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한국교회 소그룹 활동이 과거보다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회 절반 이상이 모임을 중단했고, 모임이 유지되더라도 참석 인원은 코로나19 이전보다 대체로 감소했다.  

 ▲목회데이터연구소가 발표한 '코로나19 전후 소그룹 모임 빈도 변화' 설문조사 결과(자료출처=목회데이터연구소)

목회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2021년 6월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이후 사역변화 정도’ 조사를 보면 코로나19 이전을 100%로 가정했을 때, 소그룹 활동률이 2020년 11월과 6월 각각 25%,와 20% 수준까지 줄어들었다. 

지난해 11월 만 19세 이상 성도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전후 소그룹 모임 빈도 변화' 조사를 실시한 결과, ‘매주 모인다’는 응답 비율은 코로나19 이전 42%에서 코로나19 이후 9%로 크게 줄었다. 반면, ‘거의 모이지 못한다’는 응답 비율은 코로나19 이후 61%로, 한국교회 절반 이상이 소그룹 활동을 멈춘 것으로 나타났다.

소그룹 운영을 한 경우 온라인 방식을 활용한 비율은 73%이며 모임 진행시간은 평균 1시간 24분인 것으로 조사됐다. 

현장 모임 재개 시 선호하는 모임 방식으로는 ‘현장과 온라인 모임을 병행하되, 현장모임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 좋다’고 답한 비율이 42%로 가장 많았다. ‘현장 소그룹 모임만 하는 게 좋다’는 응답은 20%, ‘현장과 온라인 모임을 병행하되, 온라인 모임을 중심으로 하는 게 좋다’는 응답은 16%를 차지해, 전체적으로 온·오프라인 병행 선호도가 높았다.

소그룹 활동을 중단하지 않고 지속한 성도들(소그룹 활동자)의 경우, 그렇지 않은 성도들(소그룹 비활동자)보다 신앙생활에 더욱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두 그룹 간, 한 주 동안의 신앙생활을 비교했을 때, '온라인 상에서 예배/설교 등 기독교 콘텐츠를 봤다'는 응답이 소그룹 활동자와 비활동자 각각 74%와 54%를 기록했다.  

이밖에도 '성경공부/제자훈련 했다'는 비율이 각각 25%와 6%, QT나눔을 한 비율도 24%와 5%로 신앙 지표 모든 항목에서 소그룹 활동자가 비활동자보다 2~4배 가량 높았다.  

소그룹 활동은 개인 신앙뿐 아니라 교회활동, 가정 신앙 등으로까지 신앙 생활 패턴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일주일 동안 가족 간 신앙 교류를 한 비율이 소그룹 활동자가 62%, 비활동자가 34%로 두 배 가까이 차이를 보였다. 
 
목회데이터연구소 지용근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통해 코로나 시대, 소그룹 활동이 성도들의 영성을 유지하고 위축되기 쉬운 일상생활에 활기와 자극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실제로 코로나 이후에도 소그룹 활동을 유지한 교회의 경우, 현재 교회가 어려움이 없고, 코로나 종식 후에도 교인수가 더 증가할 것이라는 조사결과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대인의 개인주의적 특성 등을 고려해 사람들을 모을 수 있는 교회만의 효과적인 수단(콘텐츠, 운영방식 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며 "비대면 상황에서도 예배자들이 신앙을 유지하고, 교회 공동체 안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교회들의 소그룹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정은 기자]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