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국제 구호 단체 근황과 전략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코로나19 이후 국제 구호 단체 근황과 전략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코로나19 이후 국제 구호 단체 근황과 전략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미주 크리스천투데이| 작성일2020-08-30 | 조회조회수 : 3,794회

본문

6d6168ac26921de4f27662830bf2678b_1598714115_5776.jpg


코로나 19로 인한 팬데믹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주 내 국제 구호 선교 단체들의 어려움도 클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인 본부를 둔 이들 단체의 근황과 코로나 19 시대 선교 방향은 국제 선교에 관심을 둔 미주 한인 크리스천들의 관심사이기도 하다. 본지는 국제기아대책(KAFHI) 미주 한인본부, 굿네이버스 USA, 월드쉐어 USA 담당자와의 이메일 인터뷰를 통해 이들 단체의 근황과 대책, 비전에 대해 들어보는 자리를 가진다.

아동중심공동체개발사업(CFCT) 등 뉴 노멀 시대 대비할 것
정승호 사무총장(국제기아대책 미주 한인본부)


2020082952595830.jpg
▲ 코로나 이후 뉴 노멀 시대를 대비하는 국제기아대책 미주 한인본부 정승호 사무총장

Q. 코로나 19로 인한 단체의 근황을 알려달라.

국제기아대책 미주 한인본부는 코로나 19로 인한 어려움 속에서도 기도와 후원의 힘을 통해 빈곤 아동과 취약 계층을 돕는 일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특히 현장 선교사들은 4가지 기본 지침 안에서 사역을 감당하고 있다. 먼저 현지 사역자와 마을의 안전을 위해 사회적 거리 두기와 마스크 착용을 반드시 지키며 사역에 임한다. 다음으로 지역 사회 필수품과 보건 구호품을 보급하는데 더욱 힘쓰고 있다. 특히 케냐, 아이티, 캄보디아 지역 파송 선교사들에게 방역 마스크와 소독제를 전달했다. 또한 가정 및 마을에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코로나 사태 이후 어려움에 부닥친 이들의 조속한 복귀를 위해 힘쓰고 있다. 그러나 사역 후원을 위한 재정 지원이 줄어듦에 따라 우물 개발, 학교 지원, 선교 훈련 등에 대한 사역자 지원이 취소되기도 했으며, 지원금 삭감이라는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됐다.

Q. 팬데믹 상황이 길게 이어진다. 사역에 가장 큰 어려움은 무엇인가?

현재 이 상황은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다. 우리도 그러하다. 필드에 취약한 수혜자들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전면 취소되거나 무기한 연기된 것들도 있다. 생존과 기본권을 유지하는 사역 외에 대부분이 연기됐다. 여기에 현지 후원 아동, 스텝, 선교사 사이 접촉이 불가능해지면서 밀접한 지원도 어렵게 됐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기본 방역을 위한 물품 부족 사태도 일어났다. 여기에 코로나 19로 인한 국가 간 국경 폐쇄가 진행되면서 현지 방문 단기 사역 등이 어려워졌다. 모금 및 현장 지원 등 동원 사역이 어렵게 된 것이 가장 힘든 부분이 아닐까 싶다.

Q. 앞으로 사역 방향과 전략은?

이번 코로나 19로 인해 세계 선교 사역도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다. 특히 지역화와 국경 폐쇄는 새로운 도전이 되고 있다. 우리 단체는 지난 40년간 세계 기근과 취약 계층 구제를 위한 사역을 펼쳐왔다. 특별히 미주 기아대책은 2002년 아프리카, 아시아, 중남미 지역을 중심으로 기근 퇴치를 위한 사역을 진행해 왔으며 라오스 등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단체는 네 가지 사역 방향을 정하고 진행할 예정이다. 가장 먼저 단체의 총체적 전략인 ‘아동중심공동체개발사업(CFCT/Child Focused Community Transformation)’을 통해 필드의 필요에 따라 학교, 의료보건, 식량 개발 및 지원, 급식, 교육 기회, 직업교육, 우물개발 등 다양한 사역을 더욱더 진행해 나갈 것이다.

둘째, 감염방지를 위해 강화된 국경폐쇄와 지역화의 흐름에 대처해 지역 리더십의 자립을 적극적으로 개발할 것이다. 현재 단체 내 필드 사역의 98%는 현지 사역자들이 맡고 있다. 셋째, 이웃공동체의 자립을 지원하는 성숙한 공동체가 되는 비전을 갖는 출구 전력이다. 국제기아는 그들이 하나님의 목적을 발견하고 영적, 육체적 빈곤에서 자립했을 때, 졸업을 축하하고 그들이 다른 공동체의 빈곤을 돕도록 격려한 후 그 자리를 과감히 떠난다. 넷째, 현장 사역은 단기보다 장기 체류하며 필수적 생존과 결부된 NGO 사역의 강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동원 사역의 비대면 전략의 뉴 노멀(New Normal)을 수립해가고 있다. 우리 단체를 이때를 위해 준비된 선교 자원이다. 앞으로 단체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문의:(703)473-4696

코로나 19 확산 막는 보건 위생 사역 집중할 터
김재학 본부장(굿네이버스 USA)


2020082954371286.jpg
▲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한 위생 사역에 집중하겠다는 굿네이버스 USA 김재한 본부장

Q. 굿네이버스 USA 사역 현재 근황을 알려 달라

미주 굿네이버스는 작년 말까지 가장 활발하게 진행해 오던 교회와의 협력 사역 및 오프라인 행사 등을 지난 6개월 동안 전혀 진행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올해 남은 기간도 힘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머물러 있을 수는 없다. 굿네이버스 USA는 현재 온라인 콘츠를 강화하여 예배 영상을 통해 예배에 참여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일에 집중하고 있다.

Q. 코로나 19로 인해 사역에 어려움이 있다면?

현재 미주에서는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모금 활동을 펼치지 못하는 것이 가장 힘이 든다. 여기에 중남미를 비롯해 굿네이버스 USA가 사역의 영역으로 여기는 아프리카 등의 사역 현장에 의료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지 못하다. 그 때문에 직접 해당 국가로 건너가 아이들을 만나고 지원하는 사역을 진행하기가 무척 어려운 상황이다.

Q. 펜데믹 장기화 예상에 따른 굿네이버스 USA의 전략을 알려 달라

미주에서는 현재 사회적 거리 두기에 따른 언택트 시대에 맞춰서 온라인 모금 활동을 보다 활성화하는데 집중할 예정이다. 그에 따른 방안으로 오는 9월 중순 온라인 나눔 콘서트 등을 계획하고 있다. 또한, 당분간 굿네이버스 USA의 해외 사역은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을 막는 것에 최선을 다할 생각이다. 이에 따라 가장 중요한 물과 보건 위생 사역에 집중할 예정이다. 현재 8월 한 달 동안 ‘굿워터(GoodWater) 프로젝트’를 통해 매월 $10씩 후원하는 후원자를 모집하고 있다. 이 굿워터 프로젝트와 관련해 궁금한 부분이 있거나 후원에 참고하고 싶다면, 굿네이버스 USA로 언제든 문의를 하기 바란다.

문의:(844)357-7797

교육 지원 사역 통해 삶의 환경 바꾸는 일 앞장설 터
강태광 대표(월드쉐어 USA)


2020082955211315.jpg
▲ 교육을 통한 현장 계몽에 앞장서겠다는 비전을 밝힌 월드쉐어USA 강태광 대표

Q. 월드쉐어 USA 현재 근황을 알려 달라

월드쉐어는 국제 구호 활동을 하는 NGO다. 월드쉐어는 30여 개국에서 기아와 질병으로 힘겨운 아동들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월드쉐어는 코로나 시대에 더 심하게 고통당하는 아동들의 의식 문제와 교육 문제에 더욱더 많은 관심을 두고 더 적극적인 구호 활동을 실천하고 있다.

월드쉐어는 중남미 지부들과 협력 기관들을 통해서 파라과이, 과테말라, 아이티, 도미니카 공화국 그리고 수리남에 극빈 아동들을 돌보고 있다. 특히 수리남에 한국 전쟁 참전 용사 후손들 가운데 극빈 상황인 아동들을 돕기 위한 특별지원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또한, LA지역 도시 빈민과 노숙자들을 대상으로 특별 구호 활동도 펼치고 있다.

Q. 팬데믹으로 인한 사역의 어려움이 있나?

코로나 시대에 가장 큰 어려움은 모금 활동의 위축이다. 바닥 경제가 침체함으로 일시적 거액 기부자는 물론 소액 정기 기부자들 확보도 어렵다. 나아가 현장 활동도 어렵다. 예컨대 아이티 방문이 계획되어 있었지만, 현재 상황으로서는 언제 방문이 가능할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게다가 지원하는 아동들의 생활 환경이 열악하다 보니 코로나는 말할 것도 없고 일반 전염병에도 아주 취약한 상황이다. 평소 같으면 찾아가 돌보아 주고 약품도 지원할 수 있는데, 코로나 시대에 접근 자체가 어려운 것인 가장 힘들다.

Q. 팬데믹 장기화가 예상된다. 월드쉐어 USA의 전략은?

2차 팬데믹이 현실로 찾아오면 사업을 확대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것 같다. 먼저, 우리들이 만난 아동들과 가정들을 지키는 데 주력하려 한다. 미국 주류사회보다 한인 사회는 나눔 문화가 미숙한 것 같다. 교회나 기업은 나눠도 개인이 나누는 것은 아직도 부족하다. 이것은 문화의 문제라고 본다. 나눔의 문화 창달을 도모하기 위해 언론들도 관심 가져 주길 바란다. 또한, 구호 활동에 방역 활동을 포함한 적극적 활동을 도모할 생각이다. 앞으로 방역은 인류 최대의 화두가 될 것 같다. 우물을 파 주듯이 방역시스템과 장비를 공유하는 것이 코로나 이후의 주요 구호 활동이 될 것 같다. 끝으로 사역 국가의 교육 기관과 시스템을 세우는 일에 집중하려 한다. 교육은 해당 국가의 삶을 바꾸는 길이다. 따라서 코로나가 어느 정도 안정이 되면 학교 건축 및 교육 지원 사업을 펼치려 한다.

문의:(323)578-7933


황인상 기자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73건 203 페이지
  • 피해자측, “송병기 목사는 30년 넘게 어린이들을 성추행했다”
    뉴스M | 2020-09-05
    뉴욕목양장로교회 원로목사 미성년 성추행 사건 새로운 국면 진입 송병기 목사(사진:유튜브 영상 캡처) 송병기 목사(사진:유튜브 영상 캡처) [뉴스M=양재영 기자] 뉴욕목양장로교회 원로목사인 송병기 목사의 미성년 성추행과 관련한 본지의 보도에서 언급된 송 목사의 진술…
  • [NJ] 뉴저지교협 정기총회 9월29일(화)로 연기
    기독뉴스 | 2020-09-05
    지난 6월 뉴저지한인회 손한익 회장(왼쪽)이 코로나19로 인해 렌트를 내지 못하는 어려운 교회 돕기를 진행하고 있는 뉴저지한인교회협의회(회장 장동신 목사.오른쪽)에 성금 1000달러를 전달했다. [사진 뉴저지한인회] 뉴저지한인교회협의회(이하 교협·회장 장동신목사)…
  • [NY] 할렐루야대회 특별찬양 소리엘 지명현목사, 폴 발로쉬 출연한다
    기독뉴스 | 2020-09-05
     CCM 가수 소리엘의 지명현 목사  할렐루야 2020 대뉴욕복음화대회 특별찬양엔 한국 CCM을 대표하는 소리엘과 CCM 찬양 작곡자 폴 발로쉬가 선정됐다. 회장 양민석 목사는 9월 3일(목) 할렐루야 2020 대뉴욕복음화대회 목요 준비위원 모임에서 이같이 밝히고 …
  • [GA] ‘랩톱’ 컴퓨터 좀 구할 수 없나요
    애틀랜타 중앙일보 | 2020-09-05
    화장지·세정제 품절 이어컴퓨터 없는 수업에 ‘한숨’저소득층 ‘교육 평등’ 이슈 온라인 수업을 듣고 있는 학생. AP 메트로 애틀랜타 일대 공립학교의 온라인 수업에 필요한 랩톱 컴퓨터가 부족해 학부모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애틀랜타 저널(AJC) 보도에…
  • [NJ] “공무원들 아시안 혐오 용납될 수 없어”
    뉴욕 중앙일보 | 2020-09-05
    뉴저지주 10여 개 한인 단체 화상 기자회견레오니아 소방관 한인 여학생 성적 비하 계기지역 정치인들 혐오 사건 재발 방지 노력 촉구사건 재발시 신속하고 적극적 대응 방안 모색 4일 뉴저지주의 10여 개 한인 커뮤니티 단체들이 화상 기자회견을 열고 아시안들에 대한…
  • aba598f5bdae3da710e360b0c992b70e_1599316627_5552.jpg
    [CA] 교회 실내 예배 등 제한적 재개
    미주중앙일보 | 2020-09-05
    지난달 31일 새 지침 적용미용실ㆍ식당 등 실내영업수용인원 업종별로 제한돼 새로운 지침에 따라 샌디에이고 지역의 식당들이 수용인원 25%까지 실내 영업이 가능해 졌다. 사진은 한인 지나 전씨가 올봄에 인수한 한인타운의 찹스틱스(Chopstix) 일식당. 코로나1…
  • 코로나 이후에 다가올 교회의 12가지 트렌드
    기독일보 | 2020-09-04
    미국 오클라호마의 빅토리 처치가 드라이브 인 예배를 드리는 모습 ©Paul Daugherty 페이스북 미국 뱁티스트프레스가 최근 배리 하워드 목사가 쓴 “코로나 이후에 다가올 교회의 12가지 트렌드”에 관한 칼럼을 게재했다. 플로리다 주 펜사콜라에 위치한 …
  • fe2615f1eed1e9114737e4bb3685ec0a_1599267228_5415.jpg
    펜데믹 기간 당신의 교회 목회자가 교회를 떠나려는 6가지 이유
    기독일보 | 2020-09-04
    ⓒPixabay 독자의 3분의 1은 평신도들이다. 이 글은 평신도를 대상으로 한 글이다. 우리 팀과 소통하는 대부분의 목회자들은 교회를 그만두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한다. 내 평생 목도하지 않았던 경향이다. 일부 목회자는 그러한 발표를 한 지 몇 주 지나지…
  • fe2615f1eed1e9114737e4bb3685ec0a_1599263573_4033.jpg
    [CA] 교회서 왜 마약이 나와…
    미주한국일보 | 2020-09-04
    ▶ 경찰, 오클랜드 교회 급습, 20만달러 상당 대마초 압수  ▶ 교회측 “종교체험에 필수” 주장 자이드 도어 교회’( Zide Door Church) 리더 데이브 호지스 (CBSN 뉴스 영상 캡처)  오클랜드 교회에 경찰이 급습해 대마초 등 약물과 현금을 대거 압수했…
  • fe2615f1eed1e9114737e4bb3685ec0a_1599253003_7852.jpg
    미국 복음주의자 30% ‘예수 신성 부인’ 충격
    크리스천헤럴드 | 2020-09-04
    ‘2020 신학설문상황’ 사전 보고서 밝혀 성인 52%, 복음주의 30% 예수 신성 부정 가치관 종교적 기준서 도덕적 기준으로  전문가들은 문화 기준이 종교적인 부분에서 도덕적인 부분으로 옮겨 가면서 신학인식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성인의 절반 이…
  • [NJ] 팬데믹 영향받은 뉴저지목사회 제11회 정기총회
    아멘넷 뉴스 | 2020-09-04
    뉴저지한인목사회가 10년이라는 페이지를 넘기고 제11회 정기총회를 9월 1일(화) 오전 11시 뉴저지 수정교회에서 열었다. 지난해 정기총회는 “역대급 혼란”이라는 타이틀이 붙을 정도로 혼란 속에 진행됐는데, 이번 정기총회는 어떻게 진행되었을까? 1. …
  • fe2615f1eed1e9114737e4bb3685ec0a_1599237416_0795.jpg
    [CA] 코로나 사태로 무너지는 마음, “미리 대처하지 않으면 위기 입니다!”
    뉴스M | 2020-09-04
    LA 카운티 정신 건강국 “COVID-19 한인 정신건강 온라인 세미나” 시즌 2 개최장기화 되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정신 건강 적신호 사례 급증폭력과 자살 등 각종 사회적 문제로 확장 위기 엘에이 카운티 정신 건강국이 “COVID-19 한인 정신건강 온라인 세미나…
  • [NY] 퀸즈 은혜주신교회 6일 이취임 감사예배
    미주한국일보 | 2020-09-04
    퀸즈 프레시메도우에 위치한 은혜주신교회가 이취임 감사예배를 오는 6일 드린다. 이날 오전 11시 30분에 열리는 예배에서는 김용익 목사 원로목사 추대와 노영민 목사 담임목사 취임예배 겸해 열린다. 이로 인해 노영민 목사가 담임하던 블루교회 교인들은 은혜주신교회에서 …
  • fe2615f1eed1e9114737e4bb3685ec0a_1599235257_7527.jpg
    [TX] 라이프교회, ‘슬기로운 학교생활’ 세미나 개최
    텍사스 중앙일보 | 2020-09-04
    코로나 시대 속 가을학기 맞아 학부모 위한 교육 세미나 열어 실제 교육현장에 재직중인 성도들 직접 강사로 나서 라이프교회가 지난달 30일(일 '슬기로운 학교생활'이란 주제로 가을학기 개강을 맞이한 학부모들을 위한 교육 세미나를 온·오프라인을 통해 개최했다. [사…
  • ac9a08ace345a5fd6f1a09f7d4f4f80a_1599178107_9404.jpg
    성경 말씀이 우리의 삶의 잣대
    크리스천비전 | 2020-09-03
    WMC 국제기도학교 김정복 목사 성경세미나 인도 ▲ © 크리스천비전 WMC 국제기도학교 김정복 목사는 지난달 25일 Zoom을 이용, 화상으로 R국 한인 선교사들을 위하여 성경 세미나를 인도했다. 김정복 목사는 ‘성경은 어떠한 책인가’(디모…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