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미국 상원 2100조원 규모 "역대 최고 경기부양안" 통과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시사] 미국 상원 2100조원 규모 "역대 최고 경기부양안" 통과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시사] 미국 상원 2100조원 규모 "역대 최고 경기부양안" 통과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국 중앙일보| 작성일2021-03-08 | 조회조회수 : 3,185회

본문

민주당 50대 공화당 49로 처리

민주당 다수 하원 통과도 유력

인플레 우려 대 저소득층 지원



f4c904391ec82665063b4f8c1237c4b3_1615227532_4601.jpg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6일 상원이 1조9000억 달러 경기부양안을 통과시키자 이를 환영했다. [ EPA=연합뉴스]


미국 상원은 6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대통령이 제안한 1조9000억 달러(약 2140조원) 규모의 경기부양 패키지 법안을 통과시켰다. '미국 구조 계획(American Rescue Plan)'으로 명명된 법안은 오는 9일 하원 표결을 거쳐 다음 주에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할 것으로 전망된다.


워싱턴포스트(WP)는 "의회가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통과시킨 역대 최고 수준 경기부양안"이라며 "올해 성장률을 수십 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빈곤에 처한 미국인 3분의 1을 구제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상원 민주당과 공화당은 전날 시작해 25시간 동안 진행한 마라톤 토론 끝에 50대 49로 법안을 통과시켰다. 민주당 의원 전원이 찬성했고, 공화당 의원은 개인 사정으로 표결에 불참한 한 명을 뺀 나머지 모두 반대하는 당파적 투표 결과가 나왔다.


f4c904391ec82665063b4f8c1237c4b3_1615227557_6892.jpg
지난 6일 상원 의원들이 표결을 마친 뒤 결과 발표를 기다리고 있다. 상원은 이날 50대 49로 1조900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법안을 통과시켰다. [AP=연합뉴스]


상원은 지난달 27일 하원이 통과시킨 법안에서 최저임금 인상안을 삭제하고, 현금 지급 대상 국민 범위를 축소하는 수정안을 표결에 부쳤다. 돈을 너무 많이 푼다며 하원 안에 반대한 조 맨친 민주당 의원은 찬성으로 돌아섰지만, 공화당 의원들은 한 명도 동조하지 않았다.


수정 법안은 다시 하원으로 보내져 표결 절차를 거치게 되는데, 민주당이 다수당이어서 통과가 유력하다. 바이든 대통령으로서는 취임 후 최우선 순위에 올렸던 정책 추진에 성공하게 됐다. 바이든은 대규모 경기부양안을 신속하게 통과시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고통받는 미국인을 구제하겠다는 공약을 앞세웠다. 다만, 민주당과 공화당으로 갈라진 미국을 통합해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는 약속은 일단 물 건너갔다.


바이든 대통령은 상원 가결 직후 백악관 연설에서 "도움이 오고 있다고 약속했는데 오늘 그 약속을 이행하기 위한 큰 걸음을 내디뎠다"면서 "이 법안은 매우 절실히, 긴급하게 필요했다"고 강조했다.


f4c904391ec82665063b4f8c1237c4b3_1615227569_581.jpg
미치 매코널 상원 공화당 원내대표가 6일 표결에 앞서 1조9000억 달러 규모 경기부양법안에 반대하는 연설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미치 매코널 상원 공화당 원내대표는 "상원이 2조 달러나 되는 돈을 이보다 더 난폭하게, 혹은 덜 엄격한 절차를 통해 지출한 적은 없다"고 비판했다.


법안에 따르면 연간 소득 8만 달러(약 9000만원) 미만 성인 또는 16만 달러 미만인 부부는 1인당 1400달러(약 158만원)를 받는다. 하원 안에서 소득 10만 달러(1억1000만원) 미만인 개인 또는 20만 달러 미만인 부부로 정했던 기준을 강화했다. 미국 가정의 85%가 현금을 받는다고 백악관은 밝혔다. 첨예하게 대립했던 실업급여의 경우 주 400달러였던 지급액을 300달러로 낮추고, 실업급여 1만200달러까지 비과세 처리키로 했다. 주 정부와 지방 정부에도 대규모 예산을 배정해 코로나19 백신 접종과 학교 수업 재개를 지원한다.


이 부양안이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전문가들도 의견이 갈린다. 돈 푸는 규모가 너무 커 경기가 과열될 수 있고,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일부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들은 정부로부터 받는 돈이 너무 많아 실직 근로자들이 다시 일터로 돌아올 유인이 없다고 비판하고 있다고 WP는 전했다.


진보 진영은 미국인 1300만 명을 빈곤에서 구제할 수 있고, 아동 빈곤은 절반으로 줄어든다며 대규모 부양책 필요성을 주장한다. 특히 코로나19로 저소득층과 흑인·히스패닉 등 유색 인종이 더 큰 타격을 입은 만큼 이들에게 초점을 맞춘 구제책은 당연하다는 것이다.


워싱턴=박현영 특파원 hypark@joongang.co.kr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76건 135 페이지
  • [시사] 로이터 "바이든 정부, 북한 접촉 시도…답변 못 받아"
    CBS노컷뉴스 | 2021-03-15
    연합뉴스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가 지난 2월 중순 이후 여러 채널을 통해 북한과 막후 접촉을 시도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보도에 따르면 익명의 미국 고위 관리는 "2월 중순 이후 뉴욕(유엔 주재 북한대표부)을 포함한 여러 채널을 통해 북한 정부에 …
  • 본색 드러낸 민주당 ‘평등법’ 결사반대!
    미주크리스천신문 | 2021-03-15
    NPR, 성소수자 권리만 확장...주 내용과 보수진영 반대물결 소개연방의회에서 재추진되고 있는 성소수자(LGBTQ) 권리확대법안, 일명 '평등법'(Equality Act, H.R.5)이 지난달 25일 하원을 통과했고, 3월 3일에 상원 다수당 대표(Chuck Schum…
  • [시사] "아버지 닮지 않길"…美서 인종차별자 지적한 韓여성
    CBS노컷뉴스 | 2021-03-13
    백인남성 필리핀계 우버기사에 갑질하자韓여성, 남성 자녀들에 "아빠 닮진 말길"LA공항 필리핀 출신의 우버 기사. 넥스트샤크 캡처백인 남성이 아시안 남성을 모욕 주는 모습을 지나치지 못하고 따진 정의로운 한국여성이 화제다.아시안 권익옹호 매체인 '넥스트샤크'는 12일(현…
  • [시사] TJ 입시전형 연방법원 소송
    워싱턴 중앙일보 | 2021-03-13
    인도계 등 아시안 차별 주장 TJ과학고 입시전형 변경문제를 둘러싼 인종차별 논란이 연방법원으로 옮겨 붙었다.주로 아시안 주민이 참여해 버지니아 동부 연방지방법원에 제기된 소장에 따르면, TJ과학고 입학전형이 변경돼 아시안 학생에 대한 인종적 차별이 이뤄졌다고 주장하며 …
  • [시사] '친구 없이 고립 속에 유년기 보낸 '코로나 세대' 등장'<CNN>
    연합뉴스 | 2021-03-13
    "팬데믹 기간 태어나 중요한 발달단계 거친 아이들이 코로나 세대 핵심"부모들 "친구들 만나게 될때 어찌될지 궁금"…전문가 "기술이 삶의 큰 비중 차지"(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정성호 특파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봉쇄 속에서 친구들과 만…
  • f86d8450803e1ec4fed15bab04f33bc1_1615597677_2216.jpg
    여성 컨퍼런스, 5시간 만에 100만 달러 성경 번역 기금 마련
    KCMUSA | 2021-03-13
     "IF: Gathering" 컨퍼런스에서 5시간 만에 100만 달러 기금이 모금됐으며, 이후에도 모금은 계속되고 있다. (사진: 12VC)지난 3월 5-6일 동안 열린 "IF: Gathering" 컨퍼런스 (사진: 3Crosses)성경 번역 연합단체인 일루미네이션스(…
  • 베스 무어의 교단 탈퇴에 대한 남침례회 지도자들은 반응은?
    KCMUSA | 2021-03-12
    베스 무어(사진 : Twitter)유명 여성 지도자 베스 무어(Beth Moore)가 남침례회연맹(이하 SBC) 탈퇴를 발표한 후 일부 기독교 지도자들은 이 성경교사의 결정에 대해서 감사와 슬픔을 표명했다.기독교언론 Religious News Service와의 인터뷰에…
  • d6783a59b4f522f36ac1cbdd9d0b375f_1615513123_3045.jpg
    [CA] 미주복음방송 개국 30주년 감사예배 드려
    KCMUSA | 2021-03-12
     미주복음방송 개국 30주년 감사예배가 3월 11일 오전 10시 은혜한인교회 본당에서 개최됐다.이날 감사예배는 관계자 및 축하객 2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넘치는 은혜와 감사 속에서 진행됐는데, "은혜로 30년"이라는 주제로 열린 1부 감사예배의 사회는 권영대 목사, …
  • d6783a59b4f522f36ac1cbdd9d0b375f_1615506781_4894.jpg
    성경 읽기가 팬데믹 동안 기독교인의 정신건강 향상시켜
    KCMUSA | 2021-03-11
    영국에 사는 두 아이의 엄마인 나오미 캠벨은 성경 중에서도 특히 이사야서 61장 3절이 큰 힘이 되었다고 고백했다. (사진: Bible Society)영국에서 실시한 최근 설문조사에 따르면, 팬데믹 동안 성경을 읽음으로써 많은 기독교인의 정신건강이 향상되고 미래에 대한…
  • 루이스 팔라우 목사는 어떤 전도자였나
    KCMUSA | 2021-03-11
    아르헨티나인이며 현재 로마가톨릭 교황 호르헤 베르고글리오와 오랜 친구그의 도시 전도집회의 일차적 목표는 "사람들을 직접 회심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지역 교회들이 서로 협력하여 믿지 않는 사람들에 다가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오늘(3월 11일)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소…
  • d6783a59b4f522f36ac1cbdd9d0b375f_1615502921_5174.jpg
    루이스 팔라우 목사 소천: 미국 포틀랜드에서 라틴 아메리카로, 그리고 그 너머로 복음 전해
    KCMUSA | 2021-03-11
    (사진: Courtesy of Luis Palaus Association / Edits by Christianity Today)복음 전도자 루이스 팔라우가 폐암으로 86세에 사망했다. 아르헨티나 출신의 이민자인 팔라우는 빌리 그레이엄의 가장 뛰어난 계승자 중 한 명이며…
  • 05c6b03b11d3d48e1334e4c315db5687_1615423588_9914.jpg
    교회에 희소식! 91%의 교인 "교회 나갈 준비하고 있다"
    KCMUSA | 2021-03-11
    지난해 7월 바나리서치의 설문조사에서는 기독교인 3명 중 1명이 팬데믹 이후에도 교회에 나가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이 나왔지만, 코비드 팬데믹으로 인한 교회 폐쇄 1년을 맞아 실시한 새 연구는 교회 출석률이 다시 회복될지 궁금해하는 목사들에게 희소식을 전하고 있다. CO…
  • 77f2e14d0d839aa6a79793b6332aba5b_1615335459_9097.jpg
    목회자는 언제 COVID-19 백신을 맞을 수 있을까?
    KCMUSA | 2021-03-11
    펜실베이니아의 애빙턴에 있는 살렘침례교회의 마샬 미첼(Marshall Mitchell) 목사가 백신이 위험하지 않다는 사실을 아프리카계 미국인 커뮤니티에 알리기 위해서 먼저 첫 번째 코비드 백신 주사를 맞고 있다. (사진: 6ABC) 최소 17개 주가 성직자들을 위한 …
  • "흑인뿐 아니라 아시아인 차별도 막아야"
    한국기독공보 | 2021-03-10
    PCUSA, 성명 통해 '인류의 하나됨' 강조 "우리는 사회가 직면한 문제의 원인을 특정 인종이나 공동체 등에서 찾으려는 습성을 버려야 합니다. 이런 행동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 모두가 하나'라는 말씀에 위배됩니다."교회 중심의 인종차별 철폐운동을 전개해 온 미국장로교…
  • 6e950c53e679dae90524af05d5970dfb_1615397883_461.jpg
    베스 무어 "남침례회연맹(SBC) 탈퇴" 선언
    KCMUSA | 2021-03-10
    (사진: Baptist Press)거의 30년 동안 베스 무어(Beth Moore)는 현대 남침례회의 바로 그 모델이었다.복음 전도자, 작가, 성경 교사인 그녀는 텍사스 휴스턴에 있는 여성을 위한 성서 연구단체인 “Living Proof Ministries”의 창립자이…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