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이드 사건을 보며...선을 행하지 않는 죄"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플로이드 사건을 보며...선을 행하지 않는 죄"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플로이드 사건을 보며...선을 행하지 않는 죄"

페이지 정보

작성자 뉴스M| 작성일2020-06-09 | 조회조회수 : 2,666회

본문

[조지 플로이드 사태 한인 교계 반응 2] 엘에이 선한 청지기교회 송병주 목사 기고

22979_42350_3114.jpg
시민들이 조지 플로이드가 사망한 길거리에 벽화와 화환을 두고 애도하고 있다. (사진=작가 Munshots)

트라우마가 트라우마를 만날 때

조지 플로이드가 경찰의 가혹행위로 억울한 죽임을 당하고 미국 전역에 저항이 불꽃처럼 일어났습니다. 한인 1세대들과 대화를 나누어 봐도 이것은 살인이고 있을 수 없는 일로 여깁니다. 하지만, 이런 잘못을 바로잡는 일과 protest가 시작되는 일은 거리를 두고 마음이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1992년의 폭동의 쓴 뿌리가 그 속에 깊게 배여 있기 때문입니다.

베버리힐스를 지키기 위해 포기한 곳, 아니 베버리힐즈를 지키기 위해 백인들에게 이용당한 곳이 된 상처가 있습니다. 흑인들이 백인들에게 풀지 못한 분노를 쏟아 놓은 곳이 된 상처가 있습니다. 모든 것을 잃어버렸던 가슴에 할킨 설움과 두려움으로 몸을 떨었던 기억은 머리보다 몸의 기억으로 남아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같은 상황에서도 흑인들의 트라우마와 한국인들의 트라우마가 충돌하는 것을 봅니다. 그래서, 거대담론적 인종차별에 대한 동일한 인식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몸이 기억하는 트라우마가 마음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지금은 흑인의 트라우마와 한인의 트라우마가 부딪히는 자리를 트라우마와 트라우마가 만나는 자리로 바꾸어 가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깊은 상처가 부딪히면 더 큰 고통을 만들어 내기도 하지만, 그 깊은 상처가 함께 만나면 더 큰 회복을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인들의 깊게 박힌 트라우마를 내러티브로 나누기 시작하고, 그 트라우마가 예수의 스티그마(흔적)가 되게 해야 합니다.

새로운 내러티브를 시작할 때

오랫동안 우리의 내러티브에는 미움과 혐오의 이야기가 많았습니다. 이제는 나쁜 흑인보다 더 많은 좋은 흑인을 말하고, 나쁜 흑인보다 아픈 흑인을 말하며, 함께 이야기하고 치유하는 다른 이야기가 시작되어야 합니다. 트라우마를 스티그마로 바꾸어가는 1.5세 사역자의 눈물을 봅니다.

“제 마음에 여전히 엄마에게도 말 못 하고 울었던 상처가 있습니다. 학교 가기 정말 힘들었습니다. 불타버린 코리아타운을 보고 억울하고 분노로 울었던 상처가 있습니다. 겨누어진 총구에 서늘했던 몸서리를 잊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인종차별의 큰 그림을 알지만, 속내는 두려움과 미움이었습니다.

하지만, 요즘 그런 생각이 들어요. 얼마나 그들도 힘들었을까… 내 상처가 더 크게 느껴지는 게 사람인지라, 머리로 알지만 헤아리기 참 어렵더군요. 그래서 흑인의 죽음보다 약탈의 두려움에 더 분노했던 것 같아요. 그런데 이번에 George Floyd가 죽어가는 모습을 보고, 그 가족들을 위해 기도하며 참 미안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부터 바뀌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약탈의 근원적인 해결은 인종차별이 없어지는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또 다른 억울한 사람이 생기지 않도록 평화 시위를 촉구해야겠지만,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해 가야 한다 싶습니다. 그것이 내 트라우마를 이기는 길이라고 믿어요.”

미국 일리노이주와 미주리주에서 ‘서울 타코’란 이름의 아시안·멕시칸 퓨전 레스토랑을 운영하는 재미교포 데이비드 최 씨는 지난달 31일 저녁 식당이 약탈당한 사실과 자신의 생각을 담은 글을 페이스북에 올렸습니다. “내 식당의 모든 것들은 대체 가능하다. 하지만 흑인들의 생명은 대체할 수 없다.” 상처를 넘어가는 치유자의 새로운 내러티브가 트라우마를 스티그마로 바꾸어 가고 있습니다.

강요할 수 없는 것을 알기에

하지만, 이런 내러티브를 말할 때도 여전히 조심스럽습니다. 이 또한 강요할 수 있는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아름다운 미담이 아직 그 고통을 가진 사람에게 강요된 화해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No Justice No Peace!”가 외쳐지는 곳에 한 한인 어른이 “난 No Peace No Justice야!”를 말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그 속에 가득한 아픔을 훈수하듯 극복하라고 말하긴 쉽지 않았습니다.

공적 영역에서 폭력이 최후의 수단으로서 사회적 메시지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을 부정하지 않습니다. 이에 대해서도 견해 차이가 있지만, 그래도 최소 영역의 동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최후의 수단으로서 폭력이 사용되려면, "최후의 수단인가?"는 질문에 합의해야 합니다.

설사 최후의 수단으로 받아들여진다 할지라도 ”누구에게 사용할 것인가?"는 더 어렵습니다. 공적 대상이 아닌 무관한 일반인으로서 "왜 내가 그 대상이 되었는가?” 이를 받아들이기 어렵습니다. 한인 자영업 미국 전역에서 100여 곳이 약탈의 고통을 당한 지금, 트라우마를 스티그마가 되게 하라고 훈수하듯 강요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부탁하고 싶습니다. 평화로운 시위를 부탁합니다. 우리는 시위대와 약탈자가 다르다는 것을 알고 있고 평화 시위가 정착되고 있음을 봅니다. 억울한 소수자가 생기지 않도록 최선을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공권력은 평화적인 시위를 막는 데 노력하지 말고 약탈을 막는데 수고해주십시오. 지금 공권력은 반대로 가고 있습니다. 약탈을 막고, 오히려 수정헌법 1조가 지켜지도록 평화 시위를 보장하고 지켜주십시오. 약탈은 방조하고 평화 시위는 자극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안 됩니다.

그리고 우리는 시위자와 약탈자를 구별해야 합니다. 틈타는 약탈자들로 인해 또 다른 왜곡이 일어나면 안 됩니다. 이제 정말 끝내야 할 일을 다시 미루지 않게 해야 합니다. 가족들과 친구들을 위해 맛있는 고기를 준비해 두면, 사랑하는 가족들만 모이는 게 아니라 파리도 끓는 법입니다. 그렇다고 그 고기를 준비한 것을 탓할 수 없고, 그 고기에 파리약을 뿌릴 수는 없습니다.

다만, 한이 한을 낳고 상처가 또 다른 상처를 낳는 자리에, 누군가 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는 ‘억울한 결단’을 해야 한다고 부탁하고 싶습니다. 억울한 결단이 필요합니다. 그것은 우리의 다음 세대를 위해서입니다. 부모의 트라우마가 대물림되게 하지 말고 아이들에게 인종차별 없는 세상을 대물림하기 위해서 전환점을 만들어야 합니다.

선을 저지르지 않은 죄

약 4:17을 생각합니다. “사람이 선을 행할 줄 알고도 행하지 아니하면 죄니라” 야고보는 죄에 대한 다른 관점을 제공합니다. “범죄를 저질러서 죄인이 아니라 선을 저지르지 않아서 죄인이다”며 독특하게 도전합니다. “죄를 저질러서 죄인이 아니라, 선을 저지르지 않아서 죄인이 된다” 여기서 복음과 율법주의의 갈림길이 나옵니다.

우리는 the commission of crime 범죄 곧 미워하고 죽이고 왕따시키는 죄만 안 지으면 된다고 생각하는데, 주님은 sins of omission 아무것도 하지 않은 죄, 곧 사랑하고 용서하고 보호해주고 지켜 주지 않는 것을 죄로 여기십니다. 전자는 율법주의고, 후자는 복음의 원리입니다.

나는 저 배를 침몰시키지 않았다 생각하는데, 그 모든 부조리를 바로 잡는 일을 돕지 않는 죄를 묻고 계십니다. 강도 만난 이웃이 있는데 그냥 지나간 것이 죄로 여기십니다. 직장 동료가 성희롱하고 있는데 옆에서 내일 아니라고 모른 척한 것이 죄라는 말입니다. 나는 사람을 죽이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어떤 행동도 하지 않는 것이 죄라고 합니다.

악을 저지르지 않아서 괜찮다고 생각하는 우리에게 하나님은 “선을 저지르지 않은 죄”를 도전합니다. 마틴 루터 킹 목사님은 말했습니다. “사회적 전환기의 최대 비극은 악인들의 거친 아우성이 아니라, 선인들의 소름 끼치는 침묵이었다.”(History will have to record that the greatest tragedy of this period of social transition was not the strident clamor of the bad people, but the appalling silence of the good people.)

마틴 루터 킹 목사님이 링컨 기념관 앞에서 I have a dream을 외친지 반세기가 훌쩍 넘었습니다. 그가 “나에게 꿈이 있습니다”는 감동이 마음에 남아 있지만, “Mama! I can’t breathe” 하며 몰아쉬던 형제의 거친 숨이 제 호흡을 붙듭니다. 그가 마지막 부른 '엄마'로 인해 마음이 찢어집니다. 이제 선을 저지르지 않은 죄를 벗고 침묵의 폭력을 벗어야 합니다. 이럴 때 침묵은 또 다른 폭력입니다.

저도 꿈을 가져봅니다. 코리아타운 거리에서 폭동에 참여한 African American의 후예와 폭동의 피해자인 koran American의 후예가 함께 손을 맞잡고 어깨동무하며 걷는 모습을 보는 꿈 말입니다. 숨 막힐 것 같은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숨결이 긴 호흡으로 거리를 따라 바람처럼 흘러가길 소망합니다. 더 이상의 한숨은 그치고 함께 한숨을 결 따라 나누며 더불어 살아가는 날을 꿈꿉니다.


뉴스M=송병주 목사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95건 285 페이지
  • [CA] [현장 화보] 병력…대비…격려…
    미주중앙일보 | 2020-06-30
      주방위군 도심 진주전날 자정에 투입된 주방위군 트럭이 31일 다운타운으로 진입하고 있다. 주요 병력은 LA컨벤션 센터에 본부를 차린 것으로 알려졌다. 혹시나 몰라 대비LA한인타운 코리아타운플라자 몰 관계자들이 31일 오전 건물 외벽에 보호 합판을 설치…
  • 답변글 [CA] LA카운티 확진자 연일 1000명 이상
    미주중앙일보 | 2020-06-30
    30일 2000명 넘어 '최고치'보건국 "검사 결과 밀려서"경제 재개 정책 계속 시행 LA카운티내 코로나19 확진자가 일일 기준 2000명을 넘어서며 최고치를 기록했다.경제 재개 정책이 단계별로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오히려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 또 희생양 될까…한인들
    미주중앙일보 | 2020-06-30
    "폭력·약탈은 안돼"타인종 차별 관심을 조지 플로이드 사망 관련 시위가 폭력적으로 변하자 한인들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문민석 씨는 지난 1992년 4·29 폭동 당시 본지 기자로서 현장을 취재했었다. 당시 아내는 스왑밋에서 가게를 운영하다가 직접 피해를 입기…
  • “둘이 8000마리 잡았다” 오징어 컴백에 미소 번지는 동해안
    미주중앙일보 | 2020-06-14
    지난달 19일부터 현재까지 오징어 943t 잡혀지난해 같은 기간 212t 비교해 4배 이상 증가2만원하던 오징어 물회 1만5000원에 팔아“6월 들어 오징어가 옛날처럼 많이 잡혀 일할 맛 납니다. 오늘 둘이서 잡은 오징어만 8000마리가 넘어요.”강원도 속초에서 오징어…
  • “췌장암 투병 중입니다 하나님의 직접 개입으로 암이 사라지도록 중보기도 부탁드립니다”
    국민일보 | 2020-06-10
    팀 켈러 목사 SNS 통해 공개미국 팀 켈러(69·사진) 목사가 지난 7일(현지시간) SNS에 췌장암 투병 사실을 공개하고 중보기도를 부탁했다.켈러 목사는 “3주 전만 해도 암에 걸린 것을 알지 못했지만, 오늘 나는 국립의료원으로 간다”며 “다음 주 뉴욕에서 있을 췌장…
  • [CA] 8일에도 LA 곳곳서 평화 시위 재개
    미주중앙일보 | 2020-06-10
    다운타운 LAPD본부ㆍ롱비치ㆍ샌타애나 등 [영상=김상진 기자] 8일에도 남가주 곳곳에서 경찰의 폭력과 인권을 외치는 평화적 시위가 이어졌다. LA다운타운 LAPD 본부 앞에서는 오전11시부터 2시간동안 여성단체들의 연좌데모가 열린다. 리더인 말라 토…
  • [NY] 뉴욕장로교회도 1만불 보탰다
    미주중앙일보 | 2020-06-10
     퀸즈 롱아일랜드 시티 소재 뉴욕장로교회의 김학진 담임목사(오른쪽)가 1만달러를 뉴욕교협 양민석 회장에게 전달한 후 함께 서 있다. [사진 뉴욕교협]뉴욕교협 사랑의 캠페인 운동에중대형 교회 나눔 운동에 속속 동참“30여 개 미자립교회 렌트 지원할 터”대뉴욕지구한인교회협…
  • [CA] 저소득층 가정에 쌀·라면 등 제공
    미주중앙일보 | 2020-06-10
    갈보리 선교교회지난 4일 부에나파크의 갈보리 선교교회 주차장에서 이 교회 소망 회관계자들이 지나가는 차량 트렁크에 쌀과 라면 등 식품을 실어주고 있다. [갈보리 선교교회 제공]부에나파크의 갈보리 선교교회(담임목사 심상은) 산하 소망회(회장 김경용)는 지난 4일 교회 주…
  • 여름성경학교도 올해는 '온라인'으로
    미주중앙일보 | 2020-06-10
    예년 처럼 진행할 여건 못 돼한인교회들 "유례 없는 상황"더 많은 아이들 참여가 '장점'VBS 패러다임 변화 계기로올해는 아이들이 여름성경학교(VBS)를 집에서 하게 됐다. 예년과 달리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교회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사진은 은혜한인교회에서 진행됐던 VB…
  • [IL] “함께 이루는 정의와 평화”
    미주중앙일보 | 2020-06-10
    한인 교계 '플로이드 사건' 온라인 강연 및 토론회 [사진=제일연합감리교회 제공] 지난 7일(일) 오후 4시 시카고 한인 제일 연합감리교회(담임 김광태 목사)가 주최하고 북일리노이 연회(umc northern illinois)와 시카고 한인 교역자 협의회(회장 …
  • [CA] “세 달 렌트비 깎아준다더니 캠차지”
    미주중앙일보 koreadaily.com | 2020-06-10
    갤러리아몰 업주들 “6월엔 정상 가격 고지도” 몰 측 “정부지원 못받은 것 증명 땐 삭감 고려 임대료 삭감을 놓고 코리아타운 갤러리아몰 매니지먼트와 세입자 간 갈등이 이어지고 있다. 코리아타운 갤러리아몰 올림픽점 전경. [갤러리아몰 제공] 코리아타운 갤러리아 매니지…
  • 플로이드 영면, LA도 숙연
    미주중앙일보 | 2020-06-10
     경찰 폭력에 숨진 조지 플로이드의 추모식이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엄수된 가운데, LA에서는 다운타운 그랜드 파크 인근에서 추모행사가 열렸다. LA지역 종교지도자 50여명과 추모객 3,000여명이 모인 추모행사에는 조지 플로이드와 경찰의 총격으로 숨진 흑인들을 상징하는 …
  • 플로이드 영면, LA도 숙연
    미주중앙일보 | 2020-06-10
    경찰 폭력에 숨진 조지 플로이드의 추모식이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엄수된 가운데, LA에서는 다운타운 그랜드 파크 인근에서 추모행사가 열렸다. LA지역 종교지도자 50여명과 추모객 3,000여명이 모인 추모행사에는 조지 플로이드와 경찰의 총격으로 숨진 흑인들을 상징하…
  • [PA] “돈이 아닌 그리스도의 마음 나눈다”
    미주크리스천투데이 | 2020-06-09
    도네이션 소식을 들은 소방서와 응급 구조대 대장과 대원들은 직접 소방차와 구급차를 가지고 교회를 방문해 교회의 섬김과 사랑에 넘치는 감사를 표현했다.필라 안디옥교회, 미자립교회/지역사회/선교지에 후원금필라 안디옥교회(담임 호성기 목사)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 [PA] “돈이 아닌 그리스도의 마음 나눈다”
    미주크리스천신문 | 2020-06-09
    도네이션 소식을 들은 소방서와 응급 구조대 대장과 대원들은 직접 소방차와 구급차를 가지고 교회를 방문해 교회의 섬김과 사랑에 넘치는 감사를 표현했다. 필라 안디옥교회, 미자립교회/지역사회/선교지에 후원금 필라 안디옥교회(담임 호성기 목사)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