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당 예배 집착 말고 가정 예배 회복해야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교회당 예배 집착 말고 가정 예배 회복해야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교회당 예배 집착 말고 가정 예배 회복해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국민일보| 작성일2020-07-03 | 조회조회수 : 3,803회

본문

호성기 목사의 선교의 ‘제4 물결’을 타라 <19>

3bb66112b482b1aab6892a200b54bd17_1593730701_0677.jpg
미국 필라안디옥교회 901목장 소속 성도들이 지난해 11월 미국 필라델피아 성도 가정에서 모임을 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가정 같은 교회, 교회 같은 가정’을 지향하는 필라안디옥교회는 매달 한 번씩 목장모임 때 자녀들이 예배를 인도한다.

‘내가 정말 알아야 할 모든 것은 유치원에서 배웠다’. 로버트 풀검이 써서 베스트셀러가 된 책이다. 이 책 제목에 비춰볼 때 내 삶은 이렇다. ‘내가 정말 알아야 할 모든 것은 가정예배에서 배웠다’.

나는 4대째 믿는 집안에서 태어났다. 4살부터 매일 저녁 온 가족이 모여 드리는 가정예배에서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배웠다. 매일 저녁 식사 후 드리는 가정예배는 가족 간 사랑이 깊어가고 실천하는 교회였다.

가정예배를 통해 첫째, 말씀과 기도 찬양으로 하나님과 매일 대면했다. 그래서 가정이 교회였고 교회가 가정이었다. 예배를 통해 주님을 만나고 교제하고 알아갔다.

한번은 찬송 부르는 것이 너무 좋아 할아버지와 함께 아는 찬송가를 1장부터 끝장까지 밤새 부른 적도 있었다. 그만큼 가족끼리 사회적인 거리감도 없었다. 온 가족이 가정예배를 통해 주님과 가족과 사랑으로 하나 됐다.

중학교 1학년 때 앞에 앉은 두 명의 친구가 있었다. 대전에서 1시간쯤 떨어진 시골에서 통학하던 친구였다. 점심시간만 되면 두 명은 슬그머니 교실을 빠져나갔다. 한번은 몰래 따라가 봤다. 수돗가에 가서 수돗물로 배를 채우고 있었다. 알고 보니 두 친구 모두 시골 고아원에 사는 원생이었다. 다행히 공부를 잘해서 대전의 명문 중학교에 합격했다. 고아원에서 학교에 보내줬지만, 도시락까진 챙겨 줄 수 없었던 모양이었다.

가정예배를 드릴 때마다 하루에 있었던 재미있던 일, 화난 일 등을 나누는 시간이 있었다. 도시락을 못 먹는 두 친구 이야기를 꺼냈다. 가족 모두가 마음 아파했다. 어머니가 이렇게 말씀하셨다. “우리도 어렵게 살지만, 너희 4남매가 조금씩 절약하면 그 아이들 도시락은 싸 줄 수 있을 것 같다.”

그다음 날부터 중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3년 동안 학교에 갈 때 어머니가 싸준 3개의 도시락을 들고 갔다. 그리고 그 친구들과 맛있게 먹었다. 돌이켜 보니 가정예배를 드리며 자란 가정이 교회였던 것 같다.

가난했던 그 시절 저녁마다 가정예배를 통해 매일 예수님과 교제했다. 주님 사랑 안에서 자랐다. 그리고 인생은 결코 혼자 사는 것이 아니라는 것, 예수님의 사랑으로 이웃을 도우며 사는 것이란 배움을 얻었다. 그것이 삶의 DNA가 됐다.

한 교회를 26년간 목회하면서 이렇게 살아온 삶이 자연스럽게 목양에 적용된 것 같다. 미국 필라안디옥교회도 3대가 함께 모여 드리는 가정예배를 드리도록 지도했다. 학사 에스라가 말씀을 나누었듯 각 가정에서 나무강단을 아빠들이 만들고 거기서 말씀을 나누도록 했다. 나의 아버지가 손수 만드신 앉은뱅이 나무강단에 성경을 펴놓고 가정예배를 인도하셨듯이 말이다. 가정마다 가훈을 만들어 액자에 걸도록 했다. ‘가훈 있는 가정이 명문 가문을 세운다’고 가르쳤다.

202006260010_23110924144651_2.jpg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사람들의 삶의 패턴이 달라지고 있다. 이전과 다른 ‘새로운 표준’(new normal)이 생겼다. 안전이 최우선 순위가 됐다. 안전을 위해 개인적인 친밀한 만남 대신 ‘비대면’(untact)이 일상이 됐다. 한국도 그렇지만 미국 사회도 지금 행정명령으로 ‘사회적 거리 둠’(social distancing)이 사회적 일상이 됐다.

인간의 역사에 예수 그리스도가 오심으로 BC와 AD의 전환점(turning point)이 생긴 것처럼 포스트코로나 시대는 우리의 모든 삶에 또 한 번의 새로운 전환점(new turning point)을 만들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생긴 위기를 조국 교회나 미주 한인 디아스포라 교회도 새로운 전환점으로 지혜롭게 만들어 가야 한다. 그동안 실추된 교회의 본질을 이번 기회에 회복해야 한다.

‘교회당 예배’에 몰입됐던 코로나 이전의 예배는 우리에게 큰 은혜와 감동이었다. 교회가 하나 되는 데 절대적 역할을 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도 교회당 예배에 더욱 힘써 모여야 한다. 온라인 예배에 익숙해지면 영적으로 게을러지고 나태해질 수 있다.

그러나 또 한편 ‘교회당 예배’에만 집착한 결과 우리의 자녀, 지역사회와 ‘비대면’이 됐다는 점도 부인할 수 없다. 내 교회 중심의 집단 이기주의로 ‘사회적 거리감’을 코로나 이전에 스스로 만들어 왔음을 회개해야 한다.

교회당 중심의 전통적 예배는 자녀들을 거의 잃어버리다시피 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는 대형집회나 많은 사람이 모여 드리는 집회가 불가피하게 줄어들 것이다.

이러한 위기의 때 다음세대를 살리는 가정예배를 회복해야 한다. 오늘도 필라안디옥교회는 이렇게 외친다. “지역교회는 가정 같아야 하고 가정은 지역교회 같아야 한다.” 가정 같은 지역교회가 돼 지역사회를 가족처럼 사랑으로 품어야 한다. 그래서 사회적 거리감을 없애며 지역사회의 존경을 받는 교회로서 본질을 회복해야 한다. 이것이 세계전문인선교회(PGM)가 주장하는 선교적인 교회의 7대 핵심 가치 중 하나다.

202006260010_23110924144651_3.jpg
호성기 목사 <세계전문인선교회 국제대표>


국민일보 정리=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95건 244 페이지
  • [CA] 디즈니랜드 재개장 결국 연기
    미주중앙일보 | 2020-07-03
    당초 내달 17일 계획 철회 디즈니랜드 재개장이 결국 연기됐다.디즈니는 24일, 애너하임 소재 디즈니랜드의 재개장을 무기한 연기한다고 밝혔다. 앞서 디즈니는 다음달 17일 디즈니랜드와 캘리포니아어드벤처파크 등 테마파크를 열 계획이었다. 하지만 개장을 미루라는 온라…
  • 처키치즈, 10억 달러 빚더미 속 파산
    미주중앙일보 | 2020-07-03
    25일, 챕터11 신청코로나19로 더 어려워져 패스트푸드 레스토랑과 키즈 게임방이 복합된 가족 놀이공간 ‘처키치즈(Chuck E. Cheese)’가 결국 파산 신청을 했다.처키치즈 모기업 CEC 엔터테인먼트는 오늘(25일) 챕터11 파산신청을 했다고 발표했다. C…
  • [CA] 한인회 2차 구호금 발송
    미주한국일보 | 2020-07-03
    ▶ 150명에 500달러씩 LA 한인회(회장 로라 전)가 코로나19 사태로 타격을 입은 150여명의 저소득 한인들에게 26일부터 2차 구호기금 발송을 시작한다.24일 LA 한인회는 한인 교회들과 독지가들의 기부로 모아진 2차 구호기금 12만6,000달러 중 7만5,0…
  • [CA] ‘한인타운 분리 반대’ 성공 2주년
    미주한국일보 | 2020-07-03
    지난 2018년 6월 19일 LA 한인타운 주민의회 분리안 선거 당시 커뮤니티의 적극적 참여로 한인타운 구역 분리를 막아냈던 캠페인 2주년을 맞아 LA 한인회(회장 로라 전)가 24일 기념 모임을 가졌다. 당시 한인사회는 똘똘 뭉쳐 기록적 투표 참여를 통해 분리 반대 …
  • 미군, 알카에다 표적살해에 ‘중세칼날 달린 첨단미사일’ 사용
    연합뉴스 | 2020-07-03
    ▶ 주변피해 줄이는 ‘스마트무기’…헬파이어에 긴 칼날 6개▶ 오바마 행정부가 분쟁지역 공습 때 민간희생 최소화하려 제작 R9X attacked car used to target and kill world-class terrorists. Photo = Rosenso A…
  • 코로나감염 2천만명?…CDC국장 '공식통계보다 10배 많을수도'
    연합뉴스 | 2020-07-03
    ▶ 혈액 샘플 조사로 추산… “팬데믹 끝나지 않았다” 로버트 레드필드 CDC 국장[AP=연합뉴스]미국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240만명에 달한 가운데 실제 감염자가 이보다 10배 더 많을 수 있다는 관측이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로부터 …
  • [CA] 6.25 전쟁 70주년 상기예배 온라인으로 중계
    크리스천 헤럴드 | 2020-07-03
    “6.25때 하나님 도우심 잊지 말아야” 강조코로나19 극복과 인종차별 종식위해 기도 6.25 70주년 상기예배 참가자들이 행사 후 만세 삼창을 하고 있다.6.25 전쟁 70주년 상기예배 및 남가주 범교민 기념대회가 25일 충헌선교교회에서 개최됐다.세계기도모임 서…
  • 미 군목 상당수 해외 태생 유색인종 – 크리스차너티투데이 추적보도
    크리스천 헤럴드 | 2020-07-03
    육군 군종 19%, 해군 10%가 이민자 케냐 출신의 육군 군종(가운데 성경 든 사람)이 파병부대 훈련 현장에서 예배를 인도하고 있다. 크리스차너티투데이 제공군대에서 군종들은 사병들의 상담과 사기진작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투에 직접참가하게 되…
  • UNTACT 시대의 리더십 솔루션
    미주크리스천신문 | 2020-07-03
    영국에서 강아지 품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언택트(Untact) 시대, 어떻게 적응할 것인가? 언택트는 접촉을 뜻하는 콘택트(contact)에 반대를 뜻하는 'Un-'을 붙인 코로나19 사태 이후 생긴 신조어 중 하나다. 비접촉이라는 의미이다. 코로나 사태는 세계적 재…
  • [발행인 칼럼] 아버님의 낡은 노트
    미주크리스천신문 | 2020-07-03
    나는 장로님이셨던 아버님으로부터 유산을 제대로 받았다. 하나는 무형의 유산이고 다른 하나는 유형의 유산이다. 물론 아버님께서는 그 두 가지 유산을 남기시면서 “이것이 네게 주는 유산”이라는 말씀을 하지 않으셨다. 그래도 그 유산 때문에 나는 부요하게 산다. 무형의 유산…
  • '성별은 태어날 때 결정'
    미주크리스천신문 | 2020-07-03
    NYT, 트럼프행정부 보건 분야 트랜스젠더 권리보장법안 철회 보도 트럼프 행정부가 보건 분야에서 트랜스젠더(성전환자)의 권리를 보장하는 법안 철회를 확정해 논란이 예상된다. 보수적인 백인 크리스천들의 지지를 받고 백악관에 입성한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전 오바마 행정…
  • 떠난 교인을 다시 부르는 5가지 방법
    미주 크리스찬투데이 | 2020-07-03
    남가주에서 목회하는 A 목사는 최근 교회를 다시 열어도 좋다는 정부 당국의 발표에 따라 3개월간 닫은 교회 문을 다시 열려고 한다. 평소 50명 내외 출석하던 교회 크기는 주 정부가 요구한 건물 수용 인원의 25% 이내 또는 100명 이하 한도 조건을 충족하기에는 어려…
  • 문화로 성경읽기(43) - 제 몫을 다하는 ‘삶으로 드리는 예배’를 생각합니다
    미주 크리스찬투데이 | 2020-07-03
    예배자, 예물, 예배 도우미의 세 가지 몫을 다하는 일상이면 좋겠습니다. ▲ 목축하는 이가 제물로 바칠 희생물을 고르는 것 자체가 고통이었을 것 같다. 그런 면에서 예물 자체는 어떤 면에서 예물바치는 이 자신이었을 것이다.온라인 예배, 비대면 예배 등 전혀 생각지 못…
  • 한국 가곡 챌린지 만든 소프라노 클라라 김. 미주 한인교회와 동포사회에 힘 되고 싶어
    미주 크리스찬투데이 | 2020-07-03
    유튜부 채널 클라라 김 통해, 한국 가곡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챌린지 형식 영상 모음 제작 ▲ 다수의 한인 음악가가 출연해 한국 가곡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를 불렀다. © 크리스찬투데이코로나 19로 인해 교회 및 단체 활동이 움츠러든 요즘. 그래도 은혜로운…
  • 교회당 예배 집착 말고 가정 예배 회복해야
    국민일보 | 2020-07-03
    호성기 목사의 선교의 ‘제4 물결’을 타라 <19> 미국 필라안디옥교회 901목장 소속 성도들이 지난해 11월 미국 필라델피아 성도 가정에서 모임을 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가정 같은 교회, 교회 같은 가정’을 지향하는 필라안디옥교회는 매달 한 번씩 목…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