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70주년, 소설 [대지] 작가 '펄 벅'이 한국에 남긴 것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한국전쟁 70주년, 소설 [대지] 작가 '펄 벅'이 한국에 남긴 것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한국전쟁 70주년, 소설 [대지] 작가 '펄 벅'이 한국에 남긴 것

페이지 정보

작성자 뉴스M| 작성일2020-07-07 | 조회조회수 : 4,012회

본문

극단의 시대에 사랑으로 지역과 인종의 경계를 허문 펄 벅, 부천 펄벅기념관에 남은 그녀의 흔적

23015_42398_4821.jpg
부천펄벅기념관에 소장된 펄벅 여사 관련 자료들 (사진=황재혁 기자)

지난 6월 26일은 소설 [대지]로 노벨문학상을 받은 펄 벅(Pearl S. Buck)이 미국 웨스트버지니아에서 선교사의 딸로 태어난 지 128주년 되는 날이었다. 비록 펄 벅은 1973년에 미국 버몬토에서 81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지만, 지금까지도 펄 벅을 기억하고 그녀의 사랑과 헌신에 감사하는 사람들이 한국과 중국 등지에 남아있다. 펄 벅은 한국전쟁 이후에 한국을 여러 차례 방문해 1967년 부천시 심곡동에 [소사희망원]을 설립했고 이곳에서 불우한 아동, 전쟁고아 및 혼혈아를 지원했다.

그렇기에 한국전쟁 70주년을 맞아 펄 벅의 생애를 되짚어보는 것은 아프고 슬픈 우리의 역사 속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사랑과 희망을 발견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그래서 본지는 과거 [소사희망원]이 있던 자리에 설립된 [부천펄벅기념관]을 방문해 그녀의 생애와 흔적을 조금이나마 살펴볼 수 있었다. 코로나19로 인해 [부천펄벅기념관]은 지난 2월 24일부터 휴관하고 있지만, 관계기관의 협조를 통해 기념관 내부와 주변을 둘러볼 수 있었다.

선교사의 딸에서 노벨문학상을 받기까지

1892년 6월 26일에 미국 웨스트버지니아 힐스보로에서 태어난 펄 벅은 태어난 지 3개월 만에 선교사인 부모님과 함께 중국으로 건너갔다. 펄 벅의 부모님은 펄 벅이 태어나기 전에 이미 중국에서 선교사로 1880년부터 활동했다. 그러나 선교 과정에서 펄 벅의 부모님은 장남 에드거는 건강하게 잘 키웠지만, 그 이후에 태어난 세 아이들을 먼저 하늘나라로 떠나보내야만 했다. 펄 벅의 어머니는 척박한 선교 현실에 지쳐 미국으로 돌아가자고 말했고, 2년간의 휴가기간 이후에 미국에서 펄 벅이 탄생한 것이었다.

펄 벅이 탄생하고 펄 벅의 부모님은 어린 펄 벅을 데리고 중국에 가는 것이 심히 고민스러웠다. 그러나 펄 벅의 어머니는 먼저 중국에서 떠나보낸 세 아이들을 생각하며 다시금 중국 선교에 헌신하기로 결심했다. 그리하여 펄 벅 여사는 태어난지 3개월 만에 가족과 함께 중국에 가게 된 것이었다. 펄 벅에게 중국은 제2의 고향과 같은 곳이었지만, 미국인으로서 펄 벅은 어릴 적에 중국아이들로부터 늘 ‘양키체’라고 놀림을 받았다. ‘양키체’는 외국 악마라는 뜻이었고 그 놀림으로 펄 벅은 자신이 미국인도 중국인도 아닌 두 개의 세계 속에서 주변인으로 살고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중국에서 유년기를 보낸 펄 벅은 1910년 9월에 미국 버지니아 주 린치버그에 있는 [랜돌프-메이컨 여자대학]에 입학했다. 그 대학은 기독교 여학교였으며, 미국에서 여대가 흔하지 않은 때였기에 펄 벅은 여대생으로서 당시 사회적 약자로 차별받은 여성의 무한한 잠재성에 대해 깊이 생각해볼 수 있었다. 대학을 졸업하고 펄 벅은 농부의 아들로 코넬대학에서 농업경제학이라는 분야로 학위를 딴 존 로싱 벅을 중국에서 처음 만나고, 1917년 5월 30일에 결혼하기에 이르렀다.

0cf61165187d7f6009472c6a6414b8ea_1594056922_3779.jpg
부천기념관 앞에 전시된 펄벅의 흉상 (사진=황재혁 기자)

그러나 결혼 이후에 펄 벅의 삶은 순탄하지 못했다. 그것은 존 로싱 벅과 펄 벅 사이에서 태어난 캐럴이 대사 장애 유전병인 페닐케톤뇨증에 걸려 영구 장애라는 진단을 받게 되었기 때문이다. 펄 벅은 이후에 자궁에 종양제거수술을 받아 더 이상 아이를 출산할 수 없었고, 존 로싱 벅과 펄 벅의 관계는 점점 냉랭해졌다.

1924년부터 펄 벅은 자신의 불행과 아픔을 스스로 극복하고자 펜을 들고 글쓰기에 몰입했다. 그녀는 자신이 직접 경험한 중국의 사회상을 소설로 풀어내기 시작했다. 중국의 사회상을 반영한 그녀의 작품이 [중국 여성은 말한다], [비오는 날], [동풍 서풍]이었는데, [동풍 서풍]이 예상외로 성공을 거두자 펄벅은 새로운 장편소설을 집필하게 되었다. 그 새로운 장편소설이 바로 [대지]였고, [대지]는 1931년 3월에 출간하자마자 미국은 물론 전 세계 독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으며 1932년까지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펄벅에게 [대지]는 자신의 딸을 위한 소설이자 자신이 가장 잘 아는 중국 여인들의 고달픈 삶을 소재로 쓴 소설이었는데, 이 소설 덕분에 펄 벅은 미국에서 퓰리처상을 받고, 1938년에는 46세의 나이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 펄 벅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미국에서는 싱클레어 루이스, 유진 오닐에 이서 세 번째 수상이었다.

전쟁고아와 혼혈아에 관심을 가지는 펄 벅

이후 펄 벅은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전쟁과 정치 문제에 깊게 개입했다. 그리고 미국의 인종차별주의에 대한 글도 발표하며 사회적 차별과 인종 문제에 침묵하지 않았다. 펄 벅은 비록 자신의 몸이 아파서 직접 아이는 낳을 수 없었지만, 여러 고아들을 자신의 딸로 입양하며 사랑을 실천했다. 펄 벅은 아시아 등지에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미국군인과 아시아여성 사이에서 수천 명의 아이들이 태어났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그들을 섬기고자 [웰컴하우스]를 설립했다.

1960년에 펄 벅은 한국을 처음 방문했고 다른 아시아 지역과 마찬가지로 한국에도 미국군인과 한국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아들이 많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1965년에 [한국펄벅재단]이 설립되고, 1967년에 부천시 심곡동에 [소사희망원]이 세워지면서 펄 벅의 박애정신과 인권존중사상이 한국에 뿌리내리기 시작했다. 펄 벅은 한국을 소재로 [한국에서 온 두 처녀], [살아있는 갈대], [새해]와 같은 문학작품을 남겼고, 1973년 미국 버몬토에서 생을 마감했다.

소사희망원이 부천펄벅기념관이 되기까지

1967년에 설립된 [소사희망원]은 유일한 박사로부터 기증받은 유한양행 공장을 개조해 처음 만들어졌다. 약 1,500여명의 전쟁고아 및 혼혈아들에게 보금자리를 제공하고 그들의 어머니들에게도 직업훈련을 시켰던 [소사희망원]은 원생들이 나이가 들어 [소사희망원]을 떠나면서 서서히 원생이 줄어들었다. 그리하여 [소사희망원]은 설립된 지 9년 8개원만인 1976년에 폐원하고, 이 토지는 오랜 기간 개인 소유지로 전환되었다.

이후 1999년에 당시 부천시의회 홍인석 의원이 ‘펄벅기념관 조성에 대한 제안’을 하면서 기념관이 부천에서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그래서 부천시에서 ‘펄벅기념관 조성 추진팀’을 구성해, 개인 소유지였던 [소사희망원] 부지를 부천시에서 매입하려고 준비했고, 2005년 5월에 매입한 부지에 공사가 시작되어, 2006년 9월 28일에 [부천펄벅기념관]이 준공됐다.

전체 대지면적 916평에 건축된 [부천펄벅기념관]에는 생전의 펄 벅의 활동모습이 담긴 사진, 출간저서, 펄 벅의 일대기가 담긴 비디오, 초상화 및 펄 벅이 사용했던 총 160여 점의 유물이 전시돼 있다. 기념관은 크게 ‘상징공간’, ‘펄 벅의 생애 공간’, ‘휴머니스트 펄 벅 공간’, ‘문학가로서의 펄 벅 공간’ 이렇게 4개 테마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념관 건물 바깥에는 외부 조경시설이 마련되어 관람객들이 산책을 할 수 있도록 코스가 조성되었다.

[부천펄벅기념관]의 관계자는 “올해에 코로나로 인해 기념관이 휴관하고, 여러 행사를 진행하지 못하는 것이 조금 아쉽다”고 말하면서, “그렇지만 펄 벅의 생애를 기억하는 것은 인종갈등이 빈번한 세상에서 박애정신과 인권의 중요성을 깨닫는데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뉴스M=황재혁 기자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68건 232 페이지
  • 캘리포니아, 현장 예배 시 당분간 찬송 못 부른다
    미주 크리스천투데이 | 2020-07-07
    시행일로부터 21일간 유효 캘리포니아주에서 예배시 당분간 찬송을 부르지 말라는 주 권고가 떨어졌다. CNN등 미 주류언론들은 3일 캘리포니아주 공중보건국(California Department of Public Health, CDPH)의 새 행정명령을 인…
  • “다시 교회 마당 밟고파…”
    미주 크리스천투데이 | 2020-07-07
    방역과 거리두기외에도 ‘투명 가로막’ ‘입구와 출구 분리’ 등 코로나 19에 따른 자택 대피령이 완화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 주마다 교회 예배에 관한 조건부 허용이 이뤄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주 한인교회 중에서도 최근 교회에서 드리는 예배를 다시 시작한 …
  • 팀 켈러가 말하는 ‘마음을 움직이는 설교’
    아멘넷 뉴스 | 2020-07-07
    성경을 어떻게 설교해야 하는지에 대한 좋은 책들은 넘쳐난다. 하지만 마음을 움직이는 설교에 관한 책들은 그리 많지는 않다. 그런데 '팀 켈러의 설교’(두란노, 2016년)는 마음을 움직이는 설교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이 책에서 팀 켈러는 “설교란 단지 텍스트를 설명…
  • 미주한인예수교장로회, 코로나19로 어려운 46개 교회 지원
    아멘넷 뉴스 | 2020-07-07
    미주한인예수교장로회(KAPC, 총회장 조문휘 목사)는 제44회 총회를 유례없는 온라인 총회로 마쳤다. 이후 여전히 대면으로 만나기는 어려운 환경이지만 활기찬 사업들을 시작했다. 1. 총회장 조문휘 목사는 “제44회기를 시작하는 이 시점에서 하나님께서 …
  • 황영송 목사와 A.R. 버나드 목사 대화 동영상 "인종차별과 정의"
    아멘넷 뉴스 | 2020-07-07
      흑인 조지 플로이드의 인종차별적인 죽음 후에 그 후폭풍이 미국 전역을 몰아쳤다. 긴장감이 흐르던 6월 11일 인스타그램 생방송을 통해 뉴욕수정교회 황영송 목사와 뉴욕의 대표적인 흑인 목회자인 A.R. 버나드 목사(Christian Culture Center)가 "인…
  • 한인교회 현장예배 재개 - 51% 성도가 즉시 참가에 부정적
    아멘넷 뉴스 | 2020-07-07
    코로나 팬데믹으로 3개월 이상 문을 닫았던 뉴욕과 뉴저지 교회들이 문을 열고 있다. 교회 현장예배를 재개하는 것을 두 가지 측면에서 볼 수 있다. 하나는 목회자와 성도들이 교회에서 드리는 예배를 사모하고 속히 교회문이 열리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하지만 다른 …
  • [NY] 뉴욕교협, 사랑나눔 60교회 지원 - 지금 신청하세요
    아멘넷 뉴스 | 2020-07-07
      뉴욕교협(회장 양민석 목사)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하여 재정이 어려워져 교회건물 렌트비를 내지 못하는 교회, 그리고 질병 등으로 어려운 목회자들을 돕기 위하여 회원교회들의 성금을 받아 선착순 60개 교회를 지원한다. 신청접수 기간은 7월 1일(수)부터 8일(수)…
  • [NY] 100개 교회들이 함께 힘들었던 뉴욕을 축복찬양하다
    아멘넷 뉴스 | 2020-07-07
      100개 교회와 기관들이 함께 뉴욕을 축복하며 “The Blessing”를 불렀다. 7월 2일(목) 오전 9시30분 함께 불러지고 유튜브에 공개된 이 영상은 ‘The New York Blessing’라는 프로젝트로 진행됐다. 2020년 뉴욕은…
  • 87% 미국 크리스찬 “미국은 하나님의 축복을 받았다”
    아멘넷 뉴스 | 2020-07-07
    7월 4일 미국 독립기념일을 맞이하여, 바나 리서치는 미국 성인과 미국 크리스찬들이 미국을 보는 시각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여기에서 말하는 ‘크리스찬’을 바나 리서치는 “practicing Christians”라고 표현했는데, 이는 자칭 크리스찬…
  • 이종식 목사 “온라인 예배가 현장 예배를 대신할 수 없어”
    아멘넷 뉴스 | 2020-07-07
    요새 크리스천 신문을 보면 전염병의 일로 앞으로의 신앙생활의 변화는 이렇게 일어날 것이라는 수많은 예측을 접하게 됩니다. 그러한 예측 가운데 우리 성도님들은 많은 혼란스러운 생각을 하게 되실 것이라 판단됩니다. 그 첫째는 과연 내가 지금 드리는 온라인 예배가 성경에서 …
  • [NY] 딸에게 목사로 인정받은 고 안성국 목사 장례예배
    아멘넷 뉴스 | 2020-07-07
    뉴욕능력교회 안성국 목사가 60세를 일기로 7월 2일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장례예배가 진행됐다. 환송예배는 5일(주일) 오후 6시 기감 미주자치연회 뉴욕서지방 주관으로 뉴저지 중앙장의사에서 열렸다. 입관예배는 6일(월) 오전 10시 웨체스터 교회협의회 주관으로, 이…
  • 김성국 목사 “팬데믹 이후 최적의 전도환경이 만들어져”
    아멘넷 뉴스 | 2020-07-07
    뉴욕교협(회장 양민석 목사)은 코로나19 사태이후 변화된 교회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뉴욕! 포스트 팬데믹, 교회는 어떻게 가야 하나?"라는 주제의 포럼을 6월 22일(월)부터 24일(수)까지 개최했다. 첫날 열린 포럼에서 김성국 목사(퀸즈장로교회)는 “지역…
  • 캘리포니아 교회에 대한 찬양금지 행정명령은 지나치다
    아멘넷 뉴스 | 2020-07-07
    미국에서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7월 2일에는 일일 신규 확진자가 최고치를 기록해 최소 5만5,220명의 신규 확진자가 나왔다. 재확산 우려로 23개의 주가 경제 재개방에 제동을 걸었다. 1. 코로나19가 확산되고 있는 캘리포니아 주도 재개방을 중단하…
  • 최호섭 목사 “팬데믹 이후 작은 교회들이 영적운동을 이끌어 나가야”
    아멘넷 뉴스 | 2020-07-07
    뉴욕교협은 코로나19 사태이후 변화된 교회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뉴욕! 포스트 팬데믹, 교회는 어떻게 가야 하나?"라는 주제의 포럼을 6월 22~24일 개최했다. 마지막 날 포럼은 24일에 후러싱제일교회에서 열려 패널 최호섭 목사(뉴욕영락교회)가 “중소형 교회 …
  • 하나님에게서 동등하게 피조 자유와 행복 추구해 나간다!
    미주크리스천신문 | 2020-07-07
    제244주년 독립기념일, 의미 되새기는 날 되길 연일 재확산 추세로 돌아선 코로나19, 또한 인종차별로 인한 미국사회의 갈등과 분열이라는 상황 속에서 제 244주년 독립기념일이 다가온다. 백악관은 오는 7월 4일 대규모 국가 행사(“2020 Salute to…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