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주의자, 이제는 너 마저?”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 KCMUSA

“복음주의자, 이제는 너 마저?”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본문 바로가기

미국교계뉴스 USA News

홈 > 뉴스 > 미국교계뉴스 USA News

“복음주의자, 이제는 너 마저?”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미주크리스천신문| 작성일2021-07-27 | 조회조회수 : 2,872회

본문

CT, PRRI 2020년 종교인구조사에서 드러난 교인감소 대안 제시



미국에서 이제는 백인 복음주의자의 수마저 감소하고 있다. 공공종교연구소(Public Religion Research Institute)의 2020년 미국 종교인구조사(Census on American Religion)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미국인의 14%만이 백인 복음주의자다. 이는 미국의 종교지형이 백인 복음주의자가 23%로 구성됐던 2006년 이후 급격한 감소세라고 말할 수 있다.    


백인 복음주의의 감소와 함께 이번 조사에서는 더 이상 종교를 전혀 믿지 않는 사람들의 수가 안정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종교학자들은 이 그룹을 "넌(None)"이라고 부르며, 그들은 미국 인구의 약 4분의 1을 차지한다. 이러한 통계는 연령을 고려할 때 훨씬 더 굴곡이 심하게 발생한다. 간단히 말해서, 나이든 미국인은 젊은 미국인보다 훨씬 더 종교적인 반면, 밀레니얼 세대는 전통적인 종교의 틀에서 점점 더 이탈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중요하다고 크리스처니티투데이(CT)는 평가한다. 백인 복음주의자들은 정치적으로 목소리를 높이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경향이 있지만, 일부는 신앙을 떠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젊은 백인 복음주의자들의 이탈이 문제다(Mainline Protestants Are Still Declining, But That’s Not Good News for Evangelicals: Both traditions are losing out to the unaffiliated).


ac5e25467082470fbb6541d3b5e32eb3_1627397111_2863.jpg
 

지난 수십 년 동안 미국 종교에 대한 조사 데이터를 연구한 결과 가장 중요한 결론이 하나 있다면 매년 확립된 종교 전통에 동조하는 사람이 감소하고 있다는 점이다. 무종교자(Nones)라고도 하는 비종교인의 비율은 1970년대 초반 약 5%에서 2020년에는 최소 25%로 증가했다.


종교인구 통계는 제로섬 게임(zero-sum은 게임이나 경제 이론에서 여러 사람이 서로 영향을 받는 상황에서 모든 이득의 총합이 항상 제로 또는 그 상태를 말한다)이다. 한 그룹이 커지면 다른 그룹의 크기는 줄어들어야 한다. 따라서 ‘넌스’의 증가는 전통적으로 거의 모든 교회에 나쁜 소식이다. 기독교인을 교단별로 분류하면 주류 개신교인들이 계속해서 상당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자체 회원 수에 따르면 주요 교단은 지난 10년 동안 15%, 25%, 심지어 40%까지 감소하고 있다. 복음주의적 측면에서도 마찬가지다. 그들의 숫자도 미끄러지고 있다.


그러나 이 두 가지 전통을 조사하면 그들의 교회가 어떻게 교인을 잃고 있는지에 대한 2가지 다른 이야기를 볼 수 있으며, 미래에 미국 종교 환경이 어떤 모습일지에 대한 궤적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1970년대에 주류 개신교단이 복음주의자들보다 훨씬 많았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이 중요하다. 1975년에는 미국인의 30%이상이 주류인 반면 약 21%는 복음주의자였다. 그러나 이러한 노선은 빠르게 변화되기 시작했으며 1983년까지 미국에는 주류교단 교인보다 복음주의자가 더 많았다.


미국 종교의 이러한 급격한 변화는 주로 미국 문화에서 복음주의자들의 두드러진 활약에서 비롯됐다. 제리 파일과 팻 로버슨과 같은 텔레비전 전도자의 부상은 종교 우파가 선거정치에서 자신을 주장하기 시작한 것과 일치했다. 이 시점에서 ‘넌스’는 상대적으로 작았기 때문에 상당수의 주류 개신교인들이 1980년대를 통해 복음주의자가 됐다고 믿을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


1980년대 후반까지 복음주의자들은 인구의 25-27%가 됐고, 주류교단 인구는 약 20%에 머물렀다. 1993년에 복음주의자들은 데이터에서 30% 미만으로 정점을 찍었고 그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느리고 꾸준히 감소했다.


2000년과 2018년 사이에 복음주의자들 사이의 감소는 약 2%포인트로 비교적 완만했다. 주류교단은 같은 기간 동안 3배나 빠르게 감소해 2000년 16%에서 2018년 10%로 떨어졌다.


지난 몇 년 동안 주류 교단과 복음주의 교인이 모두 감소됐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종교가 축소되는 두 가지 주요 방법이 있다. 첫 번째는 대체 없는 죽음을 통해서다. 나이 많은 교인들이 죽으면 그 손실을 상쇄하기 위해 젊은 사람들이 교회에서 자라나지 않는 한 전통이 작아진다. 전통의 크기가 감소하는 다른 방법은 변절/저버림/이탈을 통하는 것이다. 그것은 사람들이 자신이 자란 종교를 떠나 다른 종교 집단을 위해 떠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사회조사(The General Social Survey)는 응답자들에게 그들이 성장한 교단과 현재 교단에 대해 물었다. 이 데이터를 사용하면 이 두 전통의 쇠퇴가 어떻게 변절/저버림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탈자들이 어디로 갔는지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음주의자로 자라난 모든 사람이 그 전통을 고수한다면 그 규모는 얼마나 될까? 1973년에는 미국인의 약 20%가 복음주의자였으며 다른 4%는 이전부터 복음주의자였다. 2018년에 그 숫자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22%는 복음주의자이고 다른 4%는 이전 복음주의자였다. 본질적으로 변절/이탈은 기본적으로 동일했다.


1973년 주요 교단의 경우 28%가 지지자였고 다른 7%는 전통을 떠났다. 2018년에는 11%만이 주류 개신교 신자였지만 다른 6%는 성장해 주류 개신교단을 떠났다. 


가장 최근의 GSS 데이터들을 살펴보면 주류교단에서 성장한 사람들에게는 분명히 더 큰 문제가 있다. 성인이 됐을 때 절반 이상(55%)이 주류교단에 남았다. 그러나 거의 절반은 결국 종교와 무관하게 됐고, 또 다른 상당수가 복음주의자가 됐다.


복음주의자의 경우 자신이 자라난 신앙 전통에 남을 유지율이 70%로 훨씬 높지만, 종교 전환 또는 이탈의 동일한 기본 패턴이 존재한다. 복음주의적 이탈자들의 상당수는 계속해서 무종교를 주장한다. 복음주의 전통을 떠나는 사람들이 두 번째로 정착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곳은 주류교단이다.


그러나 현재 주류 개신교인이 복음주의자가 될 확률은 복음주의자가 주류 전통을 떠나는 것보다 2배나 더 높다. 숫자로 치자면, 주류교단 교인 3명이 복음주의 교인이 되고, 복음주의 교인 2명이 주류교단 교인이 되는 셈이다. 


미국의 주류 교단 전통과 복음주의 전통이 모두 교인을 잃고 있다고 말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그것은 약간 비대칭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복음주의는 의심할 여지없이 1990년대 초 정점에서 떨어졌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주류교단 신자들의 유입과 나이 든 복음주의 교인의 죽음을 통한 손실의 일부를 상쇄할 수 있을 만큼 젊은 가족의 유입에 힘입어 약간의 정체 상태에 이르렀다.


주유교단의 하락세도 최근 다소 둔화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숫자가 다시 줄어들 것이라고 결론을 내릴 충분한 이유가 있다. 그들이 계속해서 전통에서 이탈하고, 교인의 평균연령이 증가하고 전통교단이 신학적 입장에 따른 출혈을 일으키면서 주류 개신교인들의 감소세가 계속 이어질 우려의 원인들이 더 많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복음주의는 이전 주류 개신교인들을 받아들임으로써 여전히 이득을 얻고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류 개신교인 전체 수가 훨씬 더 적어짐에 따라 새 교인유입의 흐름은 계속 줄어들 것이다.

  • 이 기사를 공유하세요
Total 4,295건 104 페이지
  • 빌리 그레이엄 목사의 손자, 코로나로 중환자실 입원
    국민일보 | 2021-07-28
    앤 그레이엄 로츠 여사가 2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아들 조너선 로츠와 함께 성지순례에 갔던 사진을 올리고 아들의 회복을 위해 기도를 부탁했다. 앤 그레이엄 로츠 페이스북 캡처고(故) 빌리 그레이엄 목사의 손자이자 성경 ​​교사인 앤 그레이엄 로츠의 아들인 조너선 로츠가…
  • “마스크 쓰면 교회에서 내쫓겠다”
    NEWS M | 2021-07-28
    테네시주 한 목사, 코로나19 정책은 사탄의 행동 주장테네시 소재의 글로벌 비전 바이블 교회의 그렉 로크 목사(사진:페이스북)테네시의 한 목사가 자신의 교인들에게 마스크를 쓰면 교회에서 내쫓겠다고 설교해 논란이 되고 있다. 테네시의 지역지 렉싱턴 헤럴드에 따르면 글로벌…
  • [CA] 새생명선교회, 소형교회 목회자 재정지원금 총 5만달러 전달식
    크리스천 위클리 | 2021-07-27
    선정된 50명 목회자 대상으로 목회자 세미나도 개최목회자 세미나와 지원금 전달식을 마치고 선교회 대표 박희민 목사와 목회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을 겪고 있는 소형교회 목회자들에 대한 재정지원에 나선 새생명 선교회(회장 박희민 목사, 이사장 박경우 장로…
  • ‘교회를 살리는 총회, 교회가 살리는 총회’로
    미주크리스천신문 | 2021-07-27
    CKSBCA 한인총회장 김경도 목사 (인터뷰)지난 6월 15일부터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열린 남침례교(SBC) 총회에서 한인총회장(CKSBCA)에 플라워마운드교회 담임 김경도 목사가 선출됐다. 김경도 목사는 “총회 사무실이 제가 섬기는 교회 가까이 있어서 크고 작은 심부…
  • “복음주의자, 이제는 너 마저?”
    미주크리스천신문 | 2021-07-27
    CT, PRRI 2020년 종교인구조사에서 드러난 교인감소 대안 제시미국에서 이제는 백인 복음주의자의 수마저 감소하고 있다. 공공종교연구소(Public Religion Research Institute)의 2020년 미국 종교인구조사(Census on American …
  • 04a672d630fb246b077021e03a37808e_1627323713_932.jpg
    [포토뉴스] 새생명선교회 소형교회 목회자 지원 및 세미나 열려
    KCMUSA | 2021-07-26
    세미나와 지원금 전달식을 마치고 참석자들이 단체사진을 찍고 있다. 지난 22일(목)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박희민 목사가 이끄는 새생명선교회 소형교회 목회자 지원 및 세미나가 켈리포니엘에이에 있는 새생명비전교회(강준민 목사)에서 개최됐다.이날 행사에는 소형교회 …
  • 미국 남침례회선교부, 도쿄 올림픽 전도 시작
    국민일보 | 2021-07-26
    미국남침례회 소속 선교사들이 도쿄 올림픽 개막에 맞춰 올림픽 전도에 나서고 있다. 사진은 '5분 영어' 프로그램에서 일본인과 대화하는 모습. 뱁티스트 프레스 홈페이지 캡처미국 남침례회선교부(IMB)가 코로나 시국에서도 도쿄 올림픽 전도에 시동을 걸었다. 미국 남침례교 …
  • 재미 동포들, 北 이산가족 상봉 ‘성큼’
    크리스천 위클리 | 2021-07-26
    미 하원, 본회의서 이산상봉법안 만장일치 통과재미이산가족협회(Divide Family USA) 이차희 전 회장. 2012년 기준으로 재미이산가족은 10만명 정도로 추산됐다. [Divide Family USA 제공]지난회기 때 상원 상정 없이 임기만료 자동폐기이번엔 시간…
  • [NY] 벼랑 끝에 내몰린 이민자를 위한 기도 운동
    뉴스M | 2021-07-24
    이보교와시민참여센터, 드림법안과 포괄적 이민개혁법안 통과 위해 캠페인 나서[뉴스M=마이클 오 기자] 이민자보호교회 운동(이하 이보교)와 시민참여센터(KACE)가 드림법안과 이민개혁법 통과를 위해 범 한인 커뮤니티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다.맨해튼 집회에 참여한 이보교 회원…
  • 바이든 시대, 보수 기독교계 곳곳에서 이슈 상충
    LA중앙일보 | 2021-07-23
    지난 3일 성전환자를 지지하는 시위자들로 부터 집단 폭행을 당해 피를 흘리고 있는 기독교인의 모습이다. 보수 교계에서는 최근들어 계속해서 각종 논란이 발생하자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김상진 기자스파 성소수자 찬반 시위 폭력 사태교계 곳곳에서 우려 목소리 높아져기…
  • c3d84269a46accf765299c271ae24115_1627051341_0105.jpg
    ‘페라리 모는 조엘 오스틴(?)', SNS에서 조롱거리 전락
    뉴스M | 2021-07-23
    4백만불 넘는 PPP와 허리케인 하비 당시 행동도 비판최근 트위터에 조엘 오스틴 목사와 페라리 자동차 사진이 회자되고 있다.조엘 오스틴 목사가 또다시 소셜 미디어의 주목을 받고 있다. 물론, 좋은 이유에서는 아니다. 레익우드교회 담임이자 부흥사인 조엘 오스틴 목사는 최…
  • 워싱턴 대형교회 MBC, 소송 등 내분 격화
    뉴스M | 2021-07-23
    맥클린바이블교회, 세명 장로 인준 두고 소송으로 이어져데이빗 플랫 목사(사진:맥클린바이블교회 홈페이지)미국 워싱턴 DC 중심부에 위치한 대형교회가 내분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다. 2019년 트럼프 대통령의 방문 등으로 유명세를 치른 맥클린바이블교회((McLean Bibl…
  • c3d84269a46accf765299c271ae24115_1627050993_9126.png
    성범죄 청소년 사역자에 1008년 징역형 확정
    뉴스M | 2021-07-23
    그루밍을 통한 교회 및 사역지 성범죄에 경종 울려한국 교회 상황도 심각경각심과 구조적 대책 마련 시급[뉴스M=마이클 오 기자] 자신의 사역에 참여했던 소년을 대상으로 성범죄를 저지른 유명 청소년 사역자가 1008년 징역형을 확정받았다.재판을 받고 있는 액튼 보웬 (유투…
  • “이민광야서 믿음 지키며 사는 성도들에 보내는 신앙적 지지선언”
    크리스천 위클리 | 2021-07-23
    ‘LA메타교회’에 보낼 수작업 ‘제주산 십자가’ 제작 중인 고희범 전 제주시장십자가를 제작 중인 고희범 권사. 고 권사는 전 한계레신문 사장을 역임했고 제주시장을 지냈다. 제주시장을 지냈고 그 전에는 한겨레 신문 사장을 역임했던 언론인 출신 고희범 권사가 LA메타교회에…
  • [NY] 이보교, 시민참여센터 이민법안 통과를 위한 기도운동
    기독뉴스 | 2021-07-22
    사진 설명:이민개혁법 통과 촉구를 위한 대규모 집회에서 시위하고 있는 모습(이보교 제공)이민자보호교회 네트워크(이하 이보교)와 시민참여센터 이민자보호법률대책위(이하 시참여)는 이민법안 통과를 위한 기도운동을 펼친다.‘여리고 성을 허무는 7일 특별기도(이하 여칠기)’라 …

검색


KCMUSA,680 Wilshire Pl. #419, Los Angeles,CA 90005
Tel. 213.365.9188 E-mail: kcmusa@kcmusa.org
Copyright ⓒ 2003-2020 KCMUSA.or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