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멈춰선 70년…미네소타 가는 곳마다 한국전 사연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취재수첩] 멈춰선 70년…미네소타 가는 곳마다 한국전 사연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취재수첩] 멈춰선 70년…미네소타 가는 곳마다 한국전 사연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미주중앙일보| 작성일2020-07-03 | 조회조회수 : 3,551회

본문

3bb66112b482b1aab6892a200b54bd17_1593733506_1369.jpg

19일 오후 3시, 출장 일정을 끝내고 미네소타를 떠나기 전이다. 잠시 미니애폴리스 다운타운에 들려 5가 인근의 밥 딜런 벽화 앞에 섰다.

미네소타는 밥 딜런이 나고 자란 곳이다. 그는 평화를 노래했다. 흥얼거림은 인식으로 스민다. 아무래도 이곳 사람들은 음률을 입은 그의 가사를 좀 더 음미하며 들었을 거다.

그래서일까. 조지 플로이드가 짓눌렸던 그 자리에는 지금 평화의 생기가 움튼다.

미네소타주는 애칭이 있다. '미네소타 나이스(Minnesota Nice)’. 이곳의 기운이 묻어나는 별칭이다.

미네소타에서 나눈 여담을 잠시 적는다. 이곳의 겨울은 미국 내에서 손꼽을 정도로 춥다. 북유럽 이민자가 많은 이유다. 이곳 사람들은 혹한을 이타심으로 이겨낸다. 미네소타에서 45년째 산 한현숙(전 미네소타아동복지회)씨는 “한 예로 한겨울에 차가 멈춰버리면 너무 춥기 때문에 정말로 위험한 곳이 여기”라며 “그래서 차가 멈추면 너도나도 와서 도와주는 게 미네소타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미네소타의 혹한은 한국과 인연으로 닿았다. 한국전쟁 당시 추위에 익숙한 병사가 필요했던 탓에 미네소타의 병사들이 대거 차출됐다.

정전협정 뒤에도 미네소타와 한국의 인연은 계속됐다.한인 입양아도 많다. 미네소타 입양 역사 이면에는 한국전이 있다. 미네소타대학은 서울대학교에 학문과 기술을 전수하는 프로그램(미네소타 프로젝트)을 진행한다. 연간 75만 달러(현재 가치로 약 710만 달러)를 투입했다.

취재 도중 그 당시 미국행 비행기 삯을 듣고 할 말을 잃었다. 미네소타대학 송창원 박사(88)를 만났다. 방사선 생물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다. 그런 송 박사가 뜬근없이 퀴즈 하나를 냈다. 그는 1세대 국비 유학생(1959년 9월)이다.

“장 기자, 내가 유학올 때 비행기표 값이 얼마였을 것 같아요.”

나는 1979년생이다. 맞출 리가 없다.

“950달러였어요. 그 당시 한국의 국민소득이 60달러대였으니 상상이 되십니까.”

미네소타대학이 한국을 돕기 위해 매년 지원한 금액이 어느 정도 규모인가를 가늠해본 대목이다.

이 대학 농과대학 부속 식물원에는 한국산 식물 수십 종이 있다. 한국전 후 미네소타대 교수들이 한국에 나가 가르치고 돌아오면서 가져온 것들이다. 미네소타에서 태양광 회사 EVS를 운영하는 김권식 대표는 이곳에 ‘한국의 언덕’ 제작을 추진중이다. 식물원 측과 어느 정도 논의가 오간 상태다.

인연은 여러 면에서 공교롭다. 미네소타는 작가 찰스 슐츠의 고향이다. 그는 미국인의 사랑을 듬뿍 받은 만화 캐릭터 찰리브라운과 스누피를 그려냈다. 한편으로는 ‘찰리 브라운’하면 김시스터스(The Kim Sisters·1953년 결성)다. 한국전 이후 미군 부대에서 인기를 끌다가 1959년 미국에 진출한 원조 케이팝 걸그룹이다. 이들이 부른 찰리 브라운(1962년)은 아직도 미네소타 사람들 기억에 남아있다.

한국전쟁은 ‘잊힌 전쟁(Forgotten War)’으로 불린다. 당사자에게 그때의 기억을 묻는 건 상당히 조심스럽다. 전쟁은 실제다. 악몽을 소환해야 한다. 추상적 질문은 구체적인 답변을 요구해서다. 질문자와 답변자 사이의 괴리다.

대신 이곳에는 흔적이 많다. 한국과의 접점들이다. 그 자취는 저마다 인연을 담아낸다. 종적을 따라간 건 답을 듣기 위한 과정이었다. 미네소타는 한국전의 ‘사실’을 70년이 흐른 지금도 사연으로 말하고 있다.


미주중앙일보 koreadaily.com 장열 기자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61건 240 페이지
  • [GA] 앨라배마 주민, 뉴욕 가면 14일 격리
    미주중앙일보 | 2020-07-03
    뉴욕·뉴저지·코네티컷 등 3개주앨라배마 등 9개주 방문자 격리위반시 최대 1만달러 범칙금도 앨라배마 주민들이 뉴욕을 방문하면 14일간 자가격리를 해야만 한다. 한때 미국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의 진앙지로 불리던 뉴욕주가 이제는 다른 주에서 온 방…
  • [NY] 고교생 대상 여름 인턴십…뉴욕한인회, 7월13일부터
    미주중앙일보 | 2020-07-03
    뉴욕한인회(회장 찰스 윤)가 고교생 대상 여름 인턴십 프로그램을 시작한다.뉴욕·뉴저지·커네티컷주 등 트라이스테이트 지역 고교생으로 10~12학년생들을 우선적으로 뽑지만, 한인 커뮤니티에 관심이 많은 열정적인 9학년생도 신청이 가능하다.한인회측은 “인턴십에 참여하는 학생…
  • [NY] 바울신학원 2020 여름 특강
    주중앙일보 | 2020-07-03
    기독교 변증학, 복음적 접촉점온라인 ‘줌’ 통해 무료강좌 바울신학원(원장 김동수 박사·사진)이 오는 29일(월) 오후 7시(미 동부시간, 한국시간은 30일(화) 오전 8시) ‘기독교 변증학: Preparatio Evangelica-복음적 접촉점의 발견’이란 주제로 …
  • 美 코로나 감염 2300만명? 보건수장 '통계보다 10배 많을듯'
    한국 중앙일보 | 2020-07-03
    로버트 레드필드 질병통제예방센터 소장. 로이터=연합뉴스미국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공식 통계보다 10배 많은 2000만명 이상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무증상 감염자를 포함할 경우 확진자가 더 많을 수 있다는 것이다.25일(현지시간) …
  • WHO의 슬픈 예측 '다음주 확진 1000만 돌파, 정점 아니다'
    한국 중앙일보 | 2020-07-03
    "미국? 중남미 아직 정점 아니다" 산소공급기 등 장비 부족 극심해질 듯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2차 확산 조짐이 나타나는 가운데 24일(현지시간) 세계보건기구(WHO)가 전세계 누적 확진자 수가 다음주 10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또 미…
  • [CA] LA평통 10차 사랑나눔 전달식
    미주중앙일보 | 2020-07-03
    25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LA협의회(회장 에드워드 구)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커뮤니티 사랑나눔 전달식을 열었다. 이날 LA평통은 남가주한인요식업협회(회장 김용호) 측에 2000달러 상당의 손 소독제를 전달했다. 평통 측은 5·18 민주화운동 기념재단이 손 소독제 …
  • 유명 편의점 KF94 마스크, 알고보니 겉포장만 비슷한 가짜
    한국 중앙일보 | 2020-07-03
    피해 업체, 검찰 고소 사진은 지난 3월 경찰이 압수한 가짜 KF94 마스크. 이처럼 가짜 마스크 사기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유명 편의점에서조차 가짜 마스크가 판매된 사실이 드러나 검찰이 수사에 나섰다. 연합뉴스 유명 편의점이 질 낮은 가짜 마스크를 판매해온 것…
  • [CA] 참전용사비 위해 1만 달러 쾌척
    미주중앙일보 | 2020-07-03
    은혜한인교회, 건립위에 전달한기홍 목사 “뜻깊은 프로젝트”노명수 회장 “모금 기폭제 기대” 지난 24일 풀러턴의은혜한인교회에서 한기홍(왼쪽 세 번째부터 차례로) 담임목사가 1만 달러 기부금 수표를 기념비 건립위 노명수 회장에게 전달하고 있다. 왼쪽 끝부터 건립위 강석…
  • [CA] 신선한 딸기·채소 직접 따니 '꿀맛이네'
    미주중앙일보 | 2020-07-03
    가족 나들이 인기 농장들 3만 스퀘어 부지에 테마별로 과일, 야채 밭이 조성된 어바인의 타나카 농장에서 한 가족이 딸기를 따고 있다. 박낙희 기자코로나 이동 및 경제활동 제한 규제가 완화되면서 주말이면 나들이에 나서는 가족들이 늘고 있는 가운데 자연의 맛을 즐길 수 …
  • SNS 차별 발언에 대학 합격 취소 속출
    미주중앙일보 | 2020-07-03
    학교 급우·대학 동문들 제보해사 등 주·사립대 감시 강화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 이후 미 전역에 인종차별 반대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개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린 인종차별적인 발언이나 내용이 드러나 대학에서 합격 취소 통보를 받는 예비 입학생들이…
  • 재선 가시밭길 되자 트럼프 관세폭탄 다시 '꿈틀'
    연합뉴스 | 2020-07-03
    무역협정 잉크 마르기 전 캐나다 알루미늄 위협유럽 항공기·중국 랍스터·한국 타이어도 표적"'관세맨' 트럼프, 재선 어려워지자 또 '아메리카 퍼스트'" (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뿐만 아니라 동맹국인 유럽, 캐나다, 한국에도 줄…
  • '2050년 미 정부 부채, GDP 대비 220%…최근 일본 수준'
    연합뉴스 | 2020-07-03
    (서울=연합뉴스) 유택형 기자 = 미국의 정부 부채가 30년 후인 2050년에는 일본처럼 국내총생산(GDP) 대비 2배 수준으로 급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고 경제전문 매체 마켓워치가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정치적 중립 성향의 재정·경제 분야 싱크탱크인 '책임 있…
  • [취재수첩] 멈춰선 70년…미네소타 가는 곳마다 한국전 사연
    미주중앙일보 | 2020-07-03
    19일 오후 3시, 출장 일정을 끝내고 미네소타를 떠나기 전이다. 잠시 미니애폴리스 다운타운에 들려 5가 인근의 밥 딜런 벽화 앞에 섰다.미네소타는 밥 딜런이 나고 자란 곳이다. 그는 평화를 노래했다. 흥얼거림은 인식으로 스민다. 아무래도 이곳 사람들은 음률을 입은 그…
  • '목숨 걸고 싸웠던 땅 꼭 다시 가보고 싶어'
    미주중앙일보 | 2020-07-03
    총영사관 6·25 70주년 기념식'평화사도' 메달 받은 노병들한국 번영·통일 한마음 기원 25일 LA총영사관저에서 평화의 사도 메달을 받은 한국전쟁 참전용사들. 왼쪽부터 진 딘 로이볼•조셉 칼 잰버란•아놀드 실버맨•노먼 제임스 압보드.“한국전쟁 끝나고 돌아왔을 때는 …
  • [CA] 뉴섬 지사 '자택대피 다시 할 수도'
    미주중앙일보 | 2020-07-03
    LA카운티 확진자 3205명 급증LAPD·LAFD 직원 280명도 확진 코로나19 바이러스가 LA경찰국(LAPD)과 LA소방국(LAFD)도 위협하고 있다.24일 데일리뉴스에 따르면 지금까지 LAPD 경관 220명과 LAFD 소방관 60명이 코로나19에 감염됐다. …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