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 새들백교회의 릭 워렌 "질병은 당신의 정체성이 아니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CA] 새들백교회의 릭 워렌 "질병은 당신의 정체성이 아니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CA] 새들백교회의 릭 워렌 "질병은 당신의 정체성이 아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KCMUSA| 작성일2021-05-15 | 조회조회수 : 5,787회

    본문

    2a44ed20a329c7f228b54b24d5f1259d_1620860308_0111.jpg
    릭 워렌 목사(왼쪽)와 케빈 반 로마가톨릭 주교가 정신 건강과 목회사역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 Rick Warren Twitter)


    새들백교회 목사인 릭 워렌이 "정신 건강과 교회"라는 주제 아래 캘리포니아의 가톨릭 주교들과 함께 일했던 내용을 담은 목회서신을 발표했다.


    "희망과 치유"라는 제목의 이 목회서신은 정신 질환에 대한 오명을 없애고 과학 및 의료 전문가와 신앙인 간의 협력을 강화할 것을 촉구했다.


    국립정신건강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에 따르면, 미국 성인 5명 중 1명은 지난 1년 동안 정신 장애를 앓고 있으며, 25명 중 1명인 1천만 명의 성인이 심각한 기능 장애를 일으킬 정도의 정신 질환을 앓고 있다. 청소년의 20%는 현재 또는 전에 심각하게 쇠약해지는 정신 장애를 앓고 있다. 정신, 신경 및 약물남용 장애는 미국에서 가장 큰 장애 원인으로 전체 장애의 거의 20%를 차지한다.


    그 결과 우울증과 불안감의 증가율이 젊은이들에게 정신적인 불안감을 가져다주고 있다. 지난 몇 년 동안 거의 모든 연령대의 남녀 모두에서 자살률이 놀라울 정도로 증가했다.


    릭 워렌 목사는 정신 질환의 파괴적인 영향을 잘 알고 있다. 그의 아들 매튜가 10년 동안 “깊고 깊은 우울증”을 겪은 뒤 2013년에 자살했다.


    그의 아들이 사망한 이후 워렌과 그의 아내 케이는 기독교인들이 정신 건강을 소홀히 하지 않도록 촉구하는 데 많은 시간과 자원을 바쳤다. 그의 가장 가까운 협력자 중 한 명은 캘리포니아 오렌지의 케빈 반(Kevin Vann) 로마가톨릭 주교였다.


    아들이 죽은 후 워렌과 반은 정기적으로 대화했다. 그들은 새들백교회와 오렌지 교구에서 정신 건강과 교회에 대한 두 번의 모임을 주최했으며, 최근 나온 목회서신은 그들의 공동 노력의 또 다른 열매이다.


    워렌은 이 서신에서 정신 질환이 하나님에 대한 믿음이 부족한 결과가 아니라는 것을 더 잘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워렌은 "당신의 신체 화학적 작용은 당신의 성격이 아니다"라며, "당신의 질병은 당신의 정체성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간 기능이 약해졌을 때 약을 먹는다고 낙인이 찍히지 않는다. 심장 작동이 약해졌을 때 약을 먹는다고 낙인이 찍히지 않는다. 그런데 뇌의 어느 부분이 병에 걸려서 약을 먹으면 낙인이 찍히는 이유는 무엇인가?”라고 물었다.


    이 목회서신은 또한 크리스천들에게 “병자들에게 손을 내밀고,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게 하고, 그들이 받아들여지고 이해되고, 지지를 받고 존중받을 수 있는, 한마디로 말해서 사랑할 수 있고 사랑받을 수 있는 믿음과 삶의 공동체 안에서 하나가 돼야 한다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말씀도 인용하고 있다. 


    워렌은 “우리가 스스로 인생을 살아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 신약 성경에서는 ‘서로’라는 말이 58번 사용되었다. 우리는 서로를 위해 기도하고, 서로에게 조언하고, 서로 사랑해야 한다고 한다. 모든 사람은 인생의 어느 시점에서 조언이 필요하다. 정신건강을 잃었다고 하는 것은 수치심도, 오명도, 죄도 아니다.”


    “우리는 문을 열고 빛이 들어오게 하면 된다”라고 그는 말했다.


    워렌은 이 서신이 "교회의 정신 건강 이해와 사역들을 위한 물꼬가 되고, 전 세계 정신 보건 사역의 새로운 기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48건 112 페이지
    • [CA] UMC 가주연회 "한인교계 혼란 상황 유감"
      LA중앙일보 | 2021-05-25
      한인 목회자 3명 재파송 불가 통보로 물의일부 한인교인 시위도…“한인교계 도울 것”지난 21일 한인 교인들이 패서디나 지역 연합감리교단(UMC) 연회 본부 앞에서 항의 시위를 진행했다. 시위에 참여한 한인 교인들 모습.남가주 지역 한인 교인들이 미국 최대 연합감리교단(…
    • [MN] 플로이드 1주기, 미니애폴리스에 가다…"정의 없이 평화 없다"
      LA중앙일보 | 2021-05-25
      뿌리깊은 인종주의 항의밤 늦게까지 추모행사방탄복 입고 질서유지곳곳서 긴장된 분위기조지 플로이드 1주기를 맞아 미니애폴리스 곳곳에서는 추모 행사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23일 미니애폴리스 다운타운에서 열린 추모행진.전국으로 번진 ‘경찰 개혁 운동’의 도화선이 됐던 조지 …
    • 238b913e2440075b065b3ded584ac789_1621460309_5304.jpg
      [CA] 새생명선교회, 총 20만 달러 규모로 한인교계 돕는다
      크리스천 위클리 | 2021-05-25
      소형교회 목회자 50명, 장학생 100명 선발하여 현금지원박희민 새생명선교회 회장 새생명선교회(회장 박희민 목사, 이사장 박 경우 장로)가 지난해에 이어 금년에도 소형교회 목회자 후원을 위해 5만 달러, 장학생 선발을 통해 총 15만 달러를 지원하는 등 총 20만 달러…
    • 프랜시스 찬 "온라인 예배로 잃은 예배의 '거룩성' 되살려야"
      KCMUSA | 2021-05-24
      목사 겸 작가인 프랜시스 찬이 2019년 10월 24일 목요일에 국제적으로 방송되는 Q Commons 행사에서 말씀을 전하고 있다. (사진: Q Ideas / Parker Young)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공개적으로 기독교 신앙에서 멀어짐에 따라 목회자들은 자신의 회중…
    • 남침례교회 지난해 교회개척 증가, 그러나 침례자는 절반으로 감소
      KCMUSA | 2021-05-24
      (그림: Kelli M. Allison / Lightstock)남침례회는 2020년 COVID-19 봉쇄에도 불구하고 교회 개척이 증가하고 비교적 꾸준한 기부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교단은 전염병으로 인해 회원 수와 침례 숫자가 역사적일 정도로 가파른 감소…
    • add902bd20991731397a6ff4f09924ef_1621889178_3603.jpg
      [CA] 수잔 정 박사와 음악인이 함께하는 북콘서트 열려
      KCMUSA | 2021-05-24
      크리스토퍼 리 영화감독 기획소프라노 카일라 김(Kayla Kim) 진행저자 소아정신과 전문의 수잔 정 박사첼리스트 김원선과 피아니스트 김혜경 출연진행자 카일라 김(오른쪽)과 저자 수잔 정 박사최근 신작 “나와 나의 가족이 경험한 ADHD”를 발간한 소아정신과 전문의 수…
    • 한인(아시아인) 목회자들이 교회에서 겪은 인종차별
      NEWS M | 2021-05-24
       세계적 유행병이 시작된 이후로, 다른 인종에 대한 6%가 줄어든 반면, 아시아인을 상대로 한 증오 범죄는 145%가 증가했다. 미국 전역이 145%이지 아시아인들이 많이 사는 대도시는 이보다 더한 증가율을 보였다. 뉴욕의 경우는 2020년에 2019년보다 약 833%…
    • "캘리포니아는 하베스트락교회에 135만 달러 지불하라"
      KCMUSA | 2021-05-21
      체 안(Ché Ahn) 목사가 2019년 캘리포니아 패서디나에 있는 하베스트락교회에서 설교하고 있다. (사진: Facebook / Harvest Rock Church)캘리포니아는 주는 교회 봉쇄 명령으로 인한 소송에서 패소, 원고인 하베스트락교회에 1백만 달러 이상의 …
    • [시사] 미 학자들 "일본 위안부 강제동원 범죄 공소시효 없다"
      연합뉴스 | 2021-05-21
      '위안부 영문 사료관' 법적 의미 짚는 온라인 세미나…"증거자료 보존해야"폴 호프먼 UC어바인 교수[온라인 세미나 화면 캡처](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정윤섭 특파원 = 미국 학자들이 일본의 위안부 강제 동원 범죄는 공소 시효가 없다면서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을 물을 수…
    • [시사] 미 정부, '인권침해 논란' 불법체류자 구금시설 폐쇄
      연합뉴스 | 2021-05-21
      시설 운영업체와 계약 종료…여성수용자 강제 수술 등 문제 일으켜미국 불법체류자 수용시설 인권침해 논란지난해 9월 15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시위대가 조지아주 어윈 카운티 구금시설에서 행해진 여성 수용자 대상 산부인과 수술에 항의하고 있다. 국토안보부는 20일 문제의 …
    • [시사] 아시아계 미국인 지원에 성금 1조1천400억원 모였다
      연합뉴스 | 2021-05-21
      이달 초 출범한 TAAF, 출범 2주여만에 11억달러 모금바이든 대통령 면담도…차별근절 활동에 기금 활용'아시아계 증오범죄 방지법' 서명하는 바이든 미 대통령[AP=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이윤영 기자 = 아시아계 미국인 증오방지법이 최근 미 의회를 통과한 데 이어 …
    • [시사] 마스크 벗고 문 대통령 만난 바이든…'두 겹' 스가 때와 대조
      연합뉴스 | 2021-05-21
      한국전 영웅 퍼켓 대령 명예훈장 수여식…문 대통령과 거침없이 악수도코로나 이전 수준 백악관 정상외교 연출…마스크 벗은 미국 자신감 표출마스크 벗고 기념촬영하는 바이든 대통령과 퍼켓 대령, 문재인 대통령(오른쪽부터)[AP=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백나리 특파원 = 조…
    • [시사] 영 김, 바이든 1호 대북특사 추진
      워싱턴 중앙일보 | 2021-05-21
      "조 바이든 행정부에한인 이산가족 상봉대북 인권특사 촉구"한인여성 연방의원들 웃음꽃한국계 미셸 박 스틸(공화·CA·가운데) 연방하원의원과 영 김(공화·CA·오른쪽) 연방하원의원이 19일 저녁 애난데일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호스트를 맡은 크리스티나 신 변호사(왼쪽)와 대화…
    • [시사] 바이든 대통령, 아시안 증오범죄 방지 법안에 서명
      뉴욕 중앙일보 | 2021-05-21
       조 바이든 대통령(가운데)이 20일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코로나19 증오범죄법안(S.937·H.R.1843·Covid Hate Crime Act)에 서명했다. 법안을 발의한 메이지 히로노 연방상원의원(민주·하와이·오른쪽)·그레이스 멩 연방하원의원(민주.뉴욕 6선거구·오…
    • NCKPC 50회 총회-신임 총회장 이재호 목사
      기독뉴스 | 2021-05-20
      차기총회장 김성택 목사 평신도 부총회장 김길수 장로 미국장로교한인교회(이하 NCKPC, 총회장 최병호 목사) 50회 정기총회가 5월 19일(수) 온라인으로 열렸다. ‘희년의 자유와 해방을 내려주소서!(레 25:10)’를 주제로 열린 총회에서 신임 총회장 이재호 목사 (…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