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준석 칼럼] 저스트 머시(Just Mercy)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송준석 칼럼] 저스트 머시(Just Mercy)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송준석 칼럼] 저스트 머시(Just Mercy)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미주중앙일보| 작성일2020-07-07 | 조회조회수 : 4,552회

본문

132858404.jpg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져 작년 말에 개봉했던 화제작, 저스트 머시(Just Mercy)를 최근에 봤다. 많은 독자가 느꼈겠지만, 올해 5월에 있었던 조지 플로이드(George Floyd)의 죽음으로 인종차별에 대한 미국 사회의 전반적인 인식이 높아졌다. 이 영화의 배급사인 워너 브라더스(Warner Bros. Pictures) 또한 일반 대중의 인종차별에 대한 이해도가 더 깊어졌으면 하는 바람으로 6월 한 달간 영화를 무료로 공개했는데 많은 사람이 보았으리라 생각된다. 영화로 제작되기 전 2014년에 출판된 동일 제목의 책은 뉴욕 타임스(New York Times) 베스트셀러로 선정되었고 그동안 미국의 사회적 불평등에 경종을 울리는 역할을 톡톡히 해왔다.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이 책을 집필한 브라이언 스티븐슨(Bryan Stevenson)은 델라웨어(Delaware) 주 출신의 흑인이다. 저스트 머시에서 저스트(Just)라는 단어는 ‘오직,’ ‘단지’라는 뜻도 있지만 ‘공정,’ ‘공평’한 뜻도 있다. 머시(Mercy)는 ‘자비’라는 뜻도 있지만 사법계에서는 ‘감형,’ ‘사면’이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는 제목이지만, 저자는 이 제목을 쓴 이유가 美 사법체계가 연민(compassion)과 자비(mercy)를 결핍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스티븐슨은 펜실베이니아(Pennsylvania) 주의 기독교 대학인 이스턴 대학(Eastern University)을 1981년에 졸업하고 하버드 로스쿨(Harvard Law School)에 진학한다. 독실한 기독교인인 그는 로스쿨 진학 전부터 사회적 약자를 돕는 일에 관심을 가졌었다. 그는 로스쿨 재학 당시 사형선고를 받은 가난한 죄인들을 변호해주는 美 남부의 비영리 로펌(law firm)에서 일했고 졸업 후에도 이 일에 헌신하기로 마음먹는다.

0cf61165187d7f6009472c6a6414b8ea_1594055655_7098.jpg


영화 저스트 머시는 스티븐슨이 변호사 초창기 시절인 1989년도부터 앨라배마(Alabama) 주에서 활동한 내용을 다룬다. 그는 살인죄로 사형선고를 받은 월터 맥밀리언(Walter McMillian)을 만난 후 이 사건을 검토했는데 수사기록에 허점이 너무 많다는 것을 발견한다. 맥밀리언이 단지 흑인이라는 것 때문에 부당하게 기소되었음을 발견한 그는 사건을 다시 조사했고 긴 시간의 공방 끝에 1993년 앨라바마 주 대법원(Supreme Court of Alabama)에서 무죄 선고를 이끌어낸다. 이 과정 속에서 스티븐슨은 살해 협박을 비롯해 일을 방해하는 각종 모략을 경험하지만 믿음과 신념을 가지고 어려움을 헤쳐나가는 모습이 영화에 잘 나타나 있다. 그리고 이제 이일을 시작한 지 30년이 지났다. 그는 지금까지 140명이 넘는 사형수의 목숨을 구했고 그 과정에서 다수의 사건을 美 연방대법원(U.S. Supreme Court)에서 승소하기도 했다.

개인적 이익만을 추구하는 것이 일반적이 된 이 현실에서 스티븐슨의 헌신은 우리에게 많은 바를 시사하고 있다. 하버드 로스쿨 졸업 후 어디든 가서 일을 할 수 있었던 그는 세상에서 가장 낮은 곳 중의 하나인 감옥으로 향해 사형수들을 무료로 변호해주는 일을 시작했다. 2014년, 한 매체(Evangelicals for Social Action)와 했던 인터뷰에서 그는 하나님을 믿는 믿음이 지금까지의 모든 결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음을 나눈다. 기독교 대학을 졸업하고 본인이 가지고 있던 기독교 세계관을 직업과 연계하여 섬기고자 했는데 가난한 수감자를 돕는 것이 직업으로 연결된 것이었다. 사회적 책임감을 하나님이 주신 능력으로 발휘할 수 있는 섬김이었기에 그에게는 이 일이 기쁨이고 축복이었던 것이었다.

기독교 대학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필자도 스티븐슨의 일생을 돌아보며 이것이야 말로 기독교 교육의 핵심이자 이 교육이 맺고자 하는 열매임을 되돌아봤다. 지식 전달도 교육의 일부이지만, 기독교 교육의 핵심은 학생들이 성경을 기반으로 한 세계관을 가지는 것이고, 또한 이를 통해 그들이 삶의 모든 부분에서 하나님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마 6:33).

저스트 머시를 보며 한동대학교의 故 김영길 초대 총장이 늘 외쳤던 ‘공부해서 남 주자’라는 말이 머릿속을 계속 스쳐 지나갔다. 공부를 하는 이유도, 삶을 사는 목적도 오직 하나님이라는 것을 스티븐슨이 잘 보여준 것 같아 감사했고, 이러한 예를 통해 더 많은 학생이 기독교 교육을 통해 남을 위해 사는 삶을 살기를 간절히 소망하는 바이다.

“그러므로 염려하여 이르기를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 무엇을 입을까 하지 말라. 이는 다 이방인들이 구하는 것이라. 너희 하늘 아버지께서 이 모든 것이 너희에게 있어야 할 줄을 아시느니라. 그런즉 너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더하시리라 (마 6:31-33).”


미주중앙일보 koreadaily.com 임은숙 기자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68건 232 페이지
  • 캘리포니아, 현장 예배 시 당분간 찬송 못 부른다
    미주 크리스천투데이 | 2020-07-07
    시행일로부터 21일간 유효 캘리포니아주에서 예배시 당분간 찬송을 부르지 말라는 주 권고가 떨어졌다. CNN등 미 주류언론들은 3일 캘리포니아주 공중보건국(California Department of Public Health, CDPH)의 새 행정명령을 인…
  • “다시 교회 마당 밟고파…”
    미주 크리스천투데이 | 2020-07-07
    방역과 거리두기외에도 ‘투명 가로막’ ‘입구와 출구 분리’ 등 코로나 19에 따른 자택 대피령이 완화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 주마다 교회 예배에 관한 조건부 허용이 이뤄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주 한인교회 중에서도 최근 교회에서 드리는 예배를 다시 시작한 …
  • 팀 켈러가 말하는 ‘마음을 움직이는 설교’
    아멘넷 뉴스 | 2020-07-07
    성경을 어떻게 설교해야 하는지에 대한 좋은 책들은 넘쳐난다. 하지만 마음을 움직이는 설교에 관한 책들은 그리 많지는 않다. 그런데 '팀 켈러의 설교’(두란노, 2016년)는 마음을 움직이는 설교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이 책에서 팀 켈러는 “설교란 단지 텍스트를 설명…
  • 미주한인예수교장로회, 코로나19로 어려운 46개 교회 지원
    아멘넷 뉴스 | 2020-07-07
    미주한인예수교장로회(KAPC, 총회장 조문휘 목사)는 제44회 총회를 유례없는 온라인 총회로 마쳤다. 이후 여전히 대면으로 만나기는 어려운 환경이지만 활기찬 사업들을 시작했다. 1. 총회장 조문휘 목사는 “제44회기를 시작하는 이 시점에서 하나님께서 …
  • 황영송 목사와 A.R. 버나드 목사 대화 동영상 "인종차별과 정의"
    아멘넷 뉴스 | 2020-07-07
      흑인 조지 플로이드의 인종차별적인 죽음 후에 그 후폭풍이 미국 전역을 몰아쳤다. 긴장감이 흐르던 6월 11일 인스타그램 생방송을 통해 뉴욕수정교회 황영송 목사와 뉴욕의 대표적인 흑인 목회자인 A.R. 버나드 목사(Christian Culture Center)가 "인…
  • 한인교회 현장예배 재개 - 51% 성도가 즉시 참가에 부정적
    아멘넷 뉴스 | 2020-07-07
    코로나 팬데믹으로 3개월 이상 문을 닫았던 뉴욕과 뉴저지 교회들이 문을 열고 있다. 교회 현장예배를 재개하는 것을 두 가지 측면에서 볼 수 있다. 하나는 목회자와 성도들이 교회에서 드리는 예배를 사모하고 속히 교회문이 열리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하지만 다른 …
  • [NY] 뉴욕교협, 사랑나눔 60교회 지원 - 지금 신청하세요
    아멘넷 뉴스 | 2020-07-07
      뉴욕교협(회장 양민석 목사)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하여 재정이 어려워져 교회건물 렌트비를 내지 못하는 교회, 그리고 질병 등으로 어려운 목회자들을 돕기 위하여 회원교회들의 성금을 받아 선착순 60개 교회를 지원한다. 신청접수 기간은 7월 1일(수)부터 8일(수)…
  • [NY] 100개 교회들이 함께 힘들었던 뉴욕을 축복찬양하다
    아멘넷 뉴스 | 2020-07-07
      100개 교회와 기관들이 함께 뉴욕을 축복하며 “The Blessing”를 불렀다. 7월 2일(목) 오전 9시30분 함께 불러지고 유튜브에 공개된 이 영상은 ‘The New York Blessing’라는 프로젝트로 진행됐다. 2020년 뉴욕은…
  • 87% 미국 크리스찬 “미국은 하나님의 축복을 받았다”
    아멘넷 뉴스 | 2020-07-07
    7월 4일 미국 독립기념일을 맞이하여, 바나 리서치는 미국 성인과 미국 크리스찬들이 미국을 보는 시각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여기에서 말하는 ‘크리스찬’을 바나 리서치는 “practicing Christians”라고 표현했는데, 이는 자칭 크리스찬…
  • 이종식 목사 “온라인 예배가 현장 예배를 대신할 수 없어”
    아멘넷 뉴스 | 2020-07-07
    요새 크리스천 신문을 보면 전염병의 일로 앞으로의 신앙생활의 변화는 이렇게 일어날 것이라는 수많은 예측을 접하게 됩니다. 그러한 예측 가운데 우리 성도님들은 많은 혼란스러운 생각을 하게 되실 것이라 판단됩니다. 그 첫째는 과연 내가 지금 드리는 온라인 예배가 성경에서 …
  • [NY] 딸에게 목사로 인정받은 고 안성국 목사 장례예배
    아멘넷 뉴스 | 2020-07-07
    뉴욕능력교회 안성국 목사가 60세를 일기로 7월 2일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장례예배가 진행됐다. 환송예배는 5일(주일) 오후 6시 기감 미주자치연회 뉴욕서지방 주관으로 뉴저지 중앙장의사에서 열렸다. 입관예배는 6일(월) 오전 10시 웨체스터 교회협의회 주관으로, 이…
  • 김성국 목사 “팬데믹 이후 최적의 전도환경이 만들어져”
    아멘넷 뉴스 | 2020-07-07
    뉴욕교협(회장 양민석 목사)은 코로나19 사태이후 변화된 교회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뉴욕! 포스트 팬데믹, 교회는 어떻게 가야 하나?"라는 주제의 포럼을 6월 22일(월)부터 24일(수)까지 개최했다. 첫날 열린 포럼에서 김성국 목사(퀸즈장로교회)는 “지역…
  • 캘리포니아 교회에 대한 찬양금지 행정명령은 지나치다
    아멘넷 뉴스 | 2020-07-07
    미국에서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7월 2일에는 일일 신규 확진자가 최고치를 기록해 최소 5만5,220명의 신규 확진자가 나왔다. 재확산 우려로 23개의 주가 경제 재개방에 제동을 걸었다. 1. 코로나19가 확산되고 있는 캘리포니아 주도 재개방을 중단하…
  • 최호섭 목사 “팬데믹 이후 작은 교회들이 영적운동을 이끌어 나가야”
    아멘넷 뉴스 | 2020-07-07
    뉴욕교협은 코로나19 사태이후 변화된 교회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뉴욕! 포스트 팬데믹, 교회는 어떻게 가야 하나?"라는 주제의 포럼을 6월 22~24일 개최했다. 마지막 날 포럼은 24일에 후러싱제일교회에서 열려 패널 최호섭 목사(뉴욕영락교회)가 “중소형 교회 …
  • 하나님에게서 동등하게 피조 자유와 행복 추구해 나간다!
    미주크리스천신문 | 2020-07-07
    제244주년 독립기념일, 의미 되새기는 날 되길 연일 재확산 추세로 돌아선 코로나19, 또한 인종차별로 인한 미국사회의 갈등과 분열이라는 상황 속에서 제 244주년 독립기념일이 다가온다. 백악관은 오는 7월 4일 대규모 국가 행사(“2020 Salute to…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