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총에 죽는 시민 매년 ‘1000명’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경찰총에 죽는 시민 매년 ‘1000명’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경찰총에 죽는 시민 매년 ‘1000명’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미주중앙일보| 작성일2020-07-01 | 조회조회수 : 3,394회

본문

WP 집계, 흑인이 인구 대비 많아
조지아 2017년 30명, 2018년 53명


00f736a3b4a4fee15df310da01b691c8_1593562077_1549.jpg
경찰 보호한 시위대 ‘눈길’
지난 달 28일 폭주하는 시위대에 둘러싸인 경찰을 보호한 시위자들의 모습이 주목받고 있다. 8일 USA투데이는 켄터키 주 루이빌에서 발생한 시위 현장을 생생하게 기록한 기사를 게재했다. 이날 베어노 식당 앞에서 성난 시위대가 루이빌 메트로 경찰서 소속 경찰 1명에게 위협을 가하자, 평화시위를 주장하던 시위자 5명이 경찰을 에워싸고 보호한 뒤, 위협에서 구출해냈다. 피해 경관은 USA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그들이 날 구했다. 그들이 없었다만 아마도 폭행을 당했을 것”이라면서 감사의 뜻을 전했다. AP

미국에서 경찰이 쏜 총에 목숨을 잃는 시민이 매년 1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미전역을 휩쓸고 있는 인종차별 반대 시위를 총격이 촉발한 것은 아니지만, 경찰 개혁 여론이 고조되는 가운데 나온 집계라 관심을 끈다. 흑인의 경우 무장했거나 무장하지 않았거나 경찰 총격으로 사망하는 비율이 인구 대비 높았다.

워싱턴포스트(WP)는 2015년부터 미국의 경찰의 총격으로 목숨을 잃는 이들이 얼마나 되는지를 자체 집계했더니 매년 거의 1000명씩이었다고 8일 전했다. 2015년에 994명, 이듬해엔 962명, 2017년엔 986명이었다. 2018년과 2019년엔 991명과 1004명으로 계속 1000명 수준이 유지됐다.

올해 상반기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자택대피령으로 상당수 시민의 활동에 제약이 있었는데도 이달 첫 주까지 463명이 사망,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명 많았다.

조지아주에서도 경찰 총격에 의한 사망자는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애틀랜타저널(AJC)에 따르면 지난 2018년 한 해 동안 95건의 경찰 연루된 총격 사건이 발생했고, 이 사건 중 53명이 경찰의 총에 목숨을 잃었다. 이는 전년 대비 77%나 늘어난 것이다. 2017년에는 97건의 관련 사건이 발생했고, 30명이 사망했다.

백인 경찰의 과잉 대응으로 흑인 남성 조지 플로이드가 사망한 사건이 미전역에 공분을 일으킨 상황이지만 경찰의 총격에 흑인만 목숨을 잃은 것은 아니었다. 전체의 45%가 백인이었고 23%가 흑인, 16%가 히스패닉이었다.

그러나 전체 인구와 비교해 보면 경찰의 총격에 목숨을 잃는 흑인 비율이 높았다. 미국 인구 중 백인은 60%이고 흑인은 13%, 히스패닉은 18%다.

용의자가 흉기나 총기로 무장한 상태에서 94%의 경찰 총격이 벌어지는데 무장하지 않은 6%의 상황에서도 전체 인구 비율과 비교해볼 때 흑인이 목숨을 잃는 비율이 높았다고 WP는 분석했다.

2015년 경찰 총격에 비무장 미국인이 사망한 건 94명인데 이 중 38명이 흑인이었다고 한다. 이듬해에는 비무장 미국인 사망 규모가 51명으로 떨어지고 이 중 22명이 백인, 19명이 흑인이었다. 2019년의 경우 비무장 상태에서 경찰 총격으로 56명이 사망했는데 백인은 25명, 흑인이 15명이었다.

비무장 사망자의 전체 규모는 2015년에 비해 크게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전체 인구 대비로는 흑인 사망 비율이 높다고 WP는 지적했다.


미주중앙일보 koreadaily.com 권순우 기자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73건 258 페이지
  • [CA] 아파트 천장 향해 총격, 타운 7세소년 부상
    미주한국일보 | 2020-07-01
    LA 한인타운 지역 아파트 집안에서 천장을 향해 총을 쏘는 행위로 위층에 살고 있는 7세 소년이 총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했다.LA 경찰국(LAPD)에 따르면 지난 14일 오후 8시40분께 한인타운 버몬트 애비뉴와 8가 인근 프랜시스 애비뉴에 위치한 한 아파트에서 용의자…
  • [CA] LA 식당 1천곳 코로나 안전수칙 위반
    미주한국일보 | 2020-07-01
    ▶ LA 카운티 보건당국 “2천곳 조사… 전체 절반 적발”▶ 테이블 거리두기·마스크 착용 등 안 지켜…단속 강화 LA 샌피드로 지역의 한 식당 바에서 직원들이 마스크를 쓰고 서빙 준비를 하고 있다. [AP]LA 카운티를 포함한 가주 전역에서 경제 재개 움직임이 활발하…
  • [CA] UC 이사회 “어퍼머티브 액션 부활 지지”
    미주한국일보 | 2020-07-01
    ▶ 만장일치 선언 캘리포니아 주 하원이 소수계 우대정책인 ‘어퍼머티브 액션’ 부활 법안을 통과시켜 오는 11일 선거에서 주민 찬반투표 회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본보 12일자 A1면 보도) UC 측이 학생 선발에서 인종별 고려를 통한 소수계 우대 정책 부활을…
  • [NM] 총격으로 번진 미 동상 철거…성난 시위대에 권총 꺼내 ‘탕탕’
    연합뉴스 | 2020-07-01
    ▶ 스페인 정복자 동상 철거 두고 뉴멕시코 시위대-무장단체 대치▶ 무장 남성 총격에 1명 중상…경찰 “자경단, 폭력 선동 의심” 동상 철거 현장에서 무장한 남성들을 체포하는 경찰 [AP=연합뉴스, 앨버커키저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미국에서 인종차별 논란이 제…
  • 대법 “가주 불체자보호 피난처 정책 합당”
    미주한국일보 | 2020-07-01
    ▶ ‘폐지 요구’ 트럼프와의 공방 일단락▶ 직장내 성소수자 차별금지도 판결 연방 대법원이 캘리포니아주의 불체 이민자 보호 피난처주 정책을 인정하는 판결을 했다. 시위대가 피난처주 지지 피켓을 들고 있다. [AP]연방 대법원이 15일 캘리포니아 주정부의 불체신분 이민자…
  • 트럼프, 경찰개혁 행정명령 서명…회견장엔 유족 대신 경찰
    연합뉴스 | 2020-07-01
    ▶ 문제경찰 추적·관행개선 예산 지원…목조르기는 경찰생명 위협때만 허용▶ 경찰 인종차별 언급 안해…경찰 지지 의식한 ‘온건해법’ 비판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AP=연합뉴스]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16일 미 전역의 흑인사망 시위 과정에서 분출한 경찰개혁 요구에 대응한 …
  • '플로이드 보도 이대로 괜찮습니까' 미 언론 '자성의 목소리'
    연합뉴스 | 2020-07-01
    WSJ 기자 150명 편집장에 서한…CNN 기자들 "SNS에 의견 밝히게 해달라"  블룸버그·NYT 등서도 잇달아 불만과 우려 제기 (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 "우리 언론사의 인종 관련 보도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닙니까?""현재 상태로는 괜…
  • 마스크 받은 LA 독립유공자 후손 '모국의 깜짝 선물에 감사'
    연합뉴스 | 2020-07-01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정윤섭 특파원 =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지역에 거주하는 독립유공자 후손들이 한국 정부가 보내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마스크를 전달받고 감사의 마음을 밝혔다.16일(현지시간) LA 총영사관에 따르면 박영남 광복회 미…
  • [CA] 타운인근 대규모 저소득층 아파트 짓는다
    미주한국일보 | 2020-07-01
    ▶ 버몬트와 베벌리 인근 454유닛 남가주 최대 규모 LA 한인타운 버몬트/베벌리 메트로 지하철 역사 인근에 대형 서민층 아파트를 신축하는 안이 확정됐다. 프로젝트의 조감도. [플렉시블]LA 한인타운 북쪽 버몬트 애비뉴와 베벌리 블러버드 인근에 저소득층을 위한 대규모…
  • 사라지지 않는 편견, 인종차별 극복 과제는?
    데일리굿뉴스 | 2020-07-01
    인종차별 넘어선 우정…영화 ‘그린 북’ 최근 백인 경찰의 과잉진압으로 흑인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인종차별 문제를 다룬 영화가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바로 영화 ‘그린 북(Green Book)’이다. 비로소 우리 사회가 인종차별에 관해 진지한 접근을 하게 된 지…
  • '누구를 위한 기쁜 소식(good news)인가?'
    뉴스M | 2020-07-01
    아시안화해평화사역(ReconciliAsian) 허현 목사 칼럼 허현 목사요즘 미국에선 지난 3월 말에 시작된 Some Good News라는 웹 시리즈가 인기입니다. 존 크라진스키라는 영화 배우 겸 제작자가 COVID-19 때문에 자택격리를 하는 동안 자신의 집에서 …
  • “숨을 쉴 수 없어요”, 그 신음이 들려주는 ‘숨’의 의미
    뉴스M | 2020-07-01
    박상진 목사 칼럼“I can’t breathe.” 박상진 목사어느 날 갑자기 들려온 한 신음이 세상을 깨우고 있습니다. 오랜 세월 억압과 차별 아래 숨을 못 쉬던 사람들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고, 많은 이들이 그 외침에 동조하고 있습니다. 사건을 통해 진리가 드…
  • [MD] 상록대학 온라인 종강식
    미주중앙일보 | 2020-07-01
    주정부 복구 단계 맞춰여름 프로그램 준비 중상록회(회장 최정근) 부설 상록대학은 지난 12일 오전 봄학기 종강식을 화상으로 개최했다.상록대학은 3월 3일 개강 2주 만에 코비드-19 비상사태로 인해 잠시 휴교에 들어갔다. 3월 30일 시사(강사 이인갑)를 시작으로 일…
  • [워싱턴 DC] 감동의 드라이브-스루 한국학교 종업식
    미주중앙일보 | 2020-07-01
    차 안에서 일어선 학생이 교사들에게 ‘사랑해요! 감사합니다!’ 메세지를 전하고 있다. 중앙한국학교(교장 한상준)가 13일 드라이브-스루 종업식을 했다.학부모와 학생, 교사들은 마스크와 장갑을 착용하고 오전 10시부터 정오까지 시상식 등을 진행했다.중앙한국학교는 코로나…
  • [IL] 시카고 한인업주 폭동 시위로 부상 첫 인적 피해
    미주중앙일보 | 2020-07-01
    벽돌 맞아 10여 바늘 꿰매고 치아 손상까지 [이재근씨 가족 제공]조지 플로이드 사망 이후 전국적인 인종차별 항의 시위 여파로 약탈과 방화가 자행되면서 한인 비즈니스 피해가 속속 확인되고 있는 가운데 시카고 한인 업주가 시위대의 벽돌에 맞아 부상당한 것으로 확인돼 충…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