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예배와 온라인 성찬식의 정당성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온라인 예배와 온라인 성찬식의 정당성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온라인 예배와 온라인 성찬식의 정당성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미주 크리스찬투데이| 작성일2020-07-01 | 조회조회수 : 3,418회

    본문

    202006110439157.jpg
    ▲ 전세계를 휩쓸고 있는 코비드 19 팬데믹 상황속에서 온라인예배가 급부상된 상황에서 온라인성찬식의 정당성을 두고 논쟁이 번지고 있다. © 크리스찬투데이

    온라인 예배는 이미 30여 년 전부터 있어왔던 예배인데 그리 큰 주목을 받지는 못했습니다. 미국에는 이미 온라인 교회가 여럿 있어서 온라인으로 성도들이 예배드리고 헌금도 하는 온라인교회들이 있었고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많은 교회들이 온라인 예배방송을 해 오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거의 모든 교회들이 교회에 모여 드리는 현장예배가 중심이었기에 온라인 예배는 단지 보조적인 예배로 간주되어 왔습니다.

    그러다가 올해 2020년에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 펜데믹으로 인해 현장예배를 못드리면서 온라인 예배가 유일한 대체 수단이 되었습니다. 이 시점에서 온라인 예배가 시대적인 경향이고 태크날리지이기 때문에 온라인 예배를 드린다는 생각보다는, 이제 온라인 예배의 성경적인 정당성을 확인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다른 방법이 없기 떄문에 할수 없이 온라인 예배를 활용한다는 자세보다는 온라인 예배에 대한 정당성을 분명하게 확신하고, 또 온라인 예배의 장단점을 살펴보면서 미래에 어떻게 온라인 예배를 활용해 갈 것인가를 생각할 수 있으면 우리 예배가 더욱 풍성해지리라고 생각합니다.

    아울러 온라인 예배의 정당성을 밝혀야 할 이유 중의 하나는 온라인 예배와 온라인 성찬식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요즘 상황을 보면 온라인 성찬식에 대해서도 많은 논쟁들이 있습니다. 한국이나 미국,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 성찬식이 신학적으로 옳다, 옳지 않다 식의 논쟁이 많습니다. 온라인 예배와 온라인 성찬식은 같은 맥락에 있습니다. 이 두 가지가 온라인이라는 같은 특성의 예배 잇슈이기 때문에 따로 떼어놓고 생각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온라인 예배의 정당성을 인정한다면 온라인 성찬식도 가능할 것이고, 온라인 예배가 예배로서 정당성이 없다고 결정한다면 온라인 성찬식도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온라인 예배는 가능한데 온라인 성찬식은 안된다‘는 식으로 말해서는 안된다는 것이지요. 그런 관점에서 먼저 온라인 예배의 성경적인 정당성을 확인해야 할 것입니다.

    먼저 온라인 예배에서 빅 잇슈가 되는 것은 우리의 몸이 교회예배의 현장에 참석하지 않은 상황에서 과연 참된 예배가 이루어질 수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그것에 대해서 성경은 무엇이라고 말씀하시는가요? 우리의 몸이 예배의 현장에 참석을 해야만 예배를 드리게 되는 것인가요? 이 잇슈에 대해 답을 주는 성경 구절이 있습니다.

    요한복음 4장에서 예수님은 예배의 핵심원리에 대해 말씀하고 있습니다. 본문을 보면 우리가 지금 말하고 있는 “온라인 예배가 정당한 것입니까?”라는 질문에 상당히 가까운 질문을 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바로 사마리아 여인이었습니다. 이 이야기의 배경을 보면 사마리아 동네에 들어가신 예수님이 한 사마리아 여인을 만나게 되는데 그 사마리아 여인이 예수님께 질문을 합니다. “우리 조상들은 이 산에서 예배하였는데 당신(유대인)들의 말은 예배할 곳이 예루살렘에 있다 하더이다.“ 이 사마리아 여인의 질문의 포인트는 “우리는 사마리아에서 지금까지 예배해 왔는데 꼭 예루살렘 성전에 우리가 가야 진짜 예배를 드리게 되는 것입니까?라는 질문이었다. 그 질문에 대해 21절에서 예수님은 “이 산에서도 말고 예루살렘에서도 말고” 라고 말씀하시면서 24절에서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영과 진리로 예배할지니라. 하나님은 영과 진리로 예배하는 자를 찾느니라”고 말씀합니다. 예수님의 말씀의 핵심은, “너희의 몸이 어디에 가서 있느냐 하는 것은 결코 중요치 않다. 단지 신령과 진정으로 즉 너희가 마음과 영으로 예배할 수 있으면 어디에서 예배를 하던 상관없다는 말씀입니다.

    우리가 예배라는 것을 생각할 때 구약이나 신약이나 일단 모이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교회는 모이면 예배하는 공동체이고 흩어지면 선교하는 공동체입니다. 예배는 우리가 모이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모인다는 말의 의미를 예수님은 몸이 어디에 모이는 것으로 해석을 하지 않고, 새롭게 해석을 하고 있는 것에 우리는 주목해야 합니다. 단지 몸이 어느 장소에 가서 있느냐는 결코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고, 몸보다 더 중요한 마음과 영으로 예배하는 것이 예배의 핵심이라고 말씀하고 있는 것입니다.

    온라인 예배가 가능한 이유는 몸은 교회에 모이지 못하고 가정이나 또는 다른 장소에 있을 수 있지만 온라인이란 매체를 통해서 우리가 특정 시간에 특정한 교회에 마음과 영으로 모이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마음과 영이 모였는데 몸이 예배의 현장에 참석하지 못한다 해서 모인 것이 아니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성도들이 모두 다른 장소에 있을지라도 온라인을 통해서 성도들의 교회 예배에 모일 수 있고 같은 시간에 같은 찬송을 부르고 같이 기도하고 같은 담임목사님의 말씀을 함께 시간에 들으면서 아멘으로 응답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우리가 마음과 영으로 모일 수 있다면 온라인 예배는 정당한 예배가 될 수 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위험하고 어려운 상황속에서 온라인 예배는 훌륭한 대안이 됩니다.

    하지만 온라인 예배는 현장예배가 아니기 때문에 장단점이 있습니다. 장점은 교회에 가고 오는 시간을 절약하고 좀더 안전한 환경 속에서 예배드릴 수 있습니다. 아울러 단점도 있습니다. 예배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인 성도간의 친목이 안되고, 집중하기가 어려울 수 있고, 현장 예배만이 줄 수 있는 생생한 예배의 감격과 은혜가 줄어드는 단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명확히 인식해야 할 것은 몸으로 모이는 예배를 필요 없는 것으로, 구태여 안 모여도 되는 예배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것입니다. 교회는 모이는 공동체입니다. 히브리서 10:25 절에는 ’어떤 사람들의 습관과 같이 모이기를 중단하지 말고 서로 격려하여 주님이 오실 날이 가까울수록 더욱 모이는 일에 힘씁시다”라고 강조합니다. 모여서 예배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것이 성경의 가르침이고 예배의 전통입니다.

    결론을 말씀드리면, 우리는 할 수 있는 한 모여서 예배드려야 합니다. 그러나 현재와 같이 코비드19로 인해 위험하고 어려운 때에는 온라인 예배도 정당하게 드릴 수 있고, 또 앞으로 현장예배와 온라인 예배가 계속 함께 가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어느 예배이든 마음과 영으로 드릴 수 있는 예배가 되도록 힘써야 하고 가능한 우리가 교회에 몸과 마음으로 모여 예배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이 하루빨리 조성될 수 있도록 기도하시면 좋겠습니다.

    이제는 온라인 성찬에 대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교회가 계속하여 현장예배와 온라인 예배를 함께 해야하는 상황에서 온라인 예배와 연결하여 온라인 성찬식에 대해서도 많은 논쟁들이 있습니다. 한국이나 미국,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 성찬식이 신학적으로 옳다 또는 옳지 않다의 논쟁이 되고 있습니다. 대체로 구교회(캐톨릭이나 성공회)와 보수적인 개신교회들은 온라인 성찬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는 반면, 복음주의 교회들(침례교회나 젊은 층의 교회들)은 적극적으로 온라인 성찬식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가령 미국 남가주에 있는 새들백 교회나 젊은 층의 많은 교회들은 온라인 성찬식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미리 주고 성찬식을 온라인으로 행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예배와 온라인 성찬식은 같은 맥락에 있습니다. 성찬식은 전통적으로 예배의 중요한 한 부분이었고 온라인이란 매체를 사용한다는 관점에서 두 가지는 함께 고려해야 할 잇슈이며 따로 떼어놓고 생각할 수가 없습니다. 온라인 예배의 정당성을 인정한다면 온라인 성찬식도 가능할 것이고, 온라인 예배가 예배로서 정당성이 없다고 결정한다면 온라인 성찬식도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온라인 성찬에 대한 논쟁의 핵심도 몸이 교회에 모이지 않은 상황에서 성찬이 이루어질 수 있느냐는 것인데 온라인 성찬의 정당성도 온라인 예배의 정당성과 마찬가지로 모인다는 말의 의미를 성경 전체적인 관점에서 해석해야 합니다. 요한복음 4장에서 보듯이 예배를 드리는데 있어 지정된 어느 장소에 몸이 존재하느냐 보다 “신령과 진정(마음과 영)”을 강조하셨던 예수님의 가르치심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 고린도전서 11장 33절에서 바울은 성찬에 관련하여 “그런즉 내 형제들아 먹으러 모일 때에 서로 기다리라”고 말합니다. 이 구절에서 “모일 때”는 성찬 자체보다 당시 유대 기독교인들이 행하던 말씀 중심의 예배가 끝나면서 이어지는 애찬(아가페 만찬)의 모임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성찬은 이 애찬의 한 부분이었습니다. 초대 기독교인들은 애찬의 처음 부분에서 성찬식을 행하고 계속하여 만찬을 이어갔습니다.

    주목해야 할 점은 바울이 ’모인다‘는 말의 의미를 단순히 몸이 함께 모이는 만이 아니라 영으로 함께 한다는 말도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고린도전서 5장 3-4절을 보면 고린도 교회에 있었던 음행에 관해 말을 하면서 “나의 몸은 떠나 있으나 나의 영은 고린도에 있어서 그들과 영으로 함께 모였다”고 말을 하고 있습니다. 모인다는 것이 몸이 아니라 영으로도 모일 수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온라인을 통해 마음과 영으로 모인 성도들이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나누는 온라인 성찬 예식도 당연히 가질 수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교회는 지역적인(local) 개념과 우주적인(Universial) 개념 모두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 특정한 장소에 믿는 성도들이 모일 때도 교회라고 부르지만 각 지역에 흩어진 모든 성도들의 모임을 통칭하여 우주적인 교회라고 부릅니다. 온라인 예배와 성찬식은 지역적이면서 우주적인 교회를 연결 시켜주는 효과적인 매체라고 보여집니다.

    종교개혁자들은 성찬에 대해 각기 신학적 견해를 가졌는데 종교개혁자 칼뱅은 영적 임재론을 강조했습니다, 그것은 성찬을 행하는 자리에 그리스도의 영이 임재하셔서 성찬에 참여하는 모든자들을 하나로 연합시키시고 감동하신다는 주장이었습니다. 성찬을 단순히 기념설로 약화시킨 쯔빙글리보다 칼뱅의 영적임재론은 성경 전체적인 관점에서 성찬의 깊은 의미를 잘 나타내 주고 있습니다. 그리스도의 영이 성찬이 행해지는 교회 예배현장 위에 임재하시면서 동시에 온라인을 통해 성찬에 참여하는 성도들의 처소에도 임하실 수 있음을 믿어야 합니다. 앞으로도 현장예배와 온라인 예배가 계속 병행되어야 할 상황입니다. 만일 현장예배에 참석한 성도만이 성찬을 받을 수 있고 온라인 예배를 드리는 성도는 신학적으로 맞지 않기 때문에 성찬에 참여할 수 없다고 한다면 교인들은 상당한 혼란을 겪게 될 것입니다. 거룩하고 축복된 성찬에 어느 성도 한 사람이라도 배제되어서는 안됩니다. 온라인 예배가 성경적으로 정당하다면 온라인으로 성찬을 행하는 것을 지체할 이유가 없습니다.

    온라인 성찬식을 행하는 방법으로는 떡과 포도주를 함께 포함하고 있는 communion cup(성찬컵)을 사용하거나, 성도 각자가 빵과 포도주를 성별하여 준비해 동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온라인 성찬을 행하는 미국 새들백 교회의 가이드라인을 샘플로 소개합니다. 새들백 교회는 미리 SNS를 통해 교인들에게 온라인 성찬을 준비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성찬을 행합니다.

    온라인으로 성찬을 받는 방법

    1. 포도쥬스를 구입하십시오(가정이나 그룹의 숫자에 맞게)
    2. 빵이나 비스킷를 구입하십시오. 이스트를 넣지 않은 빵을 구입하시면 가장 좋습니다. 이런 빵은 큰 마켓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 대신에 다른 빵이나 비스킷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3. 온라인 예배에서 담임 목회자의 말씀의 인도에 따라 빵과 포도주를 드십시오.
    4. 성찬에서 받은 은혜를 교회와 나누어주십시오. 온라인 성찬에 몇 사람이나 참석하였는지 알려주시고 사진을 찍어 이메일로 교회에 보내주시면 좋은 기억이 될 것입니다.
    5. 온라인 성찬을 받기 전 묵상할 말씀
    마태복음 26:26-30;마가복음 14:22-26;누가복음 22;19-20;고린도전서 11:23-29

    온라인 성찬식에서 강조해야 할 점은 예배 현장에 참석하지 못함으로 인해 약화 될 수 밖에 없는 그리스도 안에서의 연합됨과 하나됨입니다. 성찬식을 행하면서 인간의 죄를 위한 예수님의 고난과 죽음을 강조하면서도 그리스도 안에서 교회의 하나 됨을 강조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장소와 시간을 초월하시는 그리스도의 영이 현장예배와 온라인 예배 모두에 임재하시고 역사하심을 위해 간구할 때 우리는 예배를 통한 하나님의 초자연적인 은혜와 축복을 체험하게 될 것입니다. 필자 / 최운용 목사
    총신대 교회음악과 졸업
    미국 남침례 신학원(The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루이빌, 캔터키) 교회음악석사
    미국 골든게이트 침례신학원(Golden Gate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밀밸리, 샌프란시스코)
    신학석사, 기독교교육학 석사, 목회학 박사(D Min)
    현재 케이트웨이 침례신학원(Gateway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온타리오, 남가주)
    KEB한국파트, 예배학 교수(게이트웨이 침신은 골든게이트 침례신학교가 남가주 온타리오로 이전하면서 이름을 바꾼 동일한 침례신학원입니다)
    교회사역: 남가주 사랑의 교회 예배담당목사(1995-2002), 감사한인교회 예배찬양 담당목사(2009-2016)


    미주 크리스찬투데이 최운용 목사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49건 260 페이지
    • [CA] 인랜드교회 장학생 모집
      KCMUSA | 2020-07-01
      2020년 7월 31일 인랜드교회가 장학생을 모집한다. 남가주 지역 거주자로서 ▶대학 및 대학원생 ▶신학생 ▶목회자 및 선교사 자녀라면 신청이 가능하다. 신청 마감은 6월20까지다. 신청서류 및 구비서류는 인랜드교회 웹사이트(www.inlandchurch.org)에서…
    • 조지 플로이드와 한인교회
      미주한국일보 | 2020-07-01
      ▶ 문일룡 칼럼 미니애폴리스 백인 경찰의 과잉 폭력 사용에 의해 빚어진 조지 플로이드의 사망 사건으로 전국에서 항의 시위와 인종차별에 대한 반성 요구가 드높다. 며칠 전에는 내가 살고 있는 버지니아 주 페어팩스 카운티에서도 백인 경찰이 제 정신이 아닌 듯 해 보이는 …
    • 비행기에서 내가 겪은 인종차별
      미주한국일보 | 2020-07-01
      1994년 김영삼 대통령이 김일성 주석과 정상회담을 연다고 해 곧 통일이 될 것 같은 분위기였다. 민족의 통일을 소원으로 노래를 부르고 자란 세대에서 통일은 가슴 뛰는 일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정상회담 1주일인가 남겨두고 김일성이 급사를 하게 된다.나는 1981년 미…
    • 한인교회들, 부분적 현장 예배 재개
      미주중앙일보 | 2020-07-01
      빌립보교회는 14일 부분적 현장예배를 재개했다.메릴랜드 지역 한인교회들이 조심스럽게 현장 예배를 재개했다.하노버 소재 빌립보교회(박동훈 목사)를 비롯 엘리콧시티의 벧엘교회(백신종 목사)와 메릴랜드제일장로교회(조은상 목사), 콜럼비아의 가든교회(한태일 목사) 등은 14일…
    • [MD] “한인들 덕분에 검사 받았어요”
      미주중앙일보 | 2020-07-01
      ▶ MD한인회, 볼티모어 흑인 대상 무료 코로나검사▶ 170여명 줄지어 참여…20여 자원봉사자 진행 도와 코로나19 검사가 드라이브-스루와 워크-스루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볼티모어의 무료 검사소에 검진받으러 온 차들이 줄지어 있다.13일 코로나19 무료검사소가…
    • [CA] UC 일제히 온라인 졸업식
      미주한국일보 | 2020-07-01
      코로나19 상황 속에 UCLA를 비롯한 남가주 지역 주요 UC 대학들의 졸업식이 모두 온라인으로 거행됐다. UCLA는 단과대학 별로 12~14일 온라인 졸업식이 열렸고, UC 어바인과 샌디에고, 리버사이드 캠퍼스 등도 주말 동안 모두 올해 졸업식이 온라인으로 치러졌다.…
    • LAX 통해 ‘확진자 입국’ 공개 안해 파장
      미주한국일보 | 2020-07-01
      ▶ 3월 서울 경유 필리핀인 사망, 항공사 등 안 알려 추적 못해 지난 3월 LA국제공항(LAX)에 도착했던 인천발 아시아나항공을 포함한 비행기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탑승했으나 보건당국이 이를 제대로 공개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파장이 일…
    • '코로나 감염 추적조사' 요원 사칭한 사기 기승
      미주한국일보 | 2020-07-01
      ▶ 개인정보 제공 말아야 캘리포니아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 속에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했을 가능성이 있는 주민들에 대한 추적조사가 실시되고 있는 가운데, 이같은 추적조사 요원을 사칭해 신분 도용과 민감한 개인정보를 노리는 새로운 사기가 기…
    • [NJ] 뉴저지주 전역서 예배 재개
      미주중앙일보 | 2020-07-01
      22일부터 퍼스널케어 허용 14일부터 뉴저지주 전역의 교회 등 종교시설에서 일제히 종교행사가 재개됐다.이날 교회·성당·절·사원 등 모든 종교시설은 전체 수용 능력의 25% 또는 50명 중 더 적은 숫자로 인원을 제한한 가운데 안전지침에 따라 예배를 진행했다.뉴저지주의…
    • [NY] 설립9주년 온라인 감사예배
      미주중앙일보 | 2020-07-01
      유영교회, 화상 퀴즈대회드라이브 스루, 선물도 나눠 설립9주년을 맞이한 뉴저지 소재 유영교회(담임목사 장병근)가 최근 감사 예배를 온라인으로 드린 후 전교인 도전 1대 100 화상 퀸즈 대회를 열었다.올해 2회 째인 퀴즈대회는 25 가정이 참여, 김균욱·윤혜인 집사 …
    • [CA] 수만 명 할리우드 또 가득 메웠다
      미주중앙일보 | 2020-07-01
      지난주 이어 14일 대규모 시위성소수자들도 행진 대신 동참팜데일서도 "흑인 사망 수사" 14일 할리우드에서 인종차별에 항의하는 대규모 시위가 진행됐다. 이번 시위에는 성소수자들이 취소된 ‘LA프라이드 퍼레이드’ 대신 대거 동참했다. 할리우드 블러바드를 가득 메운 2만…
    • [워싱턴 DC] 워싱턴 원로들 '다섯 소년의 한국전쟁 회고록' 출간
      미주중앙일보 | 2020-07-01
      Five Boyhood Recollections of the Korean War, 1950-1953 한국전쟁이 발발했던 1950년 6월 십대였던 5명의 소년이 80세 원로가 되어 쓴 개인사적 전쟁기록이 책으로 나왔다.저자들이 세상을 떠나면 한국전쟁을 경험한 마지막…
    • [워싱턴 DC] 일요일 아침 백악관 앞에 모여 정의 기도한 수천의 흑인 신도
      연합뉴스 | 2020-07-01
      트럼프는 백악관 비운 채 뉴저지주 골프클럽 머물러…골프장은 안 가 백나리 특파원 = 일요일인 14일(현지시간) 아침 미국 백악관 앞에 수천 명의 기독교인이 모여 정의를 기도했다.백인 경찰의 무릎에 목이 짓눌려 목숨을 잃은 흑인 남성 조지 플로이드를 기리는 이들로 대부…
    • 00f736a3b4a4fee15df310da01b691c8_1593556118_5961.jpg
      '흑백대결 아니다'…부상 백인 어깨에 메고 구한 흑인 화제
      한국 중앙일보 | 2020-07-01
      "흑인과 백인의 대결이 아니다. 우리 모두와 인종차별주의자 간의 대결이다." 런던에서 트레이너로 일하는 흑인 남성 패트릭 허치슨은 14일(현지시간) 인스타그램에 자신이 상처를 입은 한 백인 남성을 어깨에 메고 안전한 곳으로 옮기는 사진과 함께 이 같은 글을 올렸다.흑인…
    • '시위대가 지갑도 연다' 경기침체에도 역대급 기부 쏟아져
      연합뉴스 | 2020-07-01
      하루 수백억원씩 인권단체 등에 답지…넘치는 기부금에 일부 단체는 고사하기도2주간 온라인모금 사이트에 2억5천만달러…보석금지원단체 2곳에 9천만달러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미국에서 흑인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에 따른 인종차별 반대시위가 확산하면서 인권단체에…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