또는 '저번에 치료사가 나에게 말했다'라고 말한다고 해서 이제는 사람들이 당신을 이상한 눈으로 쳐다보지 않게 되었다. 우리는 먼 길을 지나왔다"고 설명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58건 29 페이지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