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해외 일본사 학자 5명도 램지어 논문 비판 "증거 대지 못했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시사] 해외 일본사 학자 5명도 램지어 논문 비판 "증거 대지 못했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시사] 해외 일본사 학자 5명도 램지어 논문 비판 "증거 대지 못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 중앙일보| 작성일2021-02-22 | 조회조회수 : 2,824회

본문

"위안부는 자발적 매춘" 번지는 논란

국제학계서 램지어 주장 조목조목 비판

더든 교수 "가짜 뉴스를 팩트로 둔갑"

연대·한양대 교수는 옹호 뉘앙스 기고 논란



c7561340ccce2af001a73c2b999a7270_1614039894_4348.jpg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교수의 논문에 대한 국제 학계의 비판 여론이 조성되고 있다. 특히 위안부 피해자들을 '자발적 매춘부'로 규정한 램지어 교수의 논문 내용에 대한 연구 진실성 측면의 비판이 제기됐다. [하버드대 로스쿨 유튜브 캡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자발적 매춘부’로 규정한 존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의 논문에 대한 비판 여론이 거세다. 램지어 교수는 자신의 논문과 관련한 논란을 ‘학문 및 연구의 자유’라는 논리로 방어하고 있지만 정작 해당 논문의 연구 진실성마저 검증대에 올라선 모양새다. 해당 논문을 통해 주장한 내용 상당수가 객관적 증거가 확보되지 않았고, 논문에 활용한 자료마저 선택적으로 인용했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다.


에이미 스탠리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 등 5명의 일본사 연구학자는 지난 18일(현지시간) 33쪽 분량의 논문을 통해 램지어 교수의 주장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이들은 위안부와 관련한 램지어 교수의 논문이 ▲증거 부재 ▲자료에 대한 허위 묘사 ▲선택적 자료 인용 ▲부정확한 인용문 표기 등의 문제를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위안부=자발적 매춘?…"증거 전혀 제시 못 해"


c7561340ccce2af001a73c2b999a7270_1614039921_8915.jpg
에이미 스탠리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 등 5명은 램지어 교수의 논문에 대해 ^증거가 부재하고 ^자료에 대해 허위 묘사를 했으며 ^관련 자료를 선택적으로 인용했다는 점 등을 근거로 "관련 증거를 전혀 제시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사진은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 평화의 소녀상. [뉴스1]


스탠리 교수 등은 램지어 교수가 위안부 피해자를 “금전 계약을 통한 자발적 매춘부”로 규정하며 그 증거로 제시한 표준계약서를 문제 삼았다. 해당 계약서는 태평양전쟁 직전 중국 상하이에 위치한 ‘위안소’에서 근무할 일본인 여성을 모집하는 내용이었다. 이같은 계약서를 근거로 태평양 전쟁 당시 동원된 일본군 위안부 역시 같은 조건의 계약을 맺었다고 규정하는 것은 무리한 해석이라는 게 스탠리 교수 등의 주장이다.


이들은 논문을 통해 “램지어 교수는 일본인과 조선인을 포함 다른 나라의 여성들이 (전시 상황에서) 위안소 근무를 위해 실제 서명한 계약과 관련한 증거를 전혀 제시하지 못했다”며 “단편적인 증거를 토대로 일부 여성들이 계약 시스템을 통해 (위안부로) 고용됐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해도, 모든 (위안부) 여성들이 그런 계약을 맺었다고 볼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알렉시스 더든 미 코네티컷대 교수 역시 지난 19일 램지어 교수의 논문이 게재된 국제법경제리뷰(IRLE) 측의 요청으로 해당 논문을 반박하는 내용의 글을 보냈다고 밝혔다. 더든 교수는 “(램지어 교수의 논문과 같은) 이러한 세계관은 역사를 부정하는 것은 물론 '트럼피즘'(트럼프주의)과 같은 전 세계의 비슷한 움직임에 공감을 불러일으킨다”고 우려하며 “가짜뉴스를 팩트로 둔갑시키는 당사자들에게 책임을 지우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외국인 혐오증" 기고는 한국계 미국인 교수들


c7561340ccce2af001a73c2b999a7270_1614039952_5745.jpg
조 필립스 연세대 부교수와 조셉 이 한양대 부교수는 지난 18일(현지시간) 미 외교 전문지 디플로맷에 램지어 교수의 논문을 옹호하는 뉘앙스의 글을 기고했다. 이들은 "일본에 대한 사적인 연관성을 이유로 램지어 교수의 학문적 진실성을 공격하는 것은 비생산적"이라고 주장했다. [디플로맷 홈페이지 캡쳐]


국제 학계에서 반(反) 램지어 전선이 구축되는 가운데 국내에선 한양대·연세대 교수진이 램지어 교수의 논문을 옹호하는 듯한 주장을 해 논란을 샀다. 조 필립스 연세대 언더우드국제대학 부교수와 조셉 이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부교수는 지난 18일 미 외교 전문지 디플로맷에 “위안부와 학문의 자유”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했다. 이들은 기고문에서 “한국에 기반을 둔 학자들”이라고 자신을 소개하며 “일본에 대한 사적인 연관성을 이유로 램지어 교수의 학문적 진실성을 공격하는 것은 비생산적이며, 외국인 혐오증처럼 보인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는 전쟁범죄의 근절과 여성 인권 보호라는 위안부 피해자 진실 규명의 인도주의적 취지를 ‘외국인 혐오증’에 갖다붙인다는 비판을 부를 전망이다.


이들은 또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보상에 대해선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를 통한 일본 측의 10억엔 기금 조성과 아시아여성기금을 언급하며 “더 많은 (위안부) 생존자가 (보상을) 받아들일 수도 있었지만 활동가들이 이들을 공개적으로 부끄러워했고, 정부는 생존자들에게 보상금을 거부하도록 재정적으로 압력을 가했다”고 주장했다.


한국계 미국인인 조셉 이 부교수의 위안부 관련 발언은 처음이 아니다. 2019년엔 수업 도중 “한국 역사학자들은 5~10명의 최악의 사례에 주목해 전체 위안부를 일반화하는 거짓말쟁이”라는 발언으로 논란을 샀다. 또 2016년엔 “위안부 피해자들의 말을 무조건 신뢰하긴 어렵고, (위안부 문제를) 일본 정부만의 책임으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해 학교 측으로부터 구두 경고를 받았다. 연세대에 따르면 조셉 이 교수와 함께 공동기고한 조 필립스 부교수 역시 한국계 미국인이다. 그는 연세대에서 ‘정의와 시민 리더십 입문’, ‘법과 정치의 철학적 기반’ 등의 수업을 강의했다.


정진우 기자 dino87@joongang.co.kr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95건 142 페이지
  • [시사] "WWW의 시대 저물어간다"…스플린터넷 현상 가속화
    연합뉴스 | 2021-02-24
    거대 IT 기업-정부간 충돌 '치킨게임' 양상 비화 가능성'정보 생태계' 분화로 국가별·시장별로 정보 차단막 생길수도 페이스북 로고epa08925056 (FILE) EPA/Julien de Rosa *** Local Caption *** 55197924(서울=연합뉴스)…
  • [시사] [CA] 美경찰 또 '목 누르기'…아시아계 청년, 엄마·여동생 앞에서 사망
    SeattleN | 2021-02-24
     미국에서 "날 죽이지 말라"고 애원하던 아시아계 청년이 경찰의 목 누르기로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다. 지난해 흑인 조지 플로이드를 사망에 이르게 한 폭력적 진압 방법이 다시 사용된 것이 뒤늦게 밝혀졌다.24일 CNN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북부 안티오크에서 사망한 필리핀…
  • [워싱턴 DC] “배우는 자로 살자! 멈출 수 없는 평생교육”
    워싱턴 중앙일보 | 2021-02-24
    시니어 대학들, 온라인 수업 유지 (왼쪽) 하워드 카운티 한인 시니어센터 2020 봄학기 개강식 중 함께 자리한 임원진. 뒷줄 왼쪽부터 조영래 이사장, 송수 회장, 이인정 수석부회장, 조난영 부회장(오른쪽) 벧엘 시니어 아카데미 2020 봄학기 준비 모임에서 한상구 전…
  • [시사] “한국인의 이웃 향한 책임감, 미국엔 없는 K방역 일등공신”
    한국 중앙일보 | 2021-02-24
    20년째 CNN 의학전문기자 굽타“미국 백신 배분에 실패, 성과 망쳐한국 접종전략 명확히 해둬야”산제이 굽타 CNN 의학전문기자는 23일 화상으로 진행된 인터뷰에서 “백신은 중요하지만 유일한 조건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줌 캡처]“한국인의 책임감이 방역에서 (다른 …
  • [시사] 램지어 논문, 한인 교수가 막았다
    LA중앙일보 | 2021-02-24
    이진희 이스턴일리노이대 교수, 케임브리지대 설득“조선인 학살 정당화는 홀로코스트 정당화” 주장 주효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이 조선인 학살을 왜곡한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학 로스쿨 교수의 논문 수정에 나서게 된 배경엔 한인 역사학자 이진희(사진) 이스턴일리노이주립대 사학과 …
  • 85c9f38ad0d41901be90ae4c404ecbba_1614126397_3847.jpg
    [AZ] 애리조나 교회 정신건강 상담비 약 2백만 달러 모금
    KCMUSA | 2021-02-23
    코비드 팬데믹으로 인한 다양한 스트레스로 불안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한 지역교회가 2백만불을 모금, 이들을 돕고 있다. (사진: oneandall)애리조나에 있는 밸리그리스도교회 (사진: Christ's Church of the Valley)애리조나의 한 대형교회…
  • 85c9f38ad0d41901be90ae4c404ecbba_1614123743_5661.jpg
    프랭클린 그레이엄 '시련의 시간' 극복 위한 조언
    KCMUSA | 2021-02-23
    프랭클린 그레이엄 목사가 시련의 시간을 살고 있는 사람들을 격려하고 하나님의 말씀에 굳게 설 것을 당부했다. (사진: Samaritan's Purse)프랭클린 그레이엄이 세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모든 일과 함께 지금 우리가 보내고 있는 "시련의 시간"을 극복하는 방법에 …
  • 85c9f38ad0d41901be90ae4c404ecbba_1614120578_1918.jpg
    토니 에반스 목사 코비드-19 양성 "하나님은 여전히 선하고 신실하시다"
    KCMUSA | 2021-02-23
    토니 에반스(Tony Evans) 박사 (사진: Fox News)초대형교회 목사인 토니 에반스 박사가 코비드-19 양성 진단을 받았다고 밝히고, 겨울 한파로 고생하는 텍사스 사람들 위해 기도해 달라고 요청했다.텍사스 달라스에서 9,500명 이상이 모이는 오크클리프성경펠…
  • [시사] [CA] 타이거 우즈 전복사고... 수술중(2보)
    LA중앙일보 | 2021-02-23
    차량 절단장비 동원해 구조"다리에 부상입고 수술 중"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가 23일 오전 자동차 전복 사고를 당해 병원으로 긴급 이송됐다.LA카운티셰리프국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 15분쯤 롤링힐스에스테이트와 랜초팔로스버디스 경계선인 도로 비탈길에서 타이거 …
  • 늘어가는‘교회 & 성직자’비호감… 어떻게 하나?
    크리스천헤럴드 | 2021-02-23
     늘어가는‘교회 & 성직자’비호감… 어떻게 하나?자기 교회 중심에서 벗어나 기독교 전체를 봐야한국교회 신뢰도 21% 급락미국 성직자 신뢰 39% 최저한인 댓글 70% 교회 적대적사회 공공성 회복만이 대안 코로나19를 겪으면서 한국과 미국의 교회와 성직자에 대한 …
  • [시사] 해외 일본사 학자 5명도 램지어 논문 비판 "증거 대지 못했다"
    한국 중앙일보 | 2021-02-22
    "위안부는 자발적 매춘" 번지는 논란국제학계서 램지어 주장 조목조목 비판더든 교수 "가짜 뉴스를 팩트로 둔갑"연대·한양대 교수는 옹호 뉘앙스 기고 논란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교수의 논문에 대한 국제 학계의 비판 여론이 조성되고 있다. 특히 위안부 피해자들을 '자발적 매춘…
  • 사순절에 떠나는 우리의 영적 순례
    KCMUSA | 2021-02-22
    (사진: Illustration by Mallory Rentsch)중세 기독교인들은 부활절까지 이어지는 사순절을 어떻게 보냈을까?시카고 대학에서 중세 미술사 박사학위를 받은 리사 딤(Lisa Deam)의 의 저서 “예수를 찾아가는 3,000마일: 영적 구도자를 위한 생…
  • 생명 존엄성 지키기 위한 살림 문화로!
    미주크리스천신문 | 2021-02-22
    미 언론, ‘로 대 웨이드’ 판결후 전쟁 중인 낙태문제, 바이든 집권으로 낙태의 합법 여부는 지구촌의 오래된 논제다. 자기결정권과 생명권이라는 헌법적 가치가 충돌하는 지점이며, ‘하나님의 섭리’ 대 ‘인간’이라는 종교적 관념의 결전장이기도 하다. 여기에 진보와 보수라는…
  • [CA] 미주복음방송(GBC) “은혜로 30년, 빛으로 30년”을 회고하는 사장 이영선 목사
    크리스천 위클리 | 2021-02-22
    이영선 미주복음방송 사장1990년 12월 20일 미주복음방송 설립자 임종희 목사는 오렌지카운티 소재 라디오 방송국인 KORG와 오전 7시부터 11시까지 하루 4시간 전파사용 계약을 맺었다. 전파 사용료는 2만 4천 달러. 그렇게 AM1190 GBC 미주복음 방송은 19…
  • [시사] "동네 높은 접종률"…미국 코로나 백신도 인종차별
    SeattleN | 2021-02-22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5개 대도시 데이터 분석 결과  미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인종차별적인 모양새를 띠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매체는 미국의 5개 대도시(시카고·워싱턴·볼티모어·시애틀·뉴욕) 데이터를…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