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인에게도 철학이 필요한가...내가 내 신학을 바꿀 권리?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기독교인에게도 철학이 필요한가...내가 내 신학을 바꿀 권리?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기독교인에게도 철학이 필요한가...내가 내 신학을 바꿀 권리?

페이지 정보

작성자 KCMUSA| 작성일2023-10-06 | 조회조회수 : 11,058회

본문

1f1c1ba5417fb5479e76947d2eb1c41d_1696626055_3839.jpg


보에티우스(Boethius, AD 480-524)는 로마의 마지막 황제이자, 중세기의 첫 황제라고 알려졌다. 고전 세계가 무너지고 야만주의가 뿌리를 내리자 그는 가능한 한 많은 고전적 전통을 보존하기 위해 노력했다. 


나무위키에 따르면 그는 고대 그리스 철학의 유산을 물려받은 철학자였지만, 동시에 독실한 기독교인으로서 생을 마감했다...고대철학과 중세철학 사이의 중개자 중 한 명으로 인식됐으며, 그의 글 "철학의 위안"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철학적 아이디어에 접근할 수 있게 됐다. 그는 이전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을 라틴어로 번역했고, 그것에 대한 주석을 작성했으며 그 논리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당시의 신학 토론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또한 신플라톤주의자의 생각들을 광범위하게 끌어들여서, 중세 시대에 엄청난 영향력을 미쳤다.


C. S. 루이스는 자신을 "영국의 보에티우스"로 생각했다. 루이스도 과거의 위대한 전통을 버린 현대 '암흑기'의 정점에 살면서 고대 사상의 유산을 이어받고자 노력했했다. 보에티우스와 루이스를 통해 우리는 고전 철학자들과 우리를 구분 짓는 것을 강조할 때가 아니라, 현대라는 이름으로 묻힌 그 오래된 사상을 부활시켜야 하는지를 다시금 생각해 보아야 한다. 그 이유는 다음 네 가지 때문이다.


1. 철학은 답해야 한다.


루이스는 "철학이 나쁜 것이든 좋은 것이든 답해야 하며, 그렇기 때문에, 다른 이유가 없다면 좋은 철학은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절대적으로 옳았다.


오늘날 우리는 형이상학적 위기(예: 명목주의, 자연주의, 유물론), 인류학적 위기(예: 태아의 인격성 부정, LGBT+ 운동), 인식론적 위기(예: 상대주의, 음모론, 가짜 뉴스), 윤리적 위기(예: 낙태, 안락사, 사춘기 차단제, 총격 사건), 정치적 위기(예: 극단의 이데올로기와 전체주의 등 각종 뉴스를 보라), 그리고 현재 재앙의 잘못된 뿌리인 논리적 위기다. 나쁜 철학은 어느 한 모퉁이에 숨어 있지 않다. 광장에서 다양한 뉴스를 전하고 있으며, 트위터나 틱톡을 사용하는 모든 사람이 마음 속 외침이 되고 있다. 우리는 이에 대해서 어떻게 응답해야 할까?


고대 및 중세 철학자들은 초월적인 진리, 선, 아름다움을 추구하면서 이러한 모든 주제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던졌다. 이러한 초월적인 것은 주관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너의 진리"와 "나의 진리"는 존재하지 않았다. "너에게 좋은 것"과 "나에게 좋은 것"도 없었다. 아름다움은 "보는 사람의 눈"에 있는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진리, 선함, 아름다움은 인간의 감정과 경험의 변덕에 구애받지 않는 초월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고대 이교도들도 이렇게 믿었기 때문에 루이스는 "우리는 사람들을 기독교로 개종시키기 전에 예비적으로 사람들을 실제 이교로 다시 개종 필요가 없는지" 궁금해했다. 기독교 철학자들은 이교도 철학자들이 찾던 객관적인 이상 즉 그들도 신은 변함없이 참되고 선하며 아름다운 초월적인 분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인정했다. 따라서 철학은 인간의 문제에 대해서 답해야 하며, 좋은 철학이라야 올바른 답을 줄 수 있다.


2. 인생 자체에 대해 답을 주어야 한다.


철학의 목적은 인생에서 가장 피할 수 없는 질문(이론적이고 추상적인 질문)이 아니라 인간의 존재와 번영에 관한 가장 실용적이고 근본적인 질문에 답하는 것이다. 철학의 각 분과에서 제기하는 질문을 생각해 보자.


- 논리학: 인생의 첫 번째 원칙(기본 진리)은 무엇인가? 우리는 어떻게 서로를 추론할 수 있는가?

- 형이상학: 우주의 진정한 본질은 무엇이며 어떻게 작동하는가?

- 인류학: 인간의 본성은 무엇이며, 우리는 무엇이 되어가고 있나?

- 인식론: 우리는 어떻게 사물을 알 수 있나?

- 윤리학: 도덕의 기초는 무엇이며, 우리는 어떻게 도덕을 따라야 할까?

- 정치학: 사회와 제도를 어떻게 하면 인간의 번영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만들어낼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기독교 이후 세상의 대답은 충분하지 않다. 심리학자들은 Z세대를 역대 가장 '우울하고 불안하며 연약한 세대'라고 부른다. 소셜 미디어, 코로나19, 기타 수많은 요인이 작용했을 수 있지만, 젊은이들에게 나쁜 철학을 주입하고, 그들이 행복한 삶을 살기를 기대할 수 없는 것 또한 사실이다. 우리 문화는 삼위일체 하나님에 비추어야만 설명할 수 있는, 인간의 본성과 운명을 잘못 이해하고 있다.


3. 철학은 신학을 위한 것이다.


중세시대까지 사람들은 "신학은 과학의 여왕이고 철학은 그 시녀이다. 모든 진리는 하나님의 진리이기 때문에 일반 계시와 특별 계시 사이에는 완벽한 조화가 있다"는 말을 보편적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였다. 요한은 그리스어 개념인 로고스("말씀")를 사용하여 예수님의 영원한 존재를 설명했고(요 1:1), 바울은 이교도 철학을 전도의 근거로 보았으며("너희가 알지 못하고 위하는 그것을 내가 너희에게 알게 하리라"행 17:23/ "알지 못하던 시대에는 하나님이 간과하셨거니와 이제는 어디든지 사람에게 다 명하사 회개하라 하셨으니" 행 17:30), 베드로는 헬레니즘의 덕 윤리를 기독교 가르침에 사용했다("그러므로 너희가 더욱 힘써 너희 믿음에 덕을, 덕에 지식을" 벧후 1:5-6).


교회 역사를 통틀어 기독교인들은 신학적 구분을 하기 위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개념을 사용했다. 이것은 소규모가 아니라 니케아 정교회와 어거스틴과 아퀴나스의 신학 전통 안에서 대규모로 이루어졌다. 이 기독교 사상가들은 아무 자격 없이 이런 일을 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들은 하나님의 말씀으로 이전의 철학적 공식을 수정하고 수정했다.


헤르만 바빙크가 설명했듯이, “신학에는 특정 철학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철학은 무분별한 자신의 생각과 기준이 아니라 논리적인 생각들 위에 세워진 사상체계이다. 그러므로 모든 철학을 테스트하고, 진실되고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받아들여야 한다. 필요한 것은 로마사람들처럼 알지 못하는 것을 섬기게 하는 잘못된 철학이 아니라 이치를 따쳐서 참과 진리를 구별할 줄 알게 하는 철학이다.”


4. 기독교는 좋은 철학이다.


기독교는 철학 그 이상이지만 그 이하도 결코 아니다. 우리가 이어받은 고대 '기독교 철학'은 나쁜 철학에 대한 해답이다. 조나단 페닝턴이 주장하듯이, 성경은 대중의 믿음과는 달리 우리의 가장 근본적인 철학적 질문에 대한 답을 제공하는 고대 철학책(오해 없길 바란다. 일종의 사상서라는 의미)이다.


이것은 새로운 발견이 아니며 교회 역사를 통틀어 많은 기독교인, 특히 저스틴 마티어와 같은 초대 교부들은 이러한 사실을 분명히 알고 있었다. 예수님에 대한 그의 사랑은 지혜에 대한 그의 사랑과 모순되지 않았다. 지혜는 그 기초였다. 저스틴은 그의 글 "트리포와의 대화(Dialogue with Trypho)"에서 "나는 기독교 철학만으로도 안전하고 유익하다는 것을 알았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철학자다"라고 말했다.


기독교는 언제나 진정한 철학이었다. 그것을 알아야만 현대의 암흑 속에 빛을 가져올 수 있다.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95건 27 페이지
  • 이스라엘 현지에서 하마스 폭격을 마주하다
    뉴스엠 | 2023-10-10
     김동문 선교사는 김세윤 교수를 강사로 10명의 참가자와 함께 이스라엘에서 현장 강의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이 있었다. 그로 인한 양측의 비극은 예상되었고 이미 진행중이다. 이스라엘 현지에서 바라본 상황은 어떨까? 김동문 선교사의 동의를…
  • 992ed83a6f15bc8ab7589dbedca16787_1696958659_8397.jpg
    이스라엘 대 하마스 전쟁에 대한 미 기독교 지도자의 반응과 성명
    KCMUSA | 2023-10-10
    "이스라엘에 대한 하마스의 공격은 이스라엘에 대한 9/11 버전...이스라엘을 위해 기도하자" 하마스에 대해 일괄적으로 성토... 중동평화는 언급 없어팔레스타인 사람들이 2023년 10월 7일 가자지구 남부 칸 유니스에서 이스라엘의 국경 장벽을 넘은 후 이스라엘 탱크를…
  • 992ed83a6f15bc8ab7589dbedca16787_1696870568_6608.jpg
    목회자들에게 감사를 전할 수 있는 최고의 선물 40가지
    KCMUSA | 2023-10-09
     매년 10월은 목회자 감사의 달이며, 10월 둘째 주일(올해는 10월 8일)은 목회자 감사의 날입니다.교회가 굳건하게 유지되려면 견고한 기초가 필요합니다. 목회자의 모든 활동은 교회의 반석입니다. 그러나 이는 목회자들에게 엄청난 압력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압력이…
  • 1f1c1ba5417fb5479e76947d2eb1c41d_1696626055_3839.jpg
    ​기독교인에게도 철학이 필요한가...내가 내 신학을 바꿀 권리?
    KCMUSA | 2023-10-06
    보에티우스(Boethius, AD 480-524)는 로마의 마지막 황제이자, 중세기의 첫 황제라고 알려졌다. 고전 세계가 무너지고 야만주의가 뿌리를 내리자 그는 가능한 한 많은 고전적 전통을 보존하기 위해 노력했다. 나무위키에 따르면 그는 고대 그리스 철학의 유산을 물…
  • 992ed83a6f15bc8ab7589dbedca16787_1696612050_3847.jpg
    연합감리교 한인총회 신임총회장에 이창민 목사 선출
    크리스천위클리 | 2023-10-06
    시카고에서 열린 한인총회가 5일 폐회되었다  시카고에서 열린 한인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가 지난 5일 폐막된 가운데 신임 한인총회장에 이창민 목사(LA연합감리교회)가 선출되었다. 나머지 임원진은 신임회장이 인선하기로 했다.신임총회장 이창민 목사  총회중인 지난 4일 수요 …
  • 992ed83a6f15bc8ab7589dbedca16787_1696611842_7862.jpeg
    차별이 교회의 정체성인가?
    NEWS M | 2023-10-06
    한인교회는 백인 복음주의의 영향을 벗어날 수 있을까 미국 복음주의 교회는 여전히 백인의 종교다. 특히 인종차별 논쟁에서 미국 사회의 조직적 인종차별 의식을 받아들이고 심화시키고 있다는 여론 조사가 나왔다. 백인 선교사들의 신앙과 백인 복음주의에 의존도가 높은 한국 교…
  • 소멸 위기의 조로아스터교가 미국에서?
    NEWS M | 2023-10-06
    다 가진 종교가 가장 ‘좋은’ 종교가 될 수 없는 이유 조로아스터교에 입교한지 15년이 넘었지만 신앙의 확신이 없던 32세의 쇼힌 케야니(Shawheen Keyani)는 지난 노동절 연휴때 또래의 젋은이들과 '다르에메르(dar-e-mehrs)'로 알려진 조로아스터교 …
  • 992ed83a6f15bc8ab7589dbedca16787_1696294867_1281.jpg
    10월은 "목회자 감사의 달(Pastor Appreciation Month)"... 목사님에게 감사를!
    KCMUSA | 2023-10-05
     "목회자 감사의 날"은 항상 10월 둘째 주일이며, 특히 10월 내내 "목회자 감사의 달"로 기념된다.이 축하 행사는 목회자, 선교사, 종교 종사자들을 고양하고 격려한다는 사명으로 1992년에 시작되었다.론 에드몬슨(Ron Edmondson)은 20년 넘게 비즈니스 …
  • [CA] “주여, 이 땅을 고쳐주소서” 주제 2023 다민족기도대회 열려
    KCMUSA | 2023-10-04
    2023 다민족기도대회가 ‘Heal Our Land!’라는 주제로 10월1일(주일) 오후 4시 은혜한인교회(담임 한기홍 목사)에서 열렸다. 이번 기도 대회는 한인교계를 비롯하여 타인종 교계 지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찬양팀이 한국어, 영어, 스페인어로 찬양인도로…
  • 트럼프, 재판에서 예수 옆에 앉아 있는 자신의 가짜 법정 스케치 공개 논란
    KCMUSA | 2023-10-03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민사 사기 재판 첫날 예수 그리스도 옆에 앉아 있는 자신의 모습을 그린 가짜 법정 스케치를 공유했다.이 이미지를 만든 돔 루크레(Dom Lucre)는 이 그림이 법원 절차 내내 전 대통령 옆에 붙어 있는 신의 아들을 상징한다고 주장했다.사기 …
  • a332b3dc086d3c91ecfb0805d0f888f8_1696355894_7884.jpg
    미 얼라이언스(C&MA) 교회들 여성 목사안수 문제로 교단 탈퇴
    KCMUSA | 2023-10-03
    지난 6월 총회서 결의한 여성안수 허용에 반발스콧 앤드류스 목사(Scott Andrews)가 노스캐롤라이나 주 분(Boone)에 있는 그의 회중에게 미 얼라이언스 교단(이하 C&MA)에서 탈퇴한다고 말했다 (사진: Alliance Bible Fellowship)…
  • a332b3dc086d3c91ecfb0805d0f888f8_1696354735_7033.jpg
    [IL] 연합감리교 특별한인총회 시카고서 개막
    크리스천위클리 | 2023-10-03
    10월 2일~5일, ‘여기, 다시, 부르심’ 주제로 진행중정희수 감독이 개회예배에서 설교하고 있다 총회참석자들이 개최예배를 드리고 있다 연합감리교 2023 특별한인총회가 10월 2일에 개막되어 오는 5일까지 ‘여기, 다시, 부르심’이란 주제로 시카고 한인제일감리교회(2…
  • [CA] 고 임동선 목사 7주기 추모예배 및 기념관 개관식
    미주크리스천신문 | 2023-10-03
    “지구촌은 나의 목장…그의 생애, 비전 본받자”고 임동선 목사 7주기 추모예배를 마치고 개념관 개관식에서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는 관계자들고 임동선 목사 7주기를 맞아 24일(주일) 오후 7시 월드미션대학교(총장 임성진)에서 추모예배 및 임동선 목사 기념관 개관식을 …
  • 992ed83a6f15bc8ab7589dbedca16787_1696286942_2092.png
    목회자가 절대 하지 말아야 할 7가지 말(7 Things Pastors Should Never Say)
    KCMUSA | 2023-10-02
    (사진: ChurchLeaders) 1. "우리는 이미 믿는 자들을 위해 여기에 있는 것이 아니다(We’re not here to reach churched people.)"그렇다. 예수님은 잃어버린 자를 찾아 구원하기 위해 이 땅에 오셨다고 말씀하셨다. 그러나 그분…
  • 992ed83a6f15bc8ab7589dbedca16787_1696280848_9346.jpeg
    [NJ] 미주 하디 영적 각성 120주년 기념성회 성황리에 열려
    KCMUSA | 2023-10-02
    "다시 근원으로, 절망에서 희망으로"영적 각성 선포문도 발표이덕주 교수가 말씀을 전하고 있다영적 각성운동의 주역인 토마스 하디 선교사미주 하디 영적 각성 120주년기념성회가 지난 9월 13일 오후 7시 뉴저지 갈보리 연합감리교회에서 200명의 감리교 목회자와 성도들이…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