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존엄성 지키기 위한 살림 문화로!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생명 존엄성 지키기 위한 살림 문화로!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생명 존엄성 지키기 위한 살림 문화로!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미주크리스천신문| 작성일2021-02-22 | 조회조회수 : 4,760회

본문

미 언론, ‘로 대 웨이드’ 판결후 전쟁 중인 낙태문제, 바이든 집권으로



e966c30743638267c5ff0b9fec147bdf_1614020701_5099.jpg
 

낙태의 합법 여부는 지구촌의 오래된 논제다. 자기결정권과 생명권이라는 헌법적 가치가 충돌하는 지점이며, ‘하나님의 섭리’ 대 ‘인간’이라는 종교적 관념의 결전장이기도 하다. 여기에 진보와 보수라는 정치이념이 덧붙여지고, 여성인권운동과 의료계의 이해관계까지 맞물리면서 동성혼 합법화와 함께 전 세계의 뜨거운 감자로 자리 잡았다.


지난 오바마 행정부가 8년 동안 집권하면서, 낙태는 여성 고유의 침벌할 수 없는 권리로까지 자리 잡을 정도로 태아의 생명보다 우선시되는 차원으로까지 격상됐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을 차지하면서 여성의 권리보다는 생명이 최우선시 되는 반낙태 정책들을 펼쳐 주 정부가 이를 관장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보수 성향의 대법관들을 3명이나 지명해 사법권을 보수 절대 우위 양상으로 만들어 최근 대법원은 반낙태 성향으로 최근 낙태 소송들을 판결하고 있다.


그러나 조 바이든 행정부 등장으로 전 트럼프 대통령이 시행했던 반낙태 정책들이 사문화되고 있어 보수주의 진영에서는 이를 극복할 대안들을 모색하고 있다.


자기결정권 v, 생명권 

하나님의 섭리 v, 인간 

진보 v, 보수 정치이념

여성인권운동, 의료계 이해관계

  

미국은 지난 1973년 연방대법원이 “일률적인 낙태 처벌은 위헌”이라며 여성의 임신중절을 헌법적 권리로 최초 인정했다. 제소인과 검사 이름을 딴 이른바 ‘로 대(對) 웨이드’(Roe v, Wade) 판결은 이후 미국 사회에서도 큰 논쟁으로 이어졌고 미 정치권에서는 선거공약으로 언급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16년 대선 당시 “나는 생명을 존중한다. 생명을 존중하는 법관을 임명할 계획이며 주 정부가 낙태를 엄격하게 규제하는 제도를 유지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따라서 낙태죄 폐지 이슈는 대선을 앞두고 보수와 진보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고 있다. 


종교계는 대체로 생명 존중의 종교적 가치를 들어 ‘태아부터 생명체로 봐야한다’는 기본적인 입장을 유지한다.


현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 회원국 중 31개국에서 사회·경제적 이유에 따라 낙태를 허용하고 있다. 유럽은 시민 주도의 낙태죄 폐지 운동을 시작으로 낙태관련법 개정까지 이어지면서 임신중절이 어느 정도 허용되는 분위기다. 반면 미국은 낙태에 대한 시각이 주에 따라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최근 BBC에 따르면 폴란드에서는 낙태 허용여부가 최근 쟁점이 됐다. 폴란드 집권당은 산모의 건강이 위태로울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낙태를 금지하는 법안을 냈다. 강간 등 원치 않는 임신도 포함할 정도로 수위 높은 금지다.


일본은 임신중절을 위해서는 전문가 2인의 승인 및 배우자 동의가 필요하다. 임신 22주 이내엔 사회·경제적 사유에 따른 시술이 합법화돼있다. 낙태시술 지정병원에서 수술을 받으면 병원이 이를 정부에 보고하는 방식이다.


중국도 임신 12주 내 본인 요청에 따른 시술은 허용한다. 그 이후로는 사회·경제적 사유를 포함해 폭넓게 임신중절을 허용하고 있다. 산아제한정책 때문에 낙태가 자유롭지만 성별에 따른 선택적 낙태는 금지돼있다.


영국은 임신부가 원할 경우 2명의 의사 의견이 있다면 24주까지 임신중절이 가능하다. 낙태허용 사유로는 모체생명보호를 비롯해 모체 신체·정신적 건강, 경제·사회적 사유, 본인 요청 등으로 폭넓다. 육체·정신적 건강에 위해를 끼칠 경우 24주 이내, 임신부의 건강에 심각한 위해가 있는 경우는 주수에 상관없이 낙태를 허용하고 있다.


독일은 태아의 생명권이 산모의 자유보다 우선시 돼 낙태를 인정하지 않는 나라 중 한 곳이다. 다만 독일은 인공임신중절에 대해 불법성은 인정하면서도 의사에 대해 시술하는 12주 내의 인공임신중절은 처벌하지 않는다는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고 있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은 여성의 낙태권을 보호하는 연방법을 만들겠다고 나서고 있다. 이는 연방 대법원에서 ‘로 대 웨이드’ 판결이 뒤집혀도 낙태권리를 지킬 수 있다는 뜻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연방기금으로 낙태시술비용을 대는 것을 막았다. 


실제로 그는 2019년 낙태시술을 하거나 환자들에게 시술기관 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에 연방가족계획기금이 들어가는 것을 막았다. 그 결과 미국에서 규모가 가장 큰 ‘가족계획협회(Planned Parenthood)’는 수백만 달러에 달하는 돈을 받지 못하게 됐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또 미국 정부의 국제보건기금이 낙태시술을 하거나 낙태정보를 제공하는 국제 민간조직에 들어가는 것을 금지한 ‘멕시코시티 정책(Mexico City Policy)’도 승인하고 이를 확대했다.


하지만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하자마자 이 ‘멕시코시티 정책’을 폐지했다. 그는 또 세금이 낙태에 쓰이는 것을 금지한 규정도 폐지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미 낙태 현장에서 일하는 허브 매커시 세이브더스트록스(savethestorks.com) 이사장은 “미국은 주별로 낙태허용기준이 다른데, 임신 9개월까지 낙태를 허용하는 주도 있다”면서 “왕성한 생명운동의 결과 낙태클리닉이 줄어들고 있지만 낙태약을 써서 낙태할 수 있는 클리닉은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매커시 이사장은 “의료적으로 사람이 사망했다고 정의할 때는 심장이 멈췄을 때를 의미한다”면서 “배 속의 태아가 5-6주가 되면 심장이 뛰기 때문에 살아있다고 말해야 한다. 그러나 미국의 많은 주에선 생명이 살아있다고 말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모든 생명은 하나님이 주신 것이기에 소중하다”면서 “낙태는 영적인 문제다. 교회는 낙태가 왜 죄이고 살인인지 생명의 가치를 적극 알려야 한다”고 당부했다.


조엘 고드시 하트빗인터내셔널(https://www.heartbeatinternational.org/) 대표도 “낙태를 인정하는 법은 오히려 여성에게 낙태하라고 요구하는 주변 사람들에게 힘을 준다”면서 “실제로 낙태 합법화는 임신의 책임이 있는 남성이 책임감을 버리게 하고 낙태를 촉구하는 부모에게 정당성을 주는 역할을 한다”고 경고했다. 


이어 “조사에 따르면 미국에선 낙태를 경험한 여성 중 73%가 임신상태를 끝내라는 압력을 받은 적이 있으며, 50%는 그 압력 때문에 낙태를 결정했다고 한다”면서 “원치 않는 임신을 한 여성은 갇혀 있고 핍박당하는 느낌을 받는데, 우리가 할 일은 이들에게 낙태가 유일한 선택이 아님을 알려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낙태클리닉보다 생명의 소중함을 알리고 미혼모의 출산을 돕는 단체가 4배 이상 많다”면서 “생명의 출산을 축하해주고 양육을 지원하는 단체가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부탁하고 있다.


결론으로, 낙태를 연방법 차원으로까지 격상시키려는 바이든 정권 아래에서 어떻게 하면 생명의 존엄성을 수호할 수 있는가가 크리스천들의 사명이자 사역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심장이 뛰고 있는 생명을 죽여서까지 여성의 권리를 지키려는 ‘죽임의 문화’에서, 오히려 생명의 가치를 되새기면서 출산을 장려하고 엄마와 아기를 돕는 ‘살림의 문화’로, 미국 사회는 유지돼야 한다!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73건 140 페이지
  • 싱어송라이터 퍼렐 윌리엄스 성령체험 고백
    KCMUSA | 2021-02-25
    미국의 흑인 가수이자 싱어송라이터인 퍼렐 윌리엄스가 2015년 10월 25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Assago 포럼에서 열린 MTV EMA 시상식에서 공연하고 있다. (사진: Reuters/Stefano Rellandini)그래미상을 13회 수상한 아티스트이자 프로…
  • UMC 총회 또다시 연기, “동성애 논쟁과 교단 분리” 2022년으로
    KCMUSA | 2021-02-25
    2019년 2월 24일(일)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아메리카센터돔에서 열린 미연합감리교회 특별 총회. (사진: United Methodist News Service/Kathleen Barry)미연합감리교회(이하 UMC)가 동성애에 대한 교단 입장을 둘러싼 논쟁으…
  • 교회 직접출석 지난여름보다 6배 감소... 소그룹의 60% 이상 어떤 형식으로든 모임 가져
    KCMUSA | 2021-02-25
    개신교 목회자의 76%가 이번 1월 대면예배를 드렸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지난해 9월의 87%보다 감소한 수치이다.이 온라인 설문조사는 미국 개신교 목사 430명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2월 1일부터 2월 1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오차 범위는 약 6% 포인트이다.라이프웨이…
  • 400여명의 美 복음주의자, 의회 공격한 급진 기독교 국가주의 비판
    국민일보 | 2021-02-25
    지난달 6일 미국 워싱턴DC 국회의사당 앞에서 시위자들과 경찰이 대치하고 있다. 유튜브 캡처400명이 넘는 미국 복음주의 지도자들이 지난달 6일 미국 워싱턴DC 의사당을 난입했던 사람들을 향해 ‘기독교 국가주의 이단’이라는 공개서한을 발표했다고 24일(현지시간) 뉴스위…
  • [CA] 나성영락교회 장학기금 유용 논란
    LA중앙일보 | 2021-02-25
    23만여불 불법 인출 등 이유장학위“ 1년전 제기 시정 안돼”당회 측 “매듭 지어가는 과정” LA 최대 한인교회인 나성영락교회(담임목사 박은성)에서 장학기부금 불법 인출 및 유용 논란이 불거졌다.논란은 약 1년 전부터 시작됐지만 장학금을 관리하는 장학위원회가 지난해 8…
  • c8f48675f62e2bcac9970db8e2c67dc9_1614217675_0663.jpg
    남침례회 두 교회 축출 "담임목사가 성범죄자"
    KCMUSA | 2021-02-24
    그리어 남침례회연맹 회장 (사진: Mark Humphrey / AP)1년 전 코비드 팬데믹이 발발한 이래 가진 첫 대면회의에서 남침례교연맹(SBC) 집행위원회는 목회자가 성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교회와 목사가 성소수자로 확인된 두 교회와의 관계를 끊기로 결정했다. 그…
  • 미국의 무종교인 대부분 여전히 신앙 가지고 있어
    KCMUSA | 2021-02-24
    (그림: Prixel Creative / Lightstock)일리노이주 시골의 한 작은 마을에 있는 미국침례교회는 1968년에 현재의 교회당을 지었을 때 교인 수가 300명이 넘었다. 지난 1990년대까지 약 100명이 있었고, 2006년 라이언 버지(Ryan Burg…
  • [시사] 미 경제학자도 램지어 논문 비판…연판장 돌리자 578명 동참
    연합뉴스 | 2021-02-24
    홍콩 출신 마이클 최 UCI 교수 "학문적 불법행위 넘어서" 시정 요구한국·중국·미국·호주 등서 활발한 참여로 서명자 급증마크 램지어 미 하버드대 교수. [Harvard Law School 유튜브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정성호 특파원 = …
  • [시사] "WWW의 시대 저물어간다"…스플린터넷 현상 가속화
    연합뉴스 | 2021-02-24
    거대 IT 기업-정부간 충돌 '치킨게임' 양상 비화 가능성'정보 생태계' 분화로 국가별·시장별로 정보 차단막 생길수도 페이스북 로고epa08925056 (FILE) EPA/Julien de Rosa *** Local Caption *** 55197924(서울=연합뉴스)…
  • [시사] [CA] 美경찰 또 '목 누르기'…아시아계 청년, 엄마·여동생 앞에서 사망
    SeattleN | 2021-02-24
     미국에서 "날 죽이지 말라"고 애원하던 아시아계 청년이 경찰의 목 누르기로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다. 지난해 흑인 조지 플로이드를 사망에 이르게 한 폭력적 진압 방법이 다시 사용된 것이 뒤늦게 밝혀졌다.24일 CNN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북부 안티오크에서 사망한 필리핀…
  • [워싱턴 DC] “배우는 자로 살자! 멈출 수 없는 평생교육”
    워싱턴 중앙일보 | 2021-02-24
    시니어 대학들, 온라인 수업 유지 (왼쪽) 하워드 카운티 한인 시니어센터 2020 봄학기 개강식 중 함께 자리한 임원진. 뒷줄 왼쪽부터 조영래 이사장, 송수 회장, 이인정 수석부회장, 조난영 부회장(오른쪽) 벧엘 시니어 아카데미 2020 봄학기 준비 모임에서 한상구 전…
  • [시사] “한국인의 이웃 향한 책임감, 미국엔 없는 K방역 일등공신”
    한국 중앙일보 | 2021-02-24
    20년째 CNN 의학전문기자 굽타“미국 백신 배분에 실패, 성과 망쳐한국 접종전략 명확히 해둬야”산제이 굽타 CNN 의학전문기자는 23일 화상으로 진행된 인터뷰에서 “백신은 중요하지만 유일한 조건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줌 캡처]“한국인의 책임감이 방역에서 (다른 …
  • [시사] 램지어 논문, 한인 교수가 막았다
    LA중앙일보 | 2021-02-24
    이진희 이스턴일리노이대 교수, 케임브리지대 설득“조선인 학살 정당화는 홀로코스트 정당화” 주장 주효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이 조선인 학살을 왜곡한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학 로스쿨 교수의 논문 수정에 나서게 된 배경엔 한인 역사학자 이진희(사진) 이스턴일리노이주립대 사학과 …
  • 85c9f38ad0d41901be90ae4c404ecbba_1614126397_3847.jpg
    [AZ] 애리조나 교회 정신건강 상담비 약 2백만 달러 모금
    KCMUSA | 2021-02-23
    코비드 팬데믹으로 인한 다양한 스트레스로 불안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한 지역교회가 2백만불을 모금, 이들을 돕고 있다. (사진: oneandall)애리조나에 있는 밸리그리스도교회 (사진: Christ's Church of the Valley)애리조나의 한 대형교회…
  • 85c9f38ad0d41901be90ae4c404ecbba_1614123743_5661.jpg
    프랭클린 그레이엄 '시련의 시간' 극복 위한 조언
    KCMUSA | 2021-02-23
    프랭클린 그레이엄 목사가 시련의 시간을 살고 있는 사람들을 격려하고 하나님의 말씀에 굳게 설 것을 당부했다. (사진: Samaritan's Purse)프랭클린 그레이엄이 세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모든 일과 함께 지금 우리가 보내고 있는 "시련의 시간"을 극복하는 방법에 …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